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hods for Question Presentation in New Sijo Education

새로운 시조 교육을 위한 질문 제시의 기법 - 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린 시조를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9.01.31

Abstract

Unlike Sijo researchers' wishes, there is no enough place for Sijo in school education. Its falling tendency has caused the crisis of literature. Literature is not only an act of making a human life become itself humanly but also the most effective way for communicating with all around the world. Especially, Sijo is an important genre for four reasons: (1)understanding about the traditional sentiment, ideology (thoughts), and way of life of a people, (2) including the wisdom to help us live in reality, (3)having a set pattern (standard) which is an important element to develop the language culture, (4)letting us know about the root of the racial literature. These peculiar characteristics of Sijo are the machinery and materials that can elevate the self-identity of teenager who has been undergoing emotional and psychological instability. Therefore, Sijo education should be done to draw a 'clear-map' by using the following order: to understand of Sijo and apply the subjective experience, imagination, and pre-understanding of a learner to it - to understand the embodied world in Sijo in the concrete and experience the basic manner about the way of putting the world into shape - to express the learner's idea and feeling freely and positively - the expression activity focused on their critical thinking - an appreciation expression stressed on the learner's activity to elevate the self-identity.

문학 교육을 통해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일상생활과 삶을 들여다보고, 그들의 아픔을 치유하고 그들이 건강한 삶을 영위하도록 해야 하느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의견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문학이 근본적으로 놀이이고, 만들기이고, 언어 예술이었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론(異論)이 없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과도한 입시경쟁, 맞벌이 가정의 증가, 가정 해체, 부모의 잦은 간섭과 무리한 통제 등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청소년들을 치유하는 일 역시 문학이 주도적으로 담당해야 한다는 논의는 반드시 필요하다. 시조는 우리 청소년들의 정신적 심리적 외상을 치유하는 효율적인 기재이다. 따라서 시조 교육을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시조에 담긴 전통의 전수와 창조적인 계승을 통해, 시조가 지니고 있는 세계 인식 능력과 세계를 재구성하는 능력의 함양을 통해, 시조에 면면히 흐르고 있는 생태주의와 대상에 대한 인식 태도의 복원을 통해, 그리고 시조에 쓰인 음성 언어의 회복을 통해, 우리 청소년들이 겪고 있는 정신적 심리적 외상을 치유하고 올바른 자아 정체성을 함양할 수 있는 시조 교육을 고민해야 한다. 시조 교육을 통해 시조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청소년의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해서는 '시조에 대한 이해와 학습자의 주관적인 경험과 상상력 선이해 활용하기 - 시조에 구현된 세계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형상화 방식에 대한 근본 태도를 경험하기 - 학습자의 생각과 느낌을 자유롭고 적극적으로 표현하기 - 학습자의 비판적 생각 표현을 중심으로 한 표현 활동하기 - 자아 정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자 활동 중심의 감상 표현 활동하기'의 수업 모형을 구안하여 한다. 그리고 학습 활동을 포함한 올바른 질문 제시의 기법도 필요하다. 그래야만이 학습자들이 시조를 통해 나를 표현하고 나를 절제할 수 있으며 나의 삶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지 '분명한 지도(Clear-Map)'를 그릴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