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들의 만족 유형을 고려한 학교숲 조성방향

The Direction of School Forest Plans Considering Satisfaction of Elementary Students

  • 장철규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정성관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 장정선 (포항 생명의숲) ;
  • 김경태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오정학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Jang, Cheol-Kyu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ung, Sung-Gw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ang, Jung-Sun (Pohang Forest for Life) ;
  • Kim, Kyung-Ta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Oh, Jeong-Hak (Div. of Forest Ecolog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발행 : 2009.10.31

초록

본 연구는 경상북도에 소재하는 초등학교의 학교숲 현황을 조사하고, 주 이용자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만족도 설문을 실시하여 만족유형에 따른 학교숲 조성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학교숲의 만족도는 수목 많음 항목이 가장 높았고, 소음 감소 항목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15개의 항목별 만족도를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각각 환경적 기능, 교육 휴게 기능, 생태적 기능으로 명명하였다. 다음으로 요인 점수를 이용하여 학생들을 4개의 군집으로 유형화하였다. 그 결과, 군집 I은 환경적 기능, 군집 III은 교육 휴게 기능, 군집 IV는 생태적 기능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군집 II는 3개의 기능에 대한 만족도가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만족유형에 따라 학교별 특성을 살펴본 결과, 군집 II에 속하는 학생들이 적고, 타군집의 분포가 비슷한 학교일수록 전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학교의 경우 운동장의 많은 부분을 식재공간으로 활용하여 학교숲 면적 및 비율이 타학교에 비해 크게 나타났으며, 체험 및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학교숲을 조성할 경우 학교숲의 양적인 증가와 더불어 다양한 체험 및 교육 프로그램 등을 도입하여 환경적, 교육 휴게 및 생태적 기능 등 학생들의 만족요인을 고려해야 하며, 기존 화단에 수목을 추가하는 방식보다는 학교숲을 이용할 수 있는 공원형 방식으로 조성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school forests using a field survey and to establish the construction methods considering satisfactions of students using a satisfaction inquiry. The results of the this study are as follows: many trees had the highest score whereas reduction of noise had the lowest score in the satisfaction analysis of 15 item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3 factors were determined to be most important from 15 items of satisfaction, and they were Environmental Function, Educational and Recreational Function, and Ecological Function. Next,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using factor scores by cluster analysis. Group I had very high effectiveness in the Environmental Function and group II had low effectiveness in all factors. Also, group III had very high effectiveness in the Educational and Recreational Function, and group IV had very high effectiveness in the Ecological Func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haracter of the school on students' group, the satisfaction of school forests was high when students of group II were few and other group's students were similar. As these schools use a lot of parts of the playground for green space, there was more school forest than at other schools. Also, students of these schools were experiencing the school forest through educational programs. Therefore, school forests should be constructed by increasing the green area and considering the satisfaction factors of students through various experience and education programs and by the way utilizing wide space than adding the tree in the garden.

키워드

참고문헌

  1. 구본학(2001) 학교 교정에 학교 숲과 생태연못 만들기. 2001 대전지역 학교 숲 가꾸기 세미나 자료집. pp. 81-105
  2. 국지하, 윤용한, 박봉주, 김원태(2008) 학교숲 조성공사가 녹지공간 만족도 및 환경교육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국환경복원 녹화기술학회지 11(4): 57-66
  3. 김인호, 주신하, 안동만(2000) 초등학교 학생들의 환경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지 13(1): 122-132
  4. 김인호(2002) 학교조경활동 참여에 따른 환경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학교조경 참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인호(2007) 친환경 학교를 위한 학교숲 운동 개선방안. 한국교육시설학회지 14(1): 121-129
  6. 박강리(1995) 우리나라 학교환경교육의 모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백재봉, 최송현, 민성환, 강현미(2006) 경남지역 학교숲 조성 주체의 선호도 조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 264-268
  8. 변재상, 윤희정, 김인호(2008) 학교숲 이용실태 및 성과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6(1): 49-61
  9. 생명의 숲(2007) 학교숲 성과 및 경제적 가치 평가. 생명의숲 연구보고서
  10. 신동주, 손재영(2008) 어촌관광 방문동기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32(2):255-273
  11. 윤희정, 변재상, 김인호(2008) 학교숲 속성별 가치평가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6(3): 29-38
  12. 이상호(1997) 서울시 녹색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녹지확충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13. 이충기, 강수경(2008) 지역주민의 카지노 영향요인에 관한 국제간 비교: 강원랜드와 콜로라도 사례. 관광학연구 32(2): 53-71
  14. 이학식(2002) 한글 SPSS 10.0 가이드. 서울: 법문사
  15. 장정선(2008) 학교숲 조성 현황 및 만족도 분석: 경상북도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정성혜(1998) 학교조경의 해외사례 경향. 환경과 조경 127호. pp. 54-58
  17. 정현모(2001) 학교숲의 환경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9(2): 125-137
  18. 정현모(2002) 학교숲의 환경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조용현, 신수영(2002) 도시림의 여름 대기온도 저감효과: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0(4): 28-36
  20. Akbari, H., M. Pomerantz and H. Taha(2001) Cool surfaces and shade trees to reduce energy use and improve air quality in urban areas. Solar Energy 70(3): 295-310 https://doi.org/10.1016/S0038-092X(00)00089-X
  21. Dwyer, J. F., E. G. Mcpherson., J. W. Schoeder and R. A. Rowntree(1992) Assessing the benefits and costs of the urban forest. Journal of Arboriculture 18(5): 227-234
  22. O'Brien, L. and Richard Murray(2007) Forest school and its impacts on young children: Case studies in Britain.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6: 249-265 https://doi.org/10.1016/j.ufug.2007.03.006
  23. Wong, N. H., S. K. Jusuf, A. A. L. Win, H. K. Thu, T. S. Negara, and W. Xuchao(2007) Environmental study of the impact of greenery in an institutional campus in the tropics. Building and Environment 42: 2949-2970 https://doi.org/10.1016/j.buildenv.2006.06.004
  24. http://www.schoolfore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