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ssment of GHG Emission Reduction Potential in Extension of Nuclear and Renewable Energy Electricity Generation

원자력과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확대에 따른 온실가스 저감 잠재량에 관한 연구

  • Jun, Soo-Young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 Park, Sang-Won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 Song, Ho-Jun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 Park, Jin-Won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전수영 (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 박상원 (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 송호준 (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 박진원 (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South Korea, ranks 10th largest emitter of carbon dioxide in the world, will probably be under the obligation to reduce GHG emission from 2013. It is very important to reduce the electrical energy consumption since 30% of GHG emission in South Korea is made during electricity generation. In this study, based on "the 1st national energy master plan", the GHG emission reduction potential and the feasibility of the scenario in the electricity generation have been analyzed using LEAP(Long-range Energy Alternative Planning system). The scenario of the mater plan contains the 41% expansion of nuclear power plant facilities and the 11% diffusion of renewable energy until 2030. In result, total $CO_2$ emission reduction rate is 28.8% in 2030. Also $CO_2$ emission of unit electricity generation of bituminous coal power plant is $0.85kgCO_2/kWh$ and its LNG power plant is $0.51kgCO_2/kWh$ in BAU scenario. Therefore when existing facilities is exchanged for nuclear or renewable energy power plant, substitute of bituminous power plant is more effective than LNG power.

2005년 2월 교토의정서가 효력을 발휘하게 됨에 따라 우리나라는 세계 10위의 이산화탄소 배출국으로서 2013년 이후에는 감축의무를 지어야 할 실정이다. 특히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30%가 발전부문에 의한 것이므로 전환부문의 에너지 소비 저감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정부는 온실가스 감축환경에 대응하기 위하여 "제1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을 발표하여 원전설비를 2030년까지 최대 41%까지 확대하고, 신재생에너지보급률 또한 11%로 높이겠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이에 근거하여 원자력과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를 확대하였을 경우 온실가스 저감 잠재량과 그 유효성을 LEAP(Long-range Energy Alternative Planing system)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30년 기준으로 총 $CO_2$ 발생 저감률은 28.8% 였다. 또한 BAU 시나리오 발전량을 토대로 하였을 때 유연탄발전 $0.85\;kgCO_2/kWh$, LNG발전 $0.51\;kgCO_2/kWh$의 단위 발전량당 온실가스 배출량을 보였다. 따라서 기존설비를 대체할 시, 유연탄발전을 대체할 경우에 온실가스 저감 효과가 크다는 결론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환경부. 기후변화 원인물질저감기술의 평가시스템개발,2004
  2. 국무조정실. 기후변화협약 대응 제2차종합대책 세부추진계획, 2002
  3. 에너지관리공단. 알아둡시다! 에너지와 기후변화, 2007
  4. 실물경제. 제3차 기후변화협약 총회 이후, 1997, 47, 115
  5. 에너지경제연구원. 기후변화협약에 의거한 제3차 대한민국 국가보고서 작성 연구, 2007
  6. 에너지경제연구원. 제1차 국가 에너지기본계획, 2008
  7. Ho-Chul Shin; Jin-Won park; Ho-Seok Kim; Eui-SoonShin. Environmental and economic assessment of landfillgas electricity generation in Korea using LEAP model,Energy Policy, 2005, 33, 1261-1270 https://doi.org/10.1016/j.enpol.2003.12.002
  8. Ho-Jun Song; Seungmoon Lee; Sanjeev Maken;Se-Woong Ahn; Jin-Won Park; Byoungryul Min;Wongun Koh. Environmental and economic assessmentof the chemical absorption process in Korea using theLEAP model, Energy Policy, 2007, 35, 5109-5116 https://doi.org/10.1016/j.enpol.2007.05.004
  9. S eungmoon Lee; Jin-Won Park; Ho-Jun Song; SanjeevMakena; Tom Filburnb. Implication of CO2 capturetechnologies options in electricity generation in Korea,Energy Policy, 2008, 36, 326-334 https://doi.org/10.1016/j.enpol.2007.09.018
  10. 최성인. 화력발전설비에 도입된 화학흡수공정의 CDM 방법론 개발, 연세대학원, 2006
  11. 지식경제부, 제4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08-2022년), 2008
  12. 에너지관리공단, 2007년 신재생에너지통계, 2008
  13. 한국전력공사, 한국전력통계(2007년도 실적), 2008
  14. 산업자원부, 에너지총조사보고서, 2005
  15.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통계연보, 2007
  16. 채윤근, LEAP model을 이용한 풍력발전의 환경적.경제적 평가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7. SEI(Stockholm Environment Institute), LEAP UserGuide(Download the latest version of LEAP from :http://forums.seib.org/leap), 2006
  18. 에너지경제연구원, 기후변화협약 제3차 국가보고서 작성을 위한 기반구축연구(제3차년도),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