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영어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갈등

The Conflicts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 Seo, Hyun-Ah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yungsung University) ;
  • Youn, Jeong-Ji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ngmyung University) ;
  • Cha, Mi-Young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illa University) ;
  • Kim, Jung-Ju (Dept. of Social Walfare, Munkyung College)
  • 발행 : 2009.12.30

초록

This research aim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develop a futur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One group interview and three privat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early education teachers to obtai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problems inherent in English education.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is an internal conflict in the teachers regarding the value of English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n addition, there are external conflicts with the children the parents, the English teacher, the program director, and the government in English educa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felt an internal conflict regarding the current, inappropriate execution of early English education which is lacking a suitable educational plan including goals and practices. Furthermore, the teacher's preference for English also contributed to the internal conflict regarding the belief in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Secondly, the external conflicts included: English teachers with inadequate understanding of comprehensive early childhood development, parents who show excessive interest in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without regard to childhood development, the reality tha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is mostly influenced by the attitudes of the program director without regard for the conflicts experienced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 and the politics of the government continuing to ignore the reality tha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ontinues in practice without being includ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2008)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2. 김경숙(1998) 조기영어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소희(1999) 조기영어교육의 실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수영(1992) 유치원 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수행위에 관한 연구-대구지역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순환, 이기숙(2008) 유치원 영어수업에서 영어담 당교사가 사용하는 교수전략과 유아반응. 유아 교육연구 28(5), 247-271.
  6. 김은미(2003) 유아영어교수법과 연령이 영어성취도 와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 김은아(1996) 유아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실태와 인식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남미경, 황해익(2003)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 유치원 원장의 교육신념 및 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육실제, 아동학회지 22(3), 167-181.
  9. 박화윤, 안라리, 하양승(1997) 유치원 영어교육의 실태와 교사의 인식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7(2), 183-206.
  10. 신동주(2007) 유아기 영어경험이 초등학교 1학년 영어학습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1(2), 349-374.
  11. 서현아, 최미현, 좌승화, 천희영(2003) 취학전'후 영어교육 환경과 초등학교 3학년의 영어 유창성과의 관계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4), 299- 319.
  12. 서혜라(1999) 영어조기교육의 실태와 효과에 관한 연 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양옥승, 김진영, 김현희, 김영실(2001) 한국 사립유 치원 영어교육의 실태. 아동학회지 22(2), 299- 313.
  14. 우남희, 이종희(1994) 한국의 조기영어교육 실태조 사. 한국아동학회 춘계 학술 논문 발표집, 21-42.
  15. 우남희(2002) 영유아에 대한 조기 영어교육의 적절 성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유아교육정책 과제 2002-16.
  16. 우남희(2007) 유아의 영어교육 경험과 지능, 창의성 과의 관계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4), 453- 474.
  17. 이경우, Craig M., 이은화, 곽향림, 이연승, 전지형 (2004) 유아영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 사.
  18. 이경옥(2002)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교 사신념에 관한 연구: 목표지향성, 교사효능감 및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 교사신념을 중심 으로, 사회과학연구 8, 195-212.
  19. 이경희, 전예화(1996) 가정과 유치원에서의 유아영 어교육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 교육학회지 3, 203-230.
  20. 이기숙, 장영희, 정미라, 홍용희(2002) 가정에서의 유아 조기. 특기교육 현황 및 부모의 인식. 유 아교육연구 22(3), 153-171.
  21. 이명조(2005) 조기영어교육 효율성에 대한 초등학교 학부모의 인식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3), 107-127.
  22. 이용숙, 김영천, 이혁규, 김영미, 조덕주, 조재식 (2005) 교육현장 개선과 함께하는 실행연구방법. 서울: 학지사
  23. 이완기(1996) 초등영어 담당교사의 양성 및 임용 체 계의 기본방향. 초등영어교육 제2호, 5-25.
  24. 이정화, 정선아(2004) 사립유치원 원장이 바라보는 특별활동의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8(4), 69-87.
  25. 이정화, 정선아, 이명조(2003) 한국유아의 조기교육. 아산재단 연구보고서 제 87집. 서울:집문당
  26. 이대균, 백경순, 정명자(2006) 유아영어교육의 연구 동향 및 내용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0(2), 95-120.
  27. 이정식, 황보영란(1998) 유치원 원장의 지도성 유형과 유치원 운영 관리와의 관계 연구, 유아교육논집 8, 17-36.
  28. 이정화, 정선아, 이명조(2003) 사립 유치원의 특별 활동 실태와 문제점.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20), 65-118.
  29. 전홍주(2009) 사립유치원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을 통해서 본 유아 영어교육의 방향. 유아교육고찰 29(3), 191-213.
  30. 조선일보(2008) 사립유치원 96% '불법 영어교육', 2008 년 10월 24일자.
  31. 최지영(2008) 균형적 언어접근법을 통한 유아 영어 교육의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4(3), 103-133.
  32. 최혜정(2006) 유아영어교사 양성과정과 연구 교과목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대구카톨릭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최혜정, 조성자(2007) 유아영어교사의 자질과 양성 교과목에 관한 실태연구. 아동학회지 28(6), 17-36.
  34. 황혜영(2005)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영어 수업에 관한 조사연구 : 교사의 배경과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Bogdan RC, Biklen SK(1991) 교육연구의 새 접근: 질적 연구. 신옥수 역. 서울: 교육과학사.
  36. Merriam SB(1991) 교육학에서의 질적 사례 연구법. 허미화 역. 서울: 양서원.
  37. Willis J(1996) The framework for task-based learning. London: Longman.
  38. Thomas DC, Hollenback J, Robert C, Preziosi W (1998) A study of Hersey and Blanchard's situational leadership theory. Leader-ship &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19, 113-116. https://doi.org/10.1108/014377398102086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