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를 고려한 주거환경개선요소 설정 및 중요도 분석

Importance Analysis and Establishment of Community-Based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Items

  • 김현진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 구자훈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 원제무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발행 : 2009.12.25

초록

This study initially analyzes the meaning of Community-Based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A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factor was determin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function, components, Planning techniques of the community,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rough relative literature documenting plans for the adjustment of urban and housing environments. In terms of the methodological approach, decisions were made based on the results of an expert focus-group-interview, a goodness-of-fit test, and by using the analytic network decision-making method from which the correlation among items can be considered.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 that the, order of importance of factors for a community-based residential environment is as follows: interactional character, cognitive character, and locational character. Furthermore, the most important aspect for each of these factors are the neighbor-hood relationship in terms of the interactional character, common consciousness for the cognitive character and place for locational charac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by linking them with questionnaire items for basic resident research when a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or a plan for the adjustment of urban and housing environments is planned.

키워드

참고문헌

  1. 곽현근(2008), 현대 지역공동체의 의의와 형성전략, 한국사회와 공동체, 다산출판사
  2. 권영덕(2002),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적용을 위한 연구, 시정개발연구원
  3. 계기석 외(2000), 커뮤니티중심의 주거환경정비 연구, 국토연구원
  4. 김미영(2006), 현대공동체주의, 한국학술정보(주)
  5. 김현수(2000),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도시개발의 과제, 삼성경제연구소
  6. 김홍배 외(2008), 지역진단 지표개발과 지역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3(3), 183-196
  7. 신상영(2008), 서울시 주거환경의 질 지표와 평가에 관한 연구, 시정개발연구원
  8. 유민수 외(2008),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지표 설정을 위한 환경친화지표의 개발과 적용방안 연구, 국토계획, 43(3), 225-236
  9. 이규인(2001), 지속가능한 정주지 실현을 위한 계획목표 설정 연구, 국토계획, 36(6), 9-21
  10. 이종수(2008), 한국사회와 공동체, 다산출판사
  11. 이창수(2004), 전국 노후불량주거지역의 현황과 효율적 정비방안, 대한주택공사
  12. 이춘희(2007), 21세기 새로운 도시계획 패러다임에 따른 도시형태 연구-행정중심복합도시 국제공모 작품을 중심으로, 한양대 도시대학원 박사논문
  13. 임만택 외(2007), 지속가능한 주거환경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건설기술연구, 27(1), 161-175
  14. 정광섭 외(2009), 부동산개발사업의 투자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62, 85-105
  15. 정지웅 외(2000), 지역사회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16. 천현숙(2001),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거주자 특성과 커뮤니티 특성간 상관관계 연구, 주택연구, 9(1), 143-172
  17. 하성규 외(1999a), 커뮤니티 개념을 도입한 도시정비 활성화 방안, 대한주택공사
  18. 하성규 외(1999b), 커뮤니티 중심의 도시정비 활성화 방안, 도시연구, 5, 205-226
  19. 하성규 외(2000), 주택.도시.공공성, 박영사
  20. 한국사회사연구회(1991), 한국의 도시문제와 지역사회
  21. 한상진(1999), 도시와 공동체, 한울아카데미
  22. 홍이식 외(2004), 집합주거단지에서 지역성을 통한 커뮤니티 형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4(2), 27-30
  23. 홍인옥(2000), 커뮤니티 중심의 도시정비방안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8(1), 163-184
  24. 홍인옥(2002), 주민의 사회경제적 여건을 개선하는 주거지 정비 방안 모색, 건축, 대한건축학회
  25. 密集市街地住宅整備硏究會編集(2008),安心まちづくりガイドブック: 密集市街地を再生する, 東京:創樹社:ランドハウスビレッジ(發賣)
  26. 松原治郞(1978), コミュニティの社會學, 東京大學出版社
  27. 久保妙子.西村一朗(1986), コミュニティ生活の現狀と發展に關する調査硏究-その1 コミュニティ形成の諸要因, 日本建築學會大會學術講演梗槪集, 日本建築學會
  28. 墺田道大(1983), 都市コミュニティの理論, 東京大學出版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