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ollow-up Result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The Flexible Reamer

유연성 연마기를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추시 결과

  • Chae, In-Ju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rea University Hospital) ;
  • Wang, Joon-H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rea University Hospital) ;
  • Choi, Gi-Wo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rea University Hospital) ;
  • Song, Dong-I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rea University Hospital)
  • 채인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왕준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최기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송동익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8.02.29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of the function and stability of ACL reconstruction using the flexible reamer.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98 patients who taken ACL reconstruction using the flexible reamer from March, 1999 to May, 2004. And the follow-up period was more than 12 months in all cases. We used the subjective tests including Lysholm knee score and 2000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IKDC) subjective knee score, and the objective tests such as anterior drawer test,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and KT-2000 arthrometer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Results: In the range of motion of the affected knee, the extension deficit more than 5 degree was 8 cases preoperatively and 1 case postoperatively. The flexion deficit more than 5 degree was 12 cases preoperatively and 2 cases postoperatively. The mean Lysholm knee score was 61.3 point(${\pm}3.5$ SD) preoperatively and 87.7 point(${\pm}2.0$ SD) postoperatively. The mean 2000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IKDC) subjective knee score was 49 point(${\pm}3.3$ SD) preoperatively and 84 point (${\pm}2.2$ SD) postoperatively. 93 cases were more than grade II in Lachman test preoperatively and 5 cases postoperatively. 71 cases were more than grade II in pivot shift test preoperatively but 89 cases were negative postoperatively. The mean maximal manual difference by KT-2000 arthrometer was 6.8 mm(${\pm}1.9$ SD) preoperatively and 1.8 mm(${\pm}0.8$ SD) postoperatively. Conclusion: ACL reconstruction using the flexible reamer achieved the ideal isometric point of femur and anatomic graft placement, so we could obtain good results, especially in rotational stability.

목적: 유연성 연마기를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슬관절의 기능 및 안정성에 대한 임상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유연성 연마기를 이용하여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받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 하였던 98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평가를 위해 주관적 검사로는 Lysholm knee score 및 2000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IKDC) subjective knee score를 이용하였으며, 객관적 검사로는 전방 전위 검사와 Lachman 검사, pivot shift 검사 그리고 KT-2000 arthrometer를 이용하였다. 결과: 관절 운동 범위는 5도 이상의 신전 소실이 술 전에는 8례에서 술 후 1례로 감소 하였으며 5도 이상의 최대 굴곡 소실은 술 전 12례에서 술 후 2례로 감소 하였다. 주관적 검사 중, Lysholm 점수는 술 전에 평균 61.3점(${\pm}3.5$ SD)에서 술 후에 87.7점(${\pm}2.0$ SD)으로 향상되었고, IKDC subjective knee score도 술 전 평균 49점(${\pm}3.3$ SD)에서 술 후 84점(${\pm}2.2$ SD)으로 향상되었다. 객관적 검사 중, Lachman 검사상 grade II 이상의 전방 전위를 보인 경우는 술 전 93례에서 술 후 5례로 감소하였으며 pivot shift 검사상 술 전 71례에서 grade II 이상의 양성 소견을 보였으나 술 후 음성인 경우가 89례였다. 또한 KT-2000 arthrometer 검사상 환측과 건측의 최대 전방 전위 차이는 술 전 평균 6.8 mm(${\pm}1.9$ SD)에서 술 후 평균 1.8 mm(${\pm}0.8$ SD)로 향상되었다. 결론: 유연성 연마기를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로 술 후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며, 특히 슬관절의 회전 안정성을 얻을 수 있었던 바 이는 이식물을 보다 해부학적인 위치에 이식시킬 수 있었기 때문일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