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주택단지 외부공간의 친환경 수준에 따른 주민의 거주만족도와 친환경 의식 비교 연구 - 광주광역시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Environment-Friendly Awarenes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Friendly Level on the Outdoor Space of the Apartment Complex - In Case of Apartment Complex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

  • 박원규 (호남대학교 환경이공대학 조경학과) ;
  • 임선화 (호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발행 : 2009.12.25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environment awarenes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friendly level on the outdoor space of the housing complex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materials of the environment-friendly outdoor space planning of housing complex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atisfaction of the outdoor space of apartment complexes show that the complexes with the most application of environment-friendly elements had higher residential satisfaction. But there was no meaningful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complexes with the higher level of application of the environment-friendly elements and the complexes with medium level of application. Secondly, according to a comparative analysis, the overall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 apartment complexes was the same as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 outdoor space. Thirdly, the results of the correlative analysi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 awareness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apartment complexes decreases as the awareness of the environment-friendly apartment complex incre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materials for environment-friendly outdoor space planning of apartment complex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명원 외(2000), 환경친화적 요소에 관한 거주자 의식조사 연구, 대한건축학회 추계 학술발표대회논문집 계획계, 857-860
  2. 권성실.오덕성(2003), 거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지속성 측면의 계획요소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403-415
  3. 김형준(2005), 친환경 주거단지의 계획요소 및 기법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사학위논문
  4. 김혜정(2002), 환경친화형 공동주택 설계요소에 대한 거주자 의식 연구: 도시형 공동주택과 전원도시형 공동주택 거주자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8(6), 27-36
  5.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1996), 환경친화형 주거단지 모델개발에 관한연구
  6. 문수영(2003) 우리나라 공동주택의 환경친화성 평가 및 한계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7. 박원규(1999), 지속가능한 주거단지 계획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8.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0), 환경친화적 건축 및 단지개발 요소 적용 방안 연구
  9. 이경훈.정요진(2006), 공동주택의 중요설계요소 도출 및 요소별 거주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2(4), 3-12
  10. 이수성(2001), 환경친화 주거단지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학위논문
  11. 이유미.김성우(2003), 공동주택단지 옥외공간계획 수준 평가를 위한 정성적 평가지표 선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9(1), 43-51
  12. 정영선(2003), 생태개념을 도입한 환경친화적 공동주거단지 계획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사학위논문
  13. 정유선.윤정숙(2002), 환경친화형 주거단지 계획에 관한 전문가 의식조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8(11), 45-52
  14. 주옥자(1999), 공동주택단지 외부공간의 환경친화도 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사학위논문
  15. 최성필 외(2006), 공동주택의 친환경 계획요소의 거주자 만족수준 향상을 위한 중요 영향인자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2(3), 81-88
  16. 최형권(2001), 아파트 단지 계획 시 환경 친화 요소 도입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사학위논문
  17. 홍지영(2005), 주거단지 외부공간의 친환경 설계실태에 관한 연구, 호남대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