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대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분노표현 방식

Anger Expression Style by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s of College Students

  • 김영희 (한경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 정희정 (한국 부모코칭센타)
  • 발행 : 2009.12.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s and the anger expression styles, and to see how the relationship depends on the gender. The subjects, selected by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re 315 college students. The instrument is the Korean Enneagram Personality Types(Yoon 1999), which categorizes the personal types into the gut-center, the heart-center and the head-center. On the other hand, the anger expression styles, which is the anger-control as a functional role, and the anger-out and the anger-in as a dysfunctional role, is measured by the Korean version of STAXI(Chon et al 1998).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aring the personality types of students, the ratio of the students of the gut-center, that of the head-center and that of the heart-center types are in descending order. Second, It is found that students rely on the anger-out more than the other two expression styles. There also exist the gender differences in terms of the level of the anger expression: female students tend to express the anger-out and the anger-control significantly more than male student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s and the anger expression styles of student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uch that students of the gut-center style express the anger-out more severely than the head-center and the heart-center. Therefore, the findings from the study may become the basis on which the education program is designed for the sake of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especially taking into account the gender difference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경희(2000) 특성분노, 분노표현 양식과 비합리적 신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윤경(2007) 분노표현태도와 대인관계문제: 분노표현방식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3. 김교현(2000) 분노억제와 고혈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2), 181-192.
  4. 김재원(2004) 대학생의 자아발견을 위한 에니어그램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진영(2009) 에니어그램 자아발견 워크샵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현정(2003) 에니어그램으로 보는 우리 아이 속마음 : 성격에 맞춘 성공적인 자녀 양육법. 연경미디어
  7. 박은숙(2008)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이 학교폭력 가해학생의 대인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종영 역(2001) 마이클 J.골드버그 저/ 에니어그램 성격의 리더십. 서울:상상북스, 1-28.
  9. 서수균, 이훈진, 권석만(2004) 분노표출/분노억제 태도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2), 521-540.
  10. 손봉희(2003)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검사 RHETI(The Riso-Hudson Enneagram Type Indicator, version 2.5) 한글판의 신뢰도 및 타당도 조사. 이화여자 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양명희, 김은진(2007) 청소년의 분노와 자기개념 명 확성, 성격특성과 관련성 탐구. 한국청소년연구 18(1), 163-184.
  12. 양세경(2006)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성격유형, 정서 표현, 정서표현갈등간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오은경(2005) 에니어그램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효과.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윤운성(1999) 에니어그램 이해. 서울: 학지사.
  15. 윤운성(2005) 한국형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현황 분석. 에니어그램 연구 2(2), 9-49.
  16. 이경선(2003) 자기주장 훈련이 대학생의 분노억제와 분노표출의 감소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성영(2002) 대학생의 정신건강관리를 위한 에니어 그램 교육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소현(2008) 경남지역 대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특성과 식습관 및 식품기호도와의 상관관계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옥순(2008) 단기 에니어그램 집단상담이 남자고등 학생의 자아정체감, 공감능력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정섭, 김영은(2004) 대학생의 스트레스관리를 위한 에니어그램의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13(4), 438-448.
  21. 이혜련, 김경연(2008) 아동의 공격성과 분노조절 전략, 분노조절 정도간 관련성. 대한가정학회지 46 (8), 27-36.
  22. 전겸구(2000) 분노의 종합적 이해를 위한 시도. 미술치료연구 7(1), 1-31.
  23. 정윤성(2007)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수용-거부양육 태도에 따른 대학생의 분노표현 방식의 차이. 청소년상담연구 15(1), 91-103.
  24. 정희정(2006) 대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별 자기 표현과 촉진적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 사회생활과학회지 17(4), 163-173.
  25. 조성란(2005)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집단상담이 청소 년들의 대인관계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 과.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조주영(2006)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분석-고등학생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에니어그램 연구 3(2), 37-61.
  27. 주선영(2008) 보육종사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정서노동 및 정서지능.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8. 주혜명 역(2000) 돈 리처드 리소, 러스 허드슨 저/ 에니어그램의 지혜. 서울: 한문화. 1-123.
  29. 채유경(2003) 청소년 분노표현 방식의 모델 및 조절 효과 검증.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추미례(2006) 역기능적 의사소통 유형의 특성분노, 분노사고 및 분노표현에 대한 관계: Satir 역기 능적 의사소통 모델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허진(2005) 에니어그램 집단상담이 청소년의 자아정 체감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Averill JR(1983) Studies on anger and aggression: Implication for theories of emotion. American Psychologist 38, 1145-1160.
  33. Chon KK, Hahn DW, Lee CH(1998) Korean Adaptat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K): The case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3(1), 18-32.
  34. Riso DR, Hudson R (1999) The wisdom of Enneagram. New Yor: Bantan Books.
  35. Spielberger CD, Jacobs GA, Russell S, Crane RS (1983) Assessment of anger : The State-Trait Anger Scale. Advances in Personality Assessment. 2, NJ, Erlbaum. 159-187.
  36. Spielberger CD, Regeiser EC, Sydman SM(1995) Measuring the experience, expression, and control of anger. Kassinove(Ed). Anger disorder: Definition, diagnosis, and treatement. Tatlor & Francis, 50-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