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ies on Revitalization Schemes for Fishery Villages Based on Questionnaire Survey

어촌체험 만족도 설문조사를 통한 어촌체험마을 활성화 방안 연구

  • Moon, Serng-Bae (Division of Navigation System Engineering,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문성배 (한국해양대학교 항해시스템공학부)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has been designating as Fishery village from 2001 to revitalize economy of fishery villages. But a few of the Fishery villages have been operated as general visiting tourist places or decreased the number of the tourists. In this study, a survey about some status of usage and satisfaction level with Fishery village, the preference for fishery village stay programs was conducted at 21 villages designated in Young-nam area. As a result, three revitalization plans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fishery village stay program and to promote economic growth of the fishery villages.

농림수산식품부는 어촌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2001년부터 어촌체험마을을 조성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어촌 체험마을의 경우 체험객이 감소하거나 일시적 방문관광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2006년도까지 우리나라 영남권에 선정된 총 21개 어촌체험마을을 대상으로 어촌체험마을 이용 현황 및 만족도 그리고 체험프로그램의 선호도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어촌체험마을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어가소득증대와 어촌경기회복에 기여할 수 있는 3가지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민상기, 김정연(1995), "어촌지역 관광사업 실태와 개발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 신동주, 손재영(2008), "어촌관광 방문 동기에 관한 연구-동해안 어촌체험마을을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2008년제31차 정기학술발표대회 학술연구발표 논집,pp.631-642
  3. 심호진(2009), "어촌체험마을 활성화를 위하여", 월간 KMI수산동향 9월호
  4. 이승우(2003), "어촌의 비전은 없는가?", 월간해양수산, 228,pp.60-61
  5. 홍장원(2002), "어촌체험관광마을의 발전방향", 해양수산,제1077호, pp.7-9

Cited by

  1. A Study on the Types of Visitors to Experiential Fishing Villages - Focused on the Case of Tae An-Gun in Chung Nam Province - vol.20, pp.3, 2014, https://doi.org/10.7851/ksrp.2014.20.3.045
  2. Study on Selection Attributes of Fishing Experience Villages for the Revitalization of Eco Experience Tourism vol.41, pp.6, 2013, https://doi.org/10.9715/KILA.2013.41.6.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