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the Recognition of Educational Training for Hotel Employees on Internalization and Job Commitment

호텔 종사원의 교육 훈련 인식이 내재화와 직무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이미숙 (그랜드 힐튼 호텔 조리팀) ;
  • 정동주 (신성대학교 호텔경영학과) ;
  • 최성웅 (경기대학교 대학원 외식조리관리) ;
  • 강대훈 (원외식서비스경영컨설팅)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One of the tasks given to the hotel business is to improve ES(Employee Satisfaction) through educational training for enhancing job efficiency and service quality, not product competition. In the current domestic field, however, ES(Employee Satisfaction) based on appropriate educational training hasn't been established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educational training including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frequency, the level of lecture conscience, motivation, and internalization along with job commitment. The cohort of women(n=128, 44.4%) and men(n=160, 55.6%) was monitored by the questionnaire data from October 13th to 31st, 2007. It was assessed by (1) the recognition of educational training, (2) educational training practices, (3)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4) brand identification, and (5) job commitment.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data coding, and the data cleaning system. As a result, it was proved that frequency, the level of lecture conscience, motivation, the recognition of necessity are in proportion to brand identification and organization identification. In addition, identification through educational training can raise the efficiency of job commitment.

호텔 산업에 주어진 과제 중 하나는 제품 경쟁이 아닌, 업무 효율성과 서비스 질 향상 등과 같은 교육 훈련을 통한 ES(내부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현 국내 시장에서, 적당한 교육 훈련에 기반을 둔 ES(내부 고객 만족도)가 제대로 확립되지 않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빈도수, 강의 자각 능력, 동기, 내재화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업무 몰입을 포함한 교육 훈련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함이다. 여성(n=128, 44.4%), 남성(n=160, 55.6%)의 연구 집단은 2007년 10월 13일부터 2007년 10월 31일까지 실시된 설문 조사에 의해 모니터링 되었다. 이는 (1) 교육 훈련에 대한 인식, (2) 교육 훈련 관행, (3) 조직 동일시, (4) 브랜드 동일시, (5) 업무 몰입 등에 의해 평가되었다. 통계학적 분석은 SPSS, 데이터 코딩, 데이터 클리닝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측정되었다. 결과적으로 주기, 강의 지각의 수준, 동기, 필요성 인식은 브랜드와 조직 동일시와 비례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교육 훈련을 통한 동일시는 업무 몰입의 효율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