Classification of Explosive Demolition Methods Based on the Building Type and Dimension of Wall-slab Apartment Building

벽식 아파트의 주동 형태 및 규모에 따른 발파해체공법 분류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According to increasing demands for a redevelopment of a wall-slab structure apartment, new explosive demolition methods,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for RC structure apartment, are requested. In this study, to provide basic design data on explosive demolition of wall-slab structure apartment, wall-slab structure apartme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building types and dimensions. Also adequate explosive demolition methods for wall-slab structure apartment are analyzed by using blasting pattern factors such as height(H), breadth(B) and length(L) of apartment.

벽식구조 아파트에 대한 재개발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RC구조 아파트와는 다른 새로운 해체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벽식구조 아파트의 발파해체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설계 도면을 토대로 벽식구조 아파트를 주동 형태 및 규모에 따라 분류하고, 아파트의 높이(H), 폭(B), 길이(L)의 발파 패턴 요소를 이용하여 벽식구조 아파트의 발파해체에 적합한 발파해체공법을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대한주택공사, 1984, '84 주택의 기본계획 및 설계, 대한주택공사
  2. 대한주택공사, 1986, '86 주택의 계획 및 설계(아파트), 대한주택공사, pp. 3-384
  3. 대한주택공사, 1987a, '87 주택의 계획 및 설계(아파트), 대한주택공사, pp. 3-356
  4. 대한주택공사, 1987b, 구조설계실무, 대한주택공사 건축부, pp. 7-11
  5. 대한주택공사, 1988, '88 주택의 계획 및 설계, 대한주택공사, pp. 7-223
  6. 대한주택공사, 1989a, '89 주택 계획 및 설계, 대한주택공사, pp. 7-217
  7. 대한주택공사, 1989b, 단지계획 기술지침, pp. 42, 51-59
  8.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1995, 공동주택 생산기술의 변천에 관한 연구, 대한주택공사, pp. 97-98, pp. 111-112
  9. 이천식, 이윤재, 김형섭, 2001, 성남 하대원 주공 아파트 및 화정 지하구조물 발파해체 사례분석, 화약.발파, 대한화약발파공학회지, Vol. 19, No. 3, pp. 75-89
  10. 昔哲基, 2009, 韓國の構造物發破解體施工事例と今後の計劃, 2009年度年會 講演要旨集, pp. 10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