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래마을의 장소 정체성에 대한 연구 - 프랑스인 주민과 방문자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lace Identity in Seo-Rae Village - Focusing on Comparison of Sense of Place between Inhabitants and Visitors -

  • 한성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
  • 임승빈 (서울대학교 조경.시스템 공학부) ;
  • 엄붕훈 (대구가톨릭대학교 조경학과)
  • Han, Sung-Mi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Im, Seung-B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 Eom, Boong-Ho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발행 : 2009.10.31

초록

최근 공공미술을 중심으로 하는 장소 만들기를 비롯한 경관계획의 증가와 함께, 도시의 사회 문화적 변화와 그 특성을 배경으로 한 외국인 마을, 도심 속 명소의 등장과 같은 다양한 장소들이 생성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장소 마케팅 또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장소성에 대한 고찰이 결여된 장소의 창조와 장소마케팅으로 인해 획일화, 상업화된 장소의 확산을 유발할 수 있으며, 따라서 환경계획 설계 분야에서의 장소성에 대한 이해와 심층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장소성 연구의 일환으로, 국내 프랑스인의 40% 이상이 거주하고 있고 서울시의 명소로 시민들이 방문하고 있는 서래마을을 대상으로 주민과 방문자의 장소성 지각의 차이와 장소적 현상을 통해 장소성 형성요인과 장소 정체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래마을은 프랑스인 주민의 주거 및 교육환경의 필요에 의해 형성된 장소로서, 이에 부합하는 활동과 의미의 범위에 한정되는 내부성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서래마을의 물리적 환경은 프랑스적 요소의 진정성이 결여된 형태로써, 이는 주민의 소극적 활동으로 연결되고 있다. 둘째, 방문자의 경우에는 프랑스 마을이라는 상징적 의미가 우세하게 작용하고 그에 따른 활동 및 의미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부환경의 프랑스적 요소의 진정성 여부는 이러한 외부성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방문자의 활동 및 장소에 대한 의미부여는 한국인으로 형성된 상권의 활성화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장소의 상업화 및 활동의 확대는 서래마을의 내부성보다 우세하게 작용하여, 내부성과 외부성의 역전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넷째, 서래마을은 내부의 경험이 아닌, 방문자의 기호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장소로써, 프랑스적 상징성을 활용하여 이루어진 대중적 정체성으로 해석된다. 다섯째, 프랑스인의 거주목적으로 이루어진 내부성은 진정성이 결여된 프랑스적 기호를 매개로 한 가공된 장소성으로 재생산 되었으며, 이는 장소의 본질적 측면 보다는 과장되고 상업화된 장소로서 피상적인 가면성을 나타내고 있다.

Places such as famous urban sights and foreign settlements have recently been created in Korea, which reflects the increase in social and cultural exchanges and the number of place-making and landscape-planning projects. Understanding place identity is required in environmental design and planning. This paper examined the components of the identity of place through comparison of perceptions of "placeness" between residents and visitors of Seo-Rae Village, Seoul, Korea. More than 40% of French nationals in Korea reside in the village, which many Koreans visit as an urban sightseeing place. Twenty-five French inhabitants and forty-one Korean visitors were surveyed. Insideness of Seo-Rae Village was formed by limited activities and needs of the residents, primarily children's education and food purchases. Residents mentioned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 especially buildings, lacked theauthenticity of French style. The symbolic meaning of the French village influenced the visitors' activities. The authenticity of French style, however, did not affect the perception of visitors and outsideness of the place. Visitors' activities and cognitive meanings of the place were formed mainly by the commercial environment established by Korean investments. Commercialization of the place and related activit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insideness of the place. The village shows the phenomenon of the reversal of insideness and outsideness. The "placeness" of Seo-Rae village has been shaped by visitors' tastes rather than the true experience of insideness. Mass identity formed by mass media using French characteristics influenced this phenomenon. Insideness formed by inhabitants appeared to be a pseudo-place, which was created by the French tastes of visitors and lacked French authenticity. Seo-Rae Villagerepresents a superficial cloak.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덕현, 김현주, 심승희 역(2005) 장소와 장소상실. Relph, E. C., Place and Placelessness, 서울: 논형
  2. 이석환, 황기원(1997)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연구. 대한 국토.도시계획학회지. 토지계획 32(5): 169-184
  3.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대학교출판부
  4. 최막중, 김미옥(2001) 장소성의 형성요인과 경제적 가치에 관한 실증분석: 대학로와 로데오거리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6(2): 153-162
  5. 홍경구(2009) 주제가로의 장소성 형성요인이 장소선택에 미치는 영향: 대구시 약전골목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눈문집 계획계 25(1): 255-262
  6. Bachelard, G.(1969) The Poetics of Space(Boston: Beacon Press) p. 211, pp. 217-218
  7. Lukermann, F.(1964) Geography as a formal intellectual discipline and the way in which it contributes to human knowledge. Canadian Geographer 8(4): 169 https://doi.org/10.1111/j.1541-0064.1964.tb00605.x
  8. Norberg-Schulz, C.(1971) Existence, Space and Architecture. London: Studio Vista
  9. Relph, E.(1976). Place and Placelessness. London: Pion Limited
  10. Tuan, Y. F.(1977) Space and Place,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