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Microcrack in Tertiary Crystalline Tuff from Northeastern Gyeongsang Basin

경상분지 북동부의 제3기 결정질 응회암에서 발달하는 미세균열의 분포특성

  • Park, Deok-Won (Geological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Lee, Chang-Bum (Geological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박덕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
  • 이창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We have studied the orientational characteristics of microcrack frequency, it's length and density in Tertiary crystalline tuff from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Gyeongsang Basin. 134 sets of microcracks on horizontal surfaces of 3 rock samples from Heunghae-eup were distinguished by enlarged photomicrographs of the thin sections. The variability in patterns among microcrack length-frequency histograms for three rock samples from different altitudes were derived. The pattern of histograms changes progressively from negative exponential form to log-normal form in proportion to altitude. The distribution pattern for rock sample no.1 from lower altitude shows the broad length distribution characterized by higher mean and median, and higher standard deviation. Meanwhile, this distribution pattern corresponds with characteristics of joint length distribution in sedimentary rocks of the lower part of the Gyeongsang Supergroup. The occurrence frequency of shorter microcracks increases toward both NW and NE directions from the $N0{\sim}10^{\circ}W$, with the dominant direction of $N80{\sim}90^{\circ}W$ and $N80{\sim}90^{\circ}E$, respectively. This distribution pattern represents the relative differences in formation timing among microcrack sets and the result of the new initiation of shorter microcracks. Meanwhile, the longest microcracks within $N60{\sim}70^{\circ}W$($L_{max}$:1.18 mm) and $N0{\sim}10^{\circ}W$($L_{max}$:0.80 mm) directions are seen, but this kind of microcracks are very limited in number. Whole domain of the directional angle($\theta$)-frequency(N), length(L) and density($\rho$) chart can be divided into five sections in terms of phases of the distribution of related curves. From the distribution chart, density curve shows five distinct peaks in the WNW-ESE($N70{\sim}80^{\circ}W$), NS~NNE-SSW($N0{\sim}10^{\circ}W$, $N10{\sim}20^{\circ}E$), ENE-WSW($N50{\sim}60^{\circ}E$), and nearly EW($N80{\sim}90^{\circ}E$) directions, respectively. Especially, main directions of faults correspond with the directional angle showing high density. Consequently, these distribution patterns of density curve reflect the representative maximum principal stress orientation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경상분지 북동부 일대의 제3기 결정질 응회암에서 발달하는 미세균열의 빈도수, 길이 및 밀도에 대한 분포특성을 도출하였다. 포항시 흥해읍 지역에서 채취한 3개 암석시료의 수평면 상에서 발달하는 134조의 미세균열은 박편의 확대사진을 통하여 구별하였다. 채취지점의 고도를 달리하는 3개 암석시료에 대한 미세균열의 길이-빈도 히스토그램에 대한 형태의 변화성을 도출하였다. 히스토그램들의 분포형태는 암석시료의 고도와 비례하여 음의 지수함수의 분포형에서 대수-정규의 분포형으로 점변한다. 