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행정규제정책순응에 미치는 학습지능과 사회지능의 영향력 비교

The Comparison of the Impact of IQ and Social Intelligence on the Compliance with Administrative Regulatory Policies.

  • 하옥현 (호남대학교 경찰법행정학부) ;
  • 오세윤 (호남대학교 경찰법행정학부)
  • 발행 : 2009.11.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지능과 사회지능이 행정규제정책순응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보는 것이다. 분석결과 발견된 내용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학습지능과 사회지능 사이의 상관성이 극히 낮다는 것이다. 즉, 아무리 학습지능이 높다고 하더라도 사회지능이 이에 비례해서 높아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사회지능이 학습지능보다 정책순응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는 것이다. 정책의 효율적인 집행을 위해서 사회지능을 무시해서는 성공할 수 없는 시대가 되었다. 따라서 행정규제정책의 전반적인 순환과정에 사회지능적 요소가 적극적으로 관여되도록 정책 당국과 시민사회 모두의 노력이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impact of intellectual quotient and social intelligence on compliance with the administrative regulatory policies. This study found two things. The first one is the correlation between intellectual quotient and social intelligence is not so high. No matter how high is his or her intellectual quotient may be, it cannot be said that his or her social intelligence will be high in proportion to IQ. The second one is the influence of social intelligence on administrative regulatory policies is bigger than that of intellectual quotient. So to execute a policy efficiently, we cannot succeed without consideration to the factors of social intelligence. The result of analysis implies that policy authorities and the concerned citizens should try to get the social intelligence factors involved in all processes of administrative regulatory policies such as agenda setting, decision, implementation, evaluation and feedback.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성언. 사회적압력과 비개인적 영향력이 규제순응에 미치는 영향. 음주운전단속을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대학원. 행정학박사학위논문. 128. 2004.
  2. Goleman. Daniel.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Brockman. Inc. 1995.
  3. Fardner, Howard. Frame of Mind. New York: Baise Books Inc. 1983: Albrecht. Karl. Social intelligence: The new science of success (Beyond IQ, beyond EI. applying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to human interac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006: 문은실. 호감의 법칙.랜덤 하우스 2006.
  4. 박경호 . 정윤수. 규제순응 확보전략: 규제대안 및 규제다원주의 관점에서. 한국행정연구 10(2). 2001. 여름호
  5. 규제개혁위원회.2003년도 규제개혁 연찬회 자료 2003.
  6. 남궁근. 정책학: 이론과 경험적 연구, 서울 법문사. 110-114. 2008
  7. 이시철. 행정규제 순응요인들 간의 상대적 크기 비교. 규제다원주의적 기존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행정학회, 하계 공동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정부혁신과 정책저항 249-267. 2005
  8. 국무조정실 규제순웅도 조사 및 활용지침.2003.
  9. Glanz. K. Lewis. F. & Rimer, B. Link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In Glanz K., Lewis. F. and Rimer. B. (Eds.).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19-35. San Francisco. CA. Josses-Bass. 1999.
  10. Robbins. Stephen P. Organizational Behavior. 121-122.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2001.
  11. 오석홍. 조직이론(제6판). 190-198 서울, 박영사.2009.
  12. 오석홍. 행정학(제2판),242-249. 서울, 박영사.2005.
  13. Kihlstrom. John F. & Cantor. Nancy. Social intelligence.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intelligence. 2nd ed.. 359-379.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4. Vernon, P. E. Some characteristics of the good judge of personality.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4: 42-57. 1933 https://doi.org/10.1080/00224545.1933.9921556
  15. Goleman. Daniel. Social intelligence: The new science of human relationship. 84. NY. Bantam Books. 2006
  16. 문태형. 사회지능 척도 개발 연구. 아동교육. 9(2) 127-141. 2000. 6
  17. Riggio, R. E., Messamer, J., and Throckmorton, B. Social and academic intelligence: Conceptually distinct but overlapping construc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12: 695-702. 1991. 7. https://doi.org/10.1016/0191-8869(91)90225-Z
  18. Wong, C. T. Maxwell, S. E., and Meara, N. M. A multitrait-multimethod study academic and social intelligence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 Psychology. 87: 117-133. 1995. 3. https://doi.org/10.1037/0022-0663.87.1.117
  19. Silvera. H., Martinussen. M., and Dahl. I. The Tromso social intelligence scale. a self-report measure of social intelligence. Scand. J Psychology, 42: 313-319. 2001. 9. https://doi.org/10.1111/1467-9450.00242
  20. 규제개혁위원회 .2003년도 규제개혁 연찬회 자료. 147-148. 국무조정실 2003
  21. 이시철. 행정규제 순응요인들 간의 상대적 크기 비교. 규제다원주의적 기존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행정학회, 하계 공동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정부혁신과 정책저항 2005
  22. Thorndike, E. L., Intelligence and its use. Harper's Magazine (140) , 227-235. 192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