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a Semi-automatic Cloth Inspection Machine for High-quality Fabric Patterns

고감성 패턴 제조를 위한 반자동 검단기의 개발

  • Kim, Joo-Yong (Department of Organic Materials and Fiber Engineering, Soongsil University) ;
  • Kim, Ki-Tai (Department of Organic Materials and Fiber Engineering, Soongsil University)
  • 김주용 (숭실대학교 유기신소재.파이버공학과) ;
  • 김기태 (숭실대학교 유기신소재.파이버공학과)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The inspection processing is for reducing loss which occurs fault because of fabric appearance. Up to now inspection machine which is used from inspection process is classified with the macrography inspection machine and the full automatic inspection machine. The macrography inspection machine is low price and efficient equipment but does not record information of fault. On the other side, the automatic inspection machine is high price, also the detection rate of one changes with effect of environment variable but able to record information of fault. It developed semi-automatic cloth inspection machine with the weak point of the macrography inspection machine and the automatic inspection machine was complemented. And when it uses information which was collected by semi-automatic cloth inspection machine, the loss rate of original fabric is able to calculate. So sewing factories will be able to predict fabric consuming quantity.

직물의 결점은 원단손실을 가중시키기 때문에, 검단공정에서 결점부위를 제거한다. 실제공장에서 이뤄지는 검단공정은 육안판정방식과 전자동 방식 중 하나를 채택하는데, 두 방식 나름대로 장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육안판정과 전자동 방식의 장점만을 모아 검출은 사람이 하지만, 결점위치 정보 제공 및 결점정보 기록을 컴퓨터가 하도록 반자동 검단기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레이저 그리드는 결점의 위치를 검단자가 쉽게 파악하도록 돕는 역할을 하며, 야드미터는 자동으로 결점의 위치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컴퓨터는 야드미터로 측정된 직물의 길이와 사람이 검출한 결점의 위치정보를 받아들여 저장하고 직물의 결점정보를 한눈에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실제 사용되는 직물을 대상으로 특정 패턴으로 재단했을 때의 손실률을 계산하여 개발된 시스템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