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Geographical Study of Korean Ethnic Schools in Bukkando

북간도지역(北間島地域) 민족학교(民族學校)에 관(關)한 지리학적(地理學的) 연구(硏究)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This report studies what connections was between Ethnic education movement in Bukkando and natural and human knowledge environment as a way to complement total absence of studying Anti-Japanese Movement at the Geographic levels. The summary is as following: At first, the Korean villages, where almost all spread the national schools, so there was a very close relationship. Both from a Longjing as the central plain area to the proliferation of surrounding areas. Second, schools that was adjacent to trunk road were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on the connection with traffic. After that, however, it decreased gradually. Third, the national schools suffered the dual intervention from China and Japan, experienced a difficult development process. the schools which built by Japan were spreaded areas where concentrate the schools which built by Japan were spreaded areas where concentrated many national schools, both have a close relationship. before 3.13 movement, the distribution of schools that established by the Chinese mainly spreaded the areas concentrated national schools. But, after the 3.13 movement, it appeared a tendency to spread to the Korean people area where relatively dwelled a few people.

본 연구는 북간도 지역의 항일독립운동에 대한 지리학적 차원에서의 연구로서 북간도 지역에서 민족교육운동의 핵심이었던 민족학교의 입지가 한인들의 독립운동 의지와 일본과 중국 정책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어떻게 변화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인촌이 집중된 곳에는 대부분 민족학교가 설립되어 양자는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양자 모두 용정을 중심으로 한 평야지역으로부터 공간적으로 확산되어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둘째 교통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3.13운동 이전에는 주요 간선도로와 인접한 지역에 학교의 비중이 높았으나 3.13운동 이후에는 약간의 감소를 보였다. 셋째, 민족학교는 일본과 중국 양측의 압박으로 인해 힘든 발전 과정을 겪었다. 일본인이 설립한 학교는 민족학교가 많은 지역에 집중함으로써 양자는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민족학교와 중국인 설립학교와의 관계는 3.13운동 이전에 양자의 집중지는 비슷하였지만 3.13운동 이후에 중국인 설립학교는 조선인이 상대적으로 적은 지역으로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