다른 암석시료보다 고도가 낮은 암석시료 1의 분포형태는 넓은 길이분포를 보여주며, 다른 암석시료에 비하여 평균길이와 중앙값, 그리고 표준 편차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한편 이와 같은 분포특성은 하부 경상누층군의 퇴적암에서 발달하는 절리의 길이분포와 부합한다. $N0{\sim}10^{\circ}W$의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NW 및 NE의 양쪽 방향으로 갈수록 보다 길이가 짧은 미세균열의 출현빈도수는 증가하며, $N80{\sim}90^{\circ}W$$N80{\sim}90^{\circ}E$의 방향에서 각각 우세하다. 이러한 분포특성은 미세균열 조들 사이의 생성시기의 상대적인 차이 그리고 보다 짧은 미세균열의 신규 발생을 의미한다. 한편 $N60{\sim}70^{\circ}W$(최대길이:1.18 mm) 및 $N0{\sim}10^{\circ}W$(최대길이:0.80 mm)의 방향에서는 길이가 가장 긴 미세균열을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유형의 미세균열은 빈도수에 비하여 숫적으로 매우 제한적이다. 방향각($\theta$)-빈도수(N), 총길이($L_t$), 평균길이($L_m$) 및 밀도($\rho$)의 종합 분포도의 전 영역은 상관곡선의 형태에 의거, 5개의 구간으로 분류할 수가 있다. 분포도에서 밀도곡선은 서북서-동남동($N70{\sim}80^{\circ}W$), 남-북~북북동-남남서($N0{\sim}10^{\circ}W/N10{\sim}20^{\circ}E$), 동북동-서남서($N50{\sim}60^{\circ}E$) 그리고 거의 동-서($N80{\sim}90^{\circ}E$)의 방향에서 각각 5개의 뚜렷한 정점을 보여준다. 특히 단층의 주방향은 밀도가 높은 방향각과 부합한다. 결과적으로 밀도곡선의 이러한 분포형태는 기존의 연구에서 시사한 대표적인 최대 주응력 방향을 반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승, 윤건신, 김영석, 김정빈, 2007, 월성지역 단층대에서 응력 변형사 및 단층 형태 예측. 지구시스템공학회지, 44, 95-105
  2. 강지훈, 류충렬, 2006, 경상분지 의성지괴 길안면지역에서 청송화강암의 단열 발달사 및 운동성에 대한 기하학적해석. 암석학회지, 15, 180-193
  3. 김영기, 1987, 하부 경상층군에 발달하는 분리면의 특성연구. 지질학회지, 23, 120-135
  4. 김영기, 노병돈, 1989, 상부 경상누층군에 발달하는 분리면의 특성연구. 지질학회지, 25, 392-404
  5. 김영화, 장보안, 박상욱, 1996, 양산단층 지역의 화강암체내에 분포하는 열린 미세균열과 경상분지의 고응력장. 지질학회지, 32, 367-378
  6. 김옥준, 윤선, 길영준, 1968, 한국지질도(1:50,000), 청하도폭. 국립지질조사소, 16p
  7. 박덕원, 2008, 경상분지 남서부 일대의 불국사 화강암류에 서 발달하는 미세균열의 방향성. 암석학회지, 17, 206-221
  8. 박덕원, 2009, 경상분지 북동부의 제3기 결정질 응회암에서 발달하는 미세균열의 방향성. 암석학회지, 18, 115-135
  9. 박덕원, 이창범, 2007, 강화군 석모도 일대의 중생대 화강암류 및 화강암질 암맥류에서 발달하는 미세균열의 분포특성. 암석학회지, 3, 129-143
  10. 백환조, 김덕현, 최성범, 1998, 암석의 미세균열의 발달과 분포의 예측방법에 관한 연구.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 8, 226-233
  11. 서용석, 정교철, 1999, 수침삼축압축하에서 관찰되는 화강암의 미세 파괴. 지질공학회지, 9, 243-251
  12. 송윤호, 이창범, 박덕원, 김형찬, 이철우, 이성곤, 이종철, 이병태, 박인화, 이태종, 조병욱, 염병우, 이승구, 이봉주, 기원서, 박노욱, 박영수, 임무택, 현혜자, 손정술, 임형래, 황세호, 오재호, 김세준, 이윤수, 김민규, 박찬, 정용복, 천대성, 김통권, 이진수, 임성근, 2004, 심부 지열에너지개발 사업,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구보고서, 일반-04(연차)-01, 226p
  13. 엄상호, 이동우, 박봉순, 1964, 한국지질도(1:50,000), 포항도폭. 국립지질조사소, 21p
  14. 이민주, 양석준, 최진혁, 김영석, 2008, 부산 이기대 지역의 단열발달사 해석. 지질학회지, 44, 259-271
  15. 이병주, 송교영, 1995, 포항분지내 지각변형 해석. 자원환경지질학회지, 28, 67-77
  16. 이병주, 황재하, 1997, 경상분지 북동부에서의 가음단층과 양산단층의 관계. 지질학회지, 33, 1-8
  17. 이봉주, 최성자, 최위찬, 류충렬, 1999, 양산 월평지역의 제4기 단층운동 특성. 지질학회지, 35, 179-188
  18. 윤성효, 1988, 포항분지 북부(칠포-월포 일원)에 분포하는 화산암류에 대한 암석학적·층서적 연구. 광산지질학회지, 21, 117-129
  19. 장기홍, 1985, 한국지질론. 대우학술총서 자연과학, 19, 272p
  20. 장보안, 정해식, 2005, 마산 및 양산 일대의 백악기 화강암류의 아문 미세균열과 유체포유물 연구를 통한 백악기 및 신생대 고응력장 분석. 지질학회지, 41, 59-72
  21. 황재하, 1994, 백악기초 이후 한반도 남동부에 작용한 고응력 복원. 지질학회지, 30, 27-34
  22. Choi, P.Y., Kwon, S.K., Lee, S.R., Hwang, J.H., Angelier. J. and An, G.O., 2002, Late Mesozoic-Cenozoic tectonic sequence of Southeast Korea. The 1st and 2nd Symposiums on the Geology of Korea, Special Publication No. 1,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52-88
  23. Hwang, I.G. 1993, Fan-delta systems in the Pohang asin(Miocene), SE Korea. PhD Thesis, Seoul Nat'l Univ. 973p
