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heavy metal stabilization by dosing of chelate on the bottom ash

소각재에서의 용출억제제를 이용한 중금속 안정화에 관한 연구

  • Jang, Hyeon-Jong (University of Incheon, Department of Safety Environmental systems Engineering) ;
  • Kim, Seong-Jung (University of Incheon, Department of Safety Environmental systems Engineering)
  • 장현종 (인천대학교 안전환경시스템공학과) ;
  • 김성중 (인천대학교 안전환경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09.12.12
  • Accepted : 2009.12.29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About 35 domestic incinerators are being operated currently. There is waste management policy to reuse waste efficiently and reduce waste through incineration which include reuse, recycling and energy recovery. However, there is a critical social issue that some heavy metals(Cu, Pb) were found in bottom ash from incineration of waste. After incineration, bottom ash is treated with chemicals to prevent second pollution of heavy metals from bottom ash and increase efficiency of heavy metal stabilization.

현재 가동 중인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이 약 35여개소 정도 있으며, 폐기물관리 정책에 따라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재활용하고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폐기물 발생억제, 감량, 재이용, 재활용, 에너지 회수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소각을 통해 최종처리되는 폐기물을 최소화하려는 정책이다. 하지만, 소각 후에 발생하는 소각재에서 일부 항목(Cu, Pb)의 중금속용출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커다란 사회적 문제가 제기되어 이에 대한 대책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소각재에 포함된 중금속인 유해물질을 용출 확산되지 않도록 소각재에 대한 화학약품처리 방식인 중금속 용출억제제를 혼합하여 용출되지 않도톡 안정화시설을 개발하여 2차 환경오염의 확산억제외 바닥재 함유 중금속의 안정화 효율을 증대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윤중만, 김태형, 송영석 바닥소각재에 포함된 중금속에 대한 용출특성 분석 (2006).
  2. 환경부, 2008년 전국 생활폐기물소각시설 운영현황 (2008).
  3. 일본폐기물연구재단, 폐기물핸드북 (1997).
  4. USEPA Municipal Solid Waste Combustion Ash Database, (1994).
  5. 古角雅行, 東京都の飛灰對笑の現狀, 廢棄物學會誌, Vol.5(1) (1994).
  6. 고양시 소각시설 자체 운영관리 현황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