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mination of Major Reduced Sulfur Gases Emitted from Wastes Stored in Environmental Facility Using GC/FPD

GC/FPD를 이용한 환경기초시설 폐기물의 대기중 황계열 악취물질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 이태윤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환경공학과) ;
  • 이제근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환경공학과) ;
  • 이준기 (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 대학원)
  • Received : 2008.10.22
  • Accepted : 2009.01.05
  • Published : 2009.02.01

Abstract

With the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nd waste food treatment facilities have been steadily increased. These facilities have positive effects such as the conservation of the water resources quality and waste food recycling while they also affect the neighborhood life with severe odor problems. Therefore, it was first collected sludge samples from 5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nd 5 waste food treatment facilities where the amounts of waste produced from above sites are relatively immense in Busan and estimate the $H_2S$ emission rates. Then it was selected 1 sample which has the highest emission rate of $H_2S$. Using flux chamber and GC/FPD analyses, it was tried to quantify the emitted amount of sulfonic gas concentration under anoxic condition. The sludge sample obtained from Noksan sewage treatment facility has the highest emission rate of $H_2S$. This sample contained 156.18 mg/kg $H_2S$. The odor compounds were analyzed using GC/FPD and the concentrations were converted to odor quotient. Among odor compounds the ratio of $CH_3SH$ (methylmercaptan) for the total odor quotient was 47.3% and considered to be the main odor compound in the sample.

우리나라는 경제발전과 더불어 하수종말처리장과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의 수가 꾸준히 증가해왔다. 이들 시설들은 상수원 수질보전과 음식물쓰레기 재활용과 같은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지만 한편으로는 심각한 악취문제를 유발해 인근주민들의 쾌적한 생활을 해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환경기초시설에서 발생되고 있는 탈수슬러지케잌 및 음식물쓰레기샘플을 채취, 황화수소 발생 가능량을 예측함과 동시에 발생 가능량이 많을 것으로 나타난 1개 시료를 선정하여 실험실 규모의 Flux Chamber 실험을 통해 대기 시료를 포집하여 GC/FPD분석을 실시, 혐기성 상태일 때 이들 처리장폐기물에서 대기 중으로 배출하는 황계열 악취물질에 대한 배출농도 측정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황화수소발생량이 가장 많은 시료는 녹산 하수처리장의 슬러지 샘플로 농도가 156.18mg/kg이었고, GC/FPD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악취농도지수(Odor Quotient)를 산정해 본 결과 개별 악취물질중 $CH_3SH$(methylmercaptan)이 총악취농도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47.3%로 가장 주요 악취원인물질로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기상청

References

  1. 김기현, 최여진, 안지원 (2005), 악취황 성분의 채취와 샘플백 내부의 시료 유실율 비교: 검량선의 기울기를 이용한 평가,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ol. 18, No. 4, pp. 338-343.
  2. 김대중, 서성규, 김상채 (2005), 산으로 개질된 활성탄을 이용한 메틸 메르캅탄 악취물질 제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Vol. 21, No. 2, pp. 155-160.
  3. 서용수 (2007), 미량 다성분 복합 악취물질 정량분석을 통한 악취특성 평가, 박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pp. 1-24.
  4. 손윤석, 김수연, 김조천, 박강남, 문장수 (2007), 시료채취 용기에 따른 황계열 악취물질의 안정도 평가, 한국환경분석학회지, Vol. 10, No. 2, pp. 66-71.
  5. 양성봉, 이성화 (1997), 악취의 성분분석, 동화기술, pp. 1-95.
  6. 이태윤, 이준기 (2008), 환경기초시설 폐기물의 황화수소 발생량 예측 및 GC/FPD에 의한 대기중 황계열 악취물질 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 추계 학술연구발표회 논문요약집, pp. 143.
  7. 이태윤, 이준기, 김재진 (2008), 하수슬러지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 한국지반환경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415.
  8. 전라북도 보건환경연구원 (2007), 환경기초시설 악취 저감 방안 연구, 전라북도 보건환경 연구원, pp. 12-13, 149-151, 165-174.
  9. 최용욱, 김종훈, 최건형, 신성식 (1994), GC/FPD에 의한 천연가스 중 황 함유 부취제의 정량,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ol. 18, No. 4, pp. 349-359.
  10. 환경부 (2001), 악취물질 발생원 관리방안 개선을 위한 조사 연구, 환경부, pp. 267-287.
  11. 환경부 (2005), 주요 화학물질의 악취 최소감지농도표, 환경부.
  12. 환경부 (2007), 하수도통계, 환경부.
  13. Maria Csuros (1997), Environmental Sampling and Analysis: Lab Manual, Lewis Publishing Company, pp. 295-311.
  14. Vernon L. Snoeyink, David Jenkins (1980), Water Chemistry, John Wiley & Sons, pp. 134-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