  24. Homand, F., Hoxha, D., Belem, T., Pons, M. and Hoteit, N., 2000, Geometric analysis of damaged microcracking in granites. Mechanics of materials. 32, 361-376 https://doi.org/10.1016/S0167-6636(00)00005-3
  25. Krantz, R.L., 1983, Microcracks in rocks. Tectonophysics, 100, 449-471 https://doi.org/10.1016/0040-1951(83)90198-1
  26. spinasse, M. and Pecher, A., 1986, Microfracturing and regional stress field:a study of the preferred orientation of fluid-inclusion planes in a granite from the Massif Central, France. J. Struct. Geol., 8, 169-180 https://doi.org/10.1016/0191-8141(86)90107-0
  27. Nishiyama, T., Chen, Y., Kusuda, H., Ito, T., Kaneko, K., Kita, H. and Sato, T., 2002, The examination of fracturing process subjected to triaxial compression test in Inada granite. Engineering Geology, 66, 257-269 https://doi.org/10.1016/S0013-7952(02)00046-7
  28. Plumb, R., Engelder, T. and Yale, D., 1984, Near-surface insitu stress, 3. Correlation with microcrack fabric within the New Hampshire. J. Geophys. Res., 89, 9350-9364 https://doi.org/10.1029/JB089iB11p09350
  29. Segall, P., 1984, Formation and growth of extensional fracture sets. Geol. Soc. Am. Bull., 95, 454-462 https://doi.org/10.1130/0016-7606(1984)95<454:FAGOEF>2.0.CO;2
  30. Seo, Y.S., Jeong, G.C. and Ichikawa, Y., 2002, Microscopic observation and contact stress analysis of granite under compression. Engineering Geology, 63, 259-275 https://doi.org/10.1016/S0013-7952(01)00086-2
  31. Seo, Y.S., Seiki, T and Ichikawa, Y., 1999, Crack generation and propagation during stress relaxation of crystalline rock under water saturated uniaxial condition. J. Soc. Mat. Sci., Japan, 48, 1255-1262 https://doi.org/10.2472/jsms.48.1255
  32. Shibata, K., Uchiumi, S. and Nakagawa, T., 1979, K/Ar age results 1. Bull. Geol. Surv. Japan, 30, 675-686
  33. Sohn Y. K., Rhee, C. W. and Sohn, H., 2001, Revised stratigraphy and reinterpretation of the Miocene Pohang basinfills, SE Korea: sequence development in response to tectonic and eustassy in a back-arc basin margin. Sedimentary Geology, 143, 265-285 https://doi.org/10.1016/S0037-0738(01)00100-2
  34. Tapponier, P. and Brace, W.F., 1976, Development of stressinduced microcracks in Westerly granite. Int. J. Rock Mech. Min. Sci., 13, 103-112 https://doi.org/10.1016/0148-9062(76)91937-9
  35. Tuttle, O.F., 1949, Structural petrology of planes of liquid inclusions. J. Struct. Geol., 57, 331-356
  36. Vollbrecht, A., Rust, S. and Weber, K., 1991, Development of microcracks in granites during cooling and uplift:examples from the Variscan basement in NE Bavaria, Germany. J. Struct. Geol., 13, 787-799 https://doi.org/10.1016/0191-8141(91)90004-3
  37. Wise, D.U., 2005, Rift and grain in basement:thermally triggered snapshots of stress fields during erosional unroofing of the Rocky mountain of Montana and Wyoming. Rocky mountain geology, 40, 193-209 https://doi.org/10.2113/40.2.193
  38. Zhao, Y., Crack pattern evolution and a fractal damage constitutive model for rock. Int. J. Rock Mech. Min. Sci. 35, 349-366 https://doi.org/10.1016/S0148-9062(97)003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