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 매립지에서 과거 해안선의 산정 (I): 항공사진의 이용

Estimation of Historical Shorelines on a Coastal Reclaimed Land (I): The Use of Aerial Photographs

  • 김백운 (군산대학교 새만금환경연구센터) ;
  • 이창경 (군산대학교 토목공학과)
  • 발행 : 2009.10.31

초록

본 논문은 매립지에서 과거의 해안선을 산정하는 방법과 문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우리나라 해안토지의 미등록 실태는 공유수면 매립 시 복잡한 토지소유권 분쟁을 초래할 수 있다. 과거의 해안선은 지적경계와 달리 해안선 정의에 대한 제도적 미흡과 더불어 해안선 변화의 특성으로 인하여 다양한 위치의 해안선이 제시될 수 있으며, 이는 해안빈지 및 포락지의 면적 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안정국가산업단지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문제를 저감할 수 있는 체계적인 해안선 조사 방법을 제시하였다. 해안선 변화가 없는 암반해안을 대상으로 매립 이전에 촬영된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조위에 근거하는 해안선을 산정하였다. 이를 지상 지형 측량 성과와 비교한 결과, 항공사진측량에 의한 해안선의 정확도는 신뢰할 만한 수준이었다.

In this paper, we discussed methods and problems for estimating historical shorelines on a reclaimed land. Since many of coastal lands are unregistered in Korea, reclamation of public waters could cause complicated land ownership dispute. Unlike cadastral boundaries, historical shorelines can be represented by those of various locations due to lack of legal definition of shoreline as well as characteristics of shoreline changes, which directly influence on the calculation of coastal and submerged land areas. Through a case study for Anjeong industrial complex, a systematic method of investigating historical shorelines was suggested to resolve the problems. For a rocky coast where shoreline changes are not likely to occur, a shoreline based on tidal datum was retrieved using aerial photographs taken before the construction of reclamation. Compared with ground survey data, the shoreline was accurate, indicating that the digital photogrammetry was reliabl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백운, 김부근, 이상룡 (2007). 낙동강 하구역 울타리 섬의 해안선 변화율.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9(4), 361-374
  2. 김재광 (2003). 지방자치단체의 구역과 해상경계획정에 관한 소고. 토지공법연구, 18, 431-451
  3. 남정호 (2004). 자연해안·서식지 총량관리제 도입 필요성과 기본방향. 월간 해양수산, 239, 68-87
  4. 이창경, 김백운, 김남용 (2007). 항공사진측량에 의한 해안선 변화 조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5(2), 15-23
  5. 장학봉 (2002). 지방자치단체간 해상경계분재의 실태 및 쟁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8(2), 45-52
  6. 최규명, 최윤수, 권재현 (2006). 해안토지의 지적공부등록실태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4(4), 45-51
  7. 최병호 (2004). 우리나라 해안선의 연혁, 한국의 해안선 정립을 위한 워크숍 논문집, 1-25
  8. 황세열, 서병덕, 진준호 (2004). 우리나라 해안선 조사측량 및 DB구축 현황, 한국의 해안선 정립을 위한 워크숍 논문집, 27-36
  9. Baily, B. and Nowell, D. (1996). Techniques for monitoring coastal change: a review and case study. Ocean & Coastal Management, 32(2), 85-95 https://doi.org/10.1016/S0964-5691(96)00058-0
  10. Camfield, F. E. and Morang, A. (1996). Defining and interpreting shoreline change. Ocean & Coastal Management, 32(3), 129-151 https://doi.org/10.1016/S0964-5691(96)00059-2
  11. Thieler, E. R. and Danforth, W. W. (1994). Historical shoreline mapping (I): Improving techniques and reducing positioning errors. Journal of Coastal Research, 10(3), 549-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