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만 4~5세 유치원생 어머니들의 유아사회교육에 대한 인식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하여 -

Mothers' Perceptions about Early Childhood Social Education -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

  • 문혜련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Moon, Hae-Lyu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발행 : 2009.10.3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early childhood social education in kindergarten by investigating the mother's perceptions using the focus group interview. Mothers who have 4~5 year old children were selected for 3 focus group interview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mothers recognized early childhood social education as an essential step before entering elementary school. 2) The mothers were found to have recognized that the cultivation of the various social situations of the children in kindergarten would be a very important task of the kindergarten, because kindergarten is a place for children to be introduced to social experiences for the first time in their lives. 3) Most of the mothers have the perception that early childhood social education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This perception was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social educational effect of kindergarten compared to that of elementary school.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창숙. (2002). 유치원 유아의 성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고승희. (2002).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학학부모와 일반인의 인식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은하. (2003). 유치원 학부모의 반편견에 대한 정보 인식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형옥. (2001).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혜연, 김정희. (2001). 반편견 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과 현황 조사. 제주관광대학, 7, 87-104.
  6. 민혜영. (1998).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변인과 개인 내적 변인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박영자. (2001). 유치원 교사와 학부모의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용현. (1985). 창의성 높이는 교육환경. 시청각교육사.
  9. 박형원(2004). 가정폭력 노출 아동의 공격행동 감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서영숙. (2003). 유치원 교사와 학학부모의 유치원 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신귀순. (2005). 유치원 교육에 관한 학부모의 인식과 기대에 관한 실태조사. 한국생활과학회지, 14(6), 899-913.
  12. 안선희. (2006). 어머니의 사회성 발달에 관한 신념 및 대인관계 유능성이 자녀의 또래관계 관리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4(12), 43-52.
  13. 오영희, 강영식, 마지순. (2007).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가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125-145.
  14. 우매자와 노부요시. (1987). 포커스 그룹 인터뷰. 강우석 옮김. 서울: 엘.지.애드.
  15. 우재현. (1992). 심성계발을 위한 교류분석(상호교류분석) 프로그램. 대구: 정암서원.
  16. 이성숙. (2005).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을 통하여 살펴 본 학습장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이양희, 민수현. (2001). 반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 개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8(1), 77-102.
  18. 이원영, 박찬옥, 노영희. (1992). 유아의 사회성 발달 프로그램 개발 연구. 유아교육연구, 13, 65-91.
  19. 이은화, 김영옥. (1995). 유아사회교육. 서울: 양서원.
  20. 이정진 (2005). 경제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이한애, 송하나. (2008). 어머니와 교사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3(3), 205-223.
  22. 장영숙, 유승연. (2002). 유치원과 초등학교 연계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 교과교육연구, 23(2), 113-142.
  23. 장영희, 엄정애, 박수진. (2007). 우리나라 유치원-초등학교 사회과 관련 교육과정 내용 연계성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1(1), 277-293.
  24. 전영숙. (1999). 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비교. 특수교육연구, 6, 151-169.
  25. 정은선. (2004). 유치원 교육에 대한 교사와 인식.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정혁재. (2001).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 및 요구 조사: 공립유치원 특수학급 및 특수학교 유치부 부모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조순옥, 이경화, 배인자, 이정숙, 김정원, 민혜영. (2002). 유아사회교육. 서울: 창지사.
  28. 조은진. (1998). 유아교육기관을 선택하는 소비자로서 학부모의 목적과 기관 선택기준. 한국영유아보육학, 15, 191-208.
  29. 최세민. (2008). 구조화된 사회적 놀이가 발달지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반사회적 행동 및 비사회적 행동에 미친 영향. 아동교육, 17(2), 81-90.
  30. 최정숙. (1992). 취학전 교육실태와 학부모의 인식 조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최혜순. (1986).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지도. 서울: 백록출판사.
  32. 홍순옥, 안영혜. (2002). 유아의 읽기, 쓰기 지도 현황에 대한 조사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2, 195-214.
  33. Broussard, E. R. (1984). Maternal Empathy: Its Relation to Emerging Self-Representation and Empathy in Infants, In J. Liebsterberg., M. Bernstein., & D. Silver (Eds.), Empathy 2, Hillsdale, NJ: Lawrence-Erlbaum Associates.
  34. Foster, S. L., & Ritchey, W. L. (1979). Issues in the assessment of social competence in children.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12, 625-638. https://doi.org/10.1901/jaba.1979.12-625
  35. Hair, E., Halle, T., Terry-Humen, E., Lavelle, B., & Calkins, J. (2006). Children's school readiness in the ECLS-K: Predictions to academic, health, and social outcomes in first grad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1(4), 431-454. https://doi.org/10.1016/j.ecresq.2006.09.005
  36. Hong, G., & Yu, B. (2008). Effects of kindergarten retention on children's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n application of propensity score method to multivariate. Multilevel Data Developmental Psychology, 44(2), 407-421. https://doi.org/10.1037/0012-1649.44.2.407
  37. Kennedy, J. H. (1992). Relationships of maternal beliefs and childrearing strategies to social competence in preschool children. Child Study Journal, 22(1), 39-60.
  38. Krueger, R. A., & Casey, M. A. (2000). Focus Groups(3rd ed).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39. Melendez, W. R., Beck, V., & Fletcher, M. (2000). Teaching Social Studies in Early Education. NY : Delmar.
  40. Merriam, S. B. (1994). 교육학에서의 질적 사례 연구법(허미화 역). 서울: 양서원.
  41. Morgan, D. L. (1998). The Focus Group Guidebook (Focus group kit 1). CA: Sage.
  42. Mowder, B. A. (1993). Parent role research. Early Childhood Interests, 8, 6-32.
  43. Sarason, S. B. (1981). An asocial psychology and a misdirected clinical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st, 36, 827-836. https://doi.org/10.1037/0003-066X.36.8.827
  44. Seefeldt. (1997). Social Studies for the Preschool-Primary Child(7th ed). New Jersey: Merrill Prentice Hall.
  45. Wilson, S. R. (1981). A Behavior Evaluation of A Preschool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Program. The University of Arizona Press.

피인용 문헌

  1. Changes in Perception of Infancy and Early Childhood among University Students after Attending the Lecture on Human Development vol.21, pp.1, 2012, https://doi.org/10.5934/KJHE.2012.21.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