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rvey on Prehospital Services for Acute Traumatic Hand Injury and Patient Satisfaction

초기 대응자에 따른 수지 손상 환자의 병원 전 단계 응급처치 실태와 만족도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Purpose: This study surveyed how victims with acute traumatic hand injuries received pre-hospital care and how satisfied they were with that care. Method: A total of 100 adults were interviewed using a questionnaire at one microsurgical clinic in Korea. Results: Only 12 patients (12.0%) were transported by the ambulance and the others by private or company's vehicles. Only 9 patients (9.0 %) were able to get appropriate first response from the EMTs or industrial health providers at the scene of the accidents. The mean time required for transportation from the scene of the accident to the operation room of the microsurgical clinic was $372.65{\pm}719.17$ minutes. Most of the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pre-hospital care provided by the EMT or industrial health providers but dissatisfied with that provided by lay person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re is a lack in the first response provided at the scene and the activation of EMS (Emergency Medical System) for acute hand injury.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public about the appropriate first response and rapid transportation to the appropriate microsurgical clinic.

Keywords

References

  1. 강창균, 김준범, 최재구 (1999). 수지첨부 손상의 임상적 고찰. 건국의과학학술지, 8, 123-132.
  2. 김남균 (2003). 수지손상의 임상적 분석.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진주.
  3. 김미순 (2004). 일 응급의료센타 이용 대상자의 만족도 조사 - 진료의 질적 서비스를 제외한 의료 서비스 위주로 -.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주.
  4. 김용진 (1997). 자가정맥이식을 이용한 수지접합술. 대한미세수술학회지, 6(1), 132-133.
  5. 김우경, 이병일 (1999). 수지접합술의 생존율과 문합혈관수의 상관관계. 대한미세수술학회지, 8(1), 73-79.
  6. 김재우, 조준필 (2001). 응급실에 내원한 소아의 수부손상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응급의학회지, 12(4), 503-510.
  7. 김태민, 고재문, 김효식 (1998). 최초반응자의 특성에 따른 “구조 및 응급처치 교육”에 대한 분석. 한국응급구조학회지, 2(1), 58-72.
  8. 박광철 (2002). 수지절단 환자의 재접합시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고찰.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광주.
  9. 박종필 (2000). 절단된 수지는 모두 접합을 시도해야 하나?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전.
  10. 서길준, 이승환, 조익준, 권운용, 송형곤, 이중의, 윤여규 (2001). 119구급대를 통한 서울지역 외상환자 진료체계에 대한 통계분석. 대한응급의학회, 12(2), 160-169.
  11. 양미숙 (2007). 일 대학 병원 응급의료센터 이용자의 병원 전응급의료체계의 인식도와 만족도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12. 윤은진 (2004).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이 수지재접합 수술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지각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진주.
  13. 이광석, 정현기, 윤원구, 김광회 (1988). 수지굴건 손상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정형외과학회지, 23(1), 255-267.
  14. 이대훈, 우상현, 최시호, 설정현 (1988). 수지절단 손상에 대한 재접합술의 평가와 분석. 영남의대학술지, 5(1), 23-32.
  15. 이희승 (1998). 국어대사전. 경기: 민중서림.
  16. 장문선 (2005). 수지절단 후 재접합한 환자의 손상의 의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17. 진혜화, 이상범, 도병수, 천병렬 (2007). 허혈성 흉통 환자의 응급의료센터 방문 전 상황. 영남의대학술지, 24(1), 41-54.
  18. 최덕기 (2004). 119 구급대원의 응급의료 이송체계에 관한 인식도 연구 - 서울, 부산 및 5대 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응급의학회지, 15(2), 57-63.
  19. 최시호, 김정진, 서동보, 김정철, 설정현 (1991). 소아의 수부 손상에 대한 임상적 고찰. 영남의대학술지, 8(2), 202-208.
  20. 최시호, 정영식, 설정현, 이대훈 (1988). 수지손상의 임상적 고찰. 대한성형외과학회지, 15(2), 267-279.
  21. 최혁중 (2006). 최초반응자 직업군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22. 한현언, 오석준, 김용성, 이세일 (1985). 수지재접합 수술 후 조기합병증. 대한성형외과학회지, 12(2), 215-226.
  23. Gustafsson, M., & Ahlström, G. (2004). Problems experienced during the first year of an acute traumatic hand injury - a prospective study. J Clin Nurs, 13(8), 986-995.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4.01019.x
  24. Jaquet, J. B., Kalmijn, S., Kuypers, P. D., Hofman, A., Passchier, J., & Hovius, S. E. (2002). Early psychological stress after forearm injuries: a predictor for long-term functional outcome and return to productivity. Ann Plast Surg, 49(1), 82-90. https://doi.org/10.1097/00000637-200207000-00013
  25. Marek, T., Jacek, L., Leszek, B., & Waldemar, H. (2006). Causes and consequences of hand injuries. Am J Surg, 192(1), 52-57. https://doi.org/10.1016/j.amjsurg.2005.10.055
  26. Mistovich, J. J., & Karren, K. J. (2008). Prehospital emergency care (8th ed.). NY: Prince Hall.
  27. Sagiv, P., Shabat, S., Mann, M., Ashur, H., & Nyska, M. (2002). Rehabilitation process and functional results of patients with amputated fingers. Plast Reconstr Surg, 110(2), 497-503. https://doi.org/10.1097/00006534-200208000-0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