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고농도 biomass 활용 시스템 제안

The Proposal for High-concentrated Biomass Utilization System in Jeju

  • 강진영 (제주발전연구원) ;
  • 이수미 (제주대학교 환경공학과) ;
  • 허목 (제주대학교 환경공학과)
  • Kang, Jin-Young (Jeju Development Institute) ;
  • Lee, Su-Mi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Jeju National University) ;
  • Huh, Mock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Jeju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09.06.09
  • 심사 : 2009.06.27
  • 발행 : 2009.06.30

초록

본 논문에서는 제주지역에서 발생하는 주요 biomass에 대한 통합관리 및 자원순환체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제주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주요 biomass는 슬러지가 년간 10,818톤, 음식물쓰레기가 61,284톤, 가축분뇨 1,519,000톤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슬러지의 경우에는 해양배출, 음식물쓰레기는 자원화, 축산분뇨는 발생원에서 처리되어 액비 등의 형태로 재활용되고 있다. Biomass자원의 순환관리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방안으로는, 일본 오이타현 Hita-city에서 적용하고 있는 biomass town을 조성하고 관리하는 체계를 도입함이 적합한 사례라고 사료되었으며, 자원화체계를 구축하는 모델을 설정하여 경제성을 검토한 결과 시설규모에 차이가 있으나, 4년 이내 흑자로 전환되어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주지역의 Biomass자원의 순환관리 체계 구축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가축분뇨가 고려되어야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는 가축분뇨처리에 대한 문제점과 향후 과제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checked up biomass which occurs in the Jeju as are classified as organic waste for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review and circulation of resources. Biomass which occurs in the Jeju was the 10,818 tons of sludge, 61,284 tons of food-waste, 1,519,000 tons of livestock. Sludge is treated marine discharge, food-waste is treated regeneration and livestock is treated in the form of recycling. How to establish "System used by mechanism of recycling management on biomass resources" to introduce biomass town created by Hita-city, Oita-ken in Japan. Also there established a model system to building for recycling management of biomass and then checked up the economics. According to the report, it has the difference in facilities, but it will switch to a surplus in 4 year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economy. To be considered priority most livestock in "System used by mechanism of recycling management on biomass resources" in Jeju. So it is introduced the urgent problem and the problem awaiting solution on treating livestock in this study.

키워드

참고문헌

  1.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기후 변화대응 시범도 조성을 위한 로드맵 수립 및 시범사업 개발" (2008).
  2. NEDO, "バイオマスエネルギ-高效率轉換技術開發" p.1(2008).
  3. 환경부, "하수도 통계" (2006).
  4. 김갑수, "국내외 하수슬러지 처리${\cdot}$처분 현황 및 개선방안", 대한환경공학회지, 29(1), pp. 8-16 (2007).
  5. 제주시, 서귀포시, 남제주군, 북제주군, "환경백서", (2001-2006).
  6. 제주도, "통계연보", (2001-2006).
  7.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환경오염예방대책 종합대책 보고서", p. 35(2007).
  8. 한국중부발전(주), "제주지역 축산분뇨 발전사업 활용방안 연구용역 보고서", p. 18(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