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cidence and the Patterns of Associated Injurie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Tear

전방십자인대 파열 시 동반 손상의 빈도 및 양상

  • Lee, Jung-Hwa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Yoon, Kyoung-H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Bae, Dae-Kyu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Eo, Jae-Hyou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 Kim, Jeong-Weon (Sports Medicine center, East-West Neo Medical Center, Kyung Hee University) ;
  • Park, Soo-Yeon (Sports Medicine center, East-West Neo Medical Center, Kyung Hee University)
  • 이정환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윤경호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배대경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어재형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정원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 스포츠의학센터) ;
  • 박수연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 스포츠의학센터)
  • Published : 2008.02.29

Abstract

Purpose: We purposed to analyze the incidence and the patterns of the injuries associated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tear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547 knees that had undergone ACL reconstructions and compared the associated injuries according to the time of injury(acute vs. chronic), the cause of injury(sports vs. non-sports) and the type of sports. Results: Medial collateral ligament(MCL) injury and bone contusion were more in acute injury group less than 3 months after trauma(p=0.001, 0.019) and the injuries of medial or lateral meniscus were more in chronic injury group more than 3 months after trauma(p=0.014, 0.029). The trochlea in acute injury group(p=0.027) and the medial femoral condyle in chronic injury group(p=0.011) had higher incidence of chondral injury. Grade I, II chondral injury was frequent in acute injury group(p=0.016) and grade III, IV chondral injury was frequent in chronic injury group(p=0.017). Lateral meniscus injury was frequent in sports injury group(P=0.035). Medial collateral ligament injury was frequent in ski(P=0.005), and chondral injury was in gymnastics(P=0.017). Conclusions: The incidences of medial and lateral meniscus tears and grade III, IV chondral defects were high in chronic injury group. According to the causes of the tears and the types of sports, some differences in the incidence and pattern of associated injuries were found.

목적: 전방십자인대 파열 시 손상 시기와 원인에 따른 동반 손상의 빈도 및 양상을 비교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였던 547례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손상 시기(급성과 만성), 손상 원인(운동과 비운동) 및 운동 종목에 따라 동반 손상의 빈도와 양상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손상 시기에 따라 수상 후 3개월 이내는 급성으로, 3개월 이후는 만성으로 분류하였으며 급성 손상군에서 내측 측부 인대 손상 및 골 좌상이 많았고 만성 손상군에서는 내측 및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14, 0.029). 연골 손상은 급성 손상군의 경우 대퇴 활차부에(p=0.027), 만성 손상군의 경우 대퇴 내과에 많았고(p=0.011), Grade I, II의 연골 손상은 급성 손상군에(p=0.016), Grade III, IV의 손상은 만성 손상군에(p=0.017) 많았다. 손상 원인에 따른 차이로는 운동 손상군에서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의 빈도가 높았으며(p=0.035) 비운동 손상군에서 대퇴 내과의 연골 손상이(p=0.010) 유의하게 많았다. 운동 종목 별로는 스키에서 내측 측부 인대 손상이(p=0.005), 체조에서 연골 손상이(p=0.017) 다른 종목에 비해 많았다. 결론: 내측 및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 심한 연골 손상의 빈도는 만성 손상군에서 높았고 손상 원인과 운동 종목에 따른 동반 손상의 빈도 및 양상에 차이가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