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Visual Image Analysis of Byungsan-seowon by an Attribute of View

조망지향 속성에 따른 병산서원의 경관이미지 특성

  • Huh, Joon (Dept. of Landscap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허준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systematic visual images and factors in and outside of the main courtyard in Byungsan-seow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erms of space distribution, Ip-kyo-dang is located at an elevation of 85m and the distance to Byung-san is 365m. Byung-san with the mean gradient over $50^{\circ}$ looked so stiff, and the east side of that cliff is higher than west. In terms of the angle of elevation relationship between Man-dae-ru and Byung-san draw 10.5 degree and it suits with human scale. The D/H ratio of 1:3 makes the given place very spacious but the linear stiff shape of Byung-san may cause the feeling of closeness. The results of the visual image analysis of the main yard facing Byung-san is very positive with a score of 1.70 in openness, 1.78 in wideness, 1.96 in beauty, 1.96 in harmony for the spacious arrangement which overall, makes the seowon beautiful with many open spaces. There are 4 main implicated factors analyzed which are uniqueness, aesthetic, openness and nature. Out of the total variables, these factors' descriptive ability is 55.90% and the remaining 44.10% is error and peculiarities variables. The factor which contributed most to Byungsan-seowon's main yard's visual preference was the 'aesthetic' with B-values of 0.661 and 0.455 in the nature category.

병산서원을 대상으로 강학공간이자 내부 공간의 핵심인 강당영역과 외부지향의 매개공간이며 유상공간인 만대루를 중심으로 경관구조를 살피고 그 구도적 경관특성을 원심적 외부경관과 구심적 내부경관적 성향으로 구분하여 경관 이미지와 선호 요인을 비교 분석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병산서원의 중심공간인 입교당은 표고 약 85m 지점에 입지하고 있으며 전면에 노출된 병산(屛山)의 같은 높이까지 약 365m 이격되어 있다. 경관 매개요소인 낙동강의 폭은 백사장을 포함하여 약 240m 정도를 보이며, 병산의 경사도는 평균 $50^{\circ}$가 넘어 상당히 위압적 앙시각(仰視角)으로 지각된다. 만대루 중심에서 보여지는 병산의 앙각은 $10.5^{\circ}$를 이루고 있으며, 좌측 병산 최고봉은 약 $16^{\circ}$ 정도의 각도로 조망되는 경관구조를 이루고 있다. 한편, 입교당을 중심으로 한 강당군으로의 내부지향적 조망경관에 대한 시각 이미지 평가에서는 깨끗한 1.98, 아름다운 2.16, 친근한 2.20, 질서있는 2.21, 정적인 2.81 등의 변인이 높은 평가를 받아 경관적으로 단아하며 아름다운 공간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다. 만대루를 투사하고 낙동강변을 건너 병산까지 펼쳐지는 외부지향경관에 대한 이미지에 있어서는 열린 1.70, 넓은 1.78, 아름다운 1.96, 조화된 1.81, 질서있는 1.86 등의 변인들이 매우 높은 평가를 받아 틀에 넣어 조직화됨으로써 오히려 자연과 합치된 아름다운 경관으로 평가되었다. 병산서원 내부지향 및 외부지향 공간의 시각적 이미지를 설명하는 인자는 특이성인자, 심미성인자, 개방성인자, 자연성인자 등 모두 4개의 인자군으로 공간이미지가 함축되어 분석되었고 전체 변량 중 이들 인자군의 설명력은 55.90%이다. 병산서원 전체경관에 대한 시각선호에 가장 영향을 높게 미치는 변인은 심미성인자 및 자연성인자로 밝혀져 전통적 공간의 조망계획시 특이성이나 개방성의 창출보다는 심미성을 바탕으로 한 적절한 경관 노출과 차폐를 통한 자연성 확보가 시각적 즐거움을 창출하는데 보다 긴요함을 발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봉렬(2006) 한국건축이야기 3. 서울: 돌베게
  2. 공성준(2002) 한국전통공간에 나타난 동적시선에 의한 공간 인식변화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문희춘(1998) 병산서원의 만대루에서 보여지는 시각체계와 그 의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배미경(2002) 차경기법에 관한 실증적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양수룡(1977) 한국서원조경에 대한 연구. 진주농전논문집 13: 65-77
  6. 역사경관연구회(2009) 한국정원답사수첩. 파주: 동녘
  7. 이승희(2005) 전통조경공간에 나타나는 미의식에 관한 연구: 서원공간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9. 안영배(2008) 흐름과 더함의 공간. 서울: 다른세상
  10. 주신하, 임승빈(1998) 경관 시뮬레이션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3): 312-320
  11. 최기수(2005) 차경의 관점으로 본 한국의 전통정원.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158-165
  12. 최민용(2001) 병산서원 배치형태에 관한 연구.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하현정, 유인호(2003) 병산서원의 배치형태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9(1): 157-196
  14. 한국전통조경학회(2009) 동양조경문화사. 서울: 대가
  15. 허준, 이경찬, 김연(2007) 백양사 공간구성 및 시각이미지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4): 76-85
  16. 조원수(1979) 토목경관계획. 동경: 기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