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Ethnic Style in Modern Fashion - Focused on Japanism Fashion -

현대 패션에 나타난 에스닉 스타일 분석 - 재패니즘을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Japanism represents a Japanese sense presented in Collections by many world-class western designers who are inspired by Japanese Kimonos. This study analyzes how the traditional Japanese costumes were applied to the modern clothing and the mix and match style appeared at the Japanism fashion based on the Fashion Collections during the three years from the spring of 2006 to the winter of 2008. The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preceding studies, literature, fashion magazines such as Vogue, Elle, Marie Claire, and the Collections during the three years.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Japanism covers: the application of Kimono design, Kimono sleeves, Kimono neck line to coats, jackets, one-pieces, and blouses;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geometrical patterns, flower patterns, and natural patterns. These patterns were presented by print, dyeing, and embroidery; lastly, the employment, utilization, function, and adjustment of Obi(belt) to Japanese style clothing and also to modern clothing. Japanism fashion presented sportism, feminism, and eroticism by using mix and match. This analysis can contribute to the application of the ethnic clothing to modern clothing.

Keywords

References

  1. 김문숙, 김현주 (1997). “하위문화를 중심으로 현대패션에서 나타난 크로스오버.”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논문집.
  2. 김영현 (2004). “현대 패션의 로맨틱 이미지에 표현된 소재 특성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보영 (2005). “현대 패션에 나타난 Mix & Match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소정 (2006). “Mix & Match Style 소재 코디네이션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변미연, 이지은, 이인성 (2007). “안나 수이 컬렉션에 나타난 에스닉 스타일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5권 1호.
  6. 세계 복식사 문화사전 편찬위원회 (2007). 패션 전문 자료사전. 용인: 한국사전연구사.
  7. 의상디자인연구회 (1992). 세계 민속의상과 패션. 서울: 학문사.
  8. 이민정, 이인성 (2009). “현대 로맨티시즘 패션에서 나타난 믹스 앤 매치 스타일 분석.” 복식문화연구 17권 4호.
  9. 장승미 (2000). “현대 패션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에 관한 연구: 90년 이후 패션디자이너의 collection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정흥숙 (1981). 서양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11. 조재연 (2006). “현대 패션에 나타난 오리엔탈 시크 스타일의 미적 특성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최무석 (2008). “현대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쟈포니즘(Japonism)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최인려, 이선희 (2007). “현대 패션에 표현된 한국과 일본 전통 복식 디자인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5권 5호.
  14. 하수정 (2004). “현대 패션에 나타난 오리엔탈 이미지 비교 분석: 동서양 패션 디자이너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황춘섭 (1985). 세계 전통복식. 서울: 수학사.
  16. 황혜란 (2003). “현대 패션과 텍스타일에 나타난 저패니즘(Japanism)에 관한 연구: 젠(Zen) 스타일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Cosgrave Bronwyn (2000). Costume & Fashion. London: Hamlyn.
  18. Kennett Frances (1994). Ethnic Dress. NY: Facts On File.
  19. Harrold Robert (1999). Folk Costumes. London: Cassell.
  20. Harrold Robert (1995). Folk Costumes of the World. NY: Blandford.
  21. S/S, Collection (2006). 서울: 동아TV.
  22. A/W, Collection (2006). 서울: 동아TV.
  23. S/S, Collection (2007). 서울: 동아TV.
  24. A/W Collection (2007). 서울: 동아TV.
  25. S/S, Collection (2008). 서울: 동아TV.
  26. S/S Milano, New York Collection (2008). Gap Japan.
  27. F/W, Paris, Milano, New York (2008). On Collection.
  28. F/W, CAT (2008), 서울: 동아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