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erior Cruciate Ligament Augmentation Using Autogenous Semitendinosus Tendon

자가 반건양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보강술

  • Choi, Nam-Yo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nee societ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Han, Chang-Hwa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nee societ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In, Yo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nee societ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Moon, Chan-Woo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nee societ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Choi, Seung-Woo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nee societ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Jin, Sung-Ki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nee societ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최남용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슬관절연구회) ;
  • 한창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슬관절연구회) ;
  • 인용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슬관절연구회) ;
  • 문찬웅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슬관절연구회) ;
  • 최승욱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슬관절연구회) ;
  • 진성기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슬관절연구회)
  • Published : 2008.02.29

Abstract

Purpose: This study presents clinical result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augmentation using autogenous two-strand semitendinosus tendon in the treatment of partial ACL tears with preservation of residual port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4 to June 2006, twenty two patients who had an ACL injury underwent ACL augmentation using autogenous two-strand semitendinosus tendon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clinical results with regard to clinical findings(range of motion,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standard knee scales(Lysholm, Modified Feagin Scoring System), and KT-1000 arthrometer testing. Results: At minimum one year postoperatively, there was no limitation of range of motion. Lachman and pivot shift tests were negative in all knees. On instrumented anterior laxity test by KT-1000 arthrometer, mean side to side difference was improved from 4.6mm preoperatively to 1.7mm postoperatively. Average Lysholm score was improved from 70 to 92. Ninety one percent of cases were rated as good or excellent in Modified Feagin Scoring System. Conclusion: Augmentation using autogenous two-strand semitendinosus tendon with preservation of residual portion of the ACL seems to be an acceptable method for restoring knee stability and proprioceptive function.

목적: 저자들은 전방 십자 인대 부분 파열 환자에서 남아있는 다발을 보존한 상태로 자가 반건양건(Semitendiosus tendon) 을 이용하여 보강술을 시행한 후 추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자가 반건양건을 이용하여 전방 십자 인대 보강술을 시행한 2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술 후 관절 운동 범위, 전방 전위 정도, pivot shift 검사 및 슬관절의 기능적 평가를 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전방 전위 정도는 KT 1000 관절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슬관절의 기능적 평가는 Modified Feagin Scoring System과 Lysholm score를 측정하였다. 결과: 술 후 최소 1년 이상 추시 결과, 관절 운동 제한 소견을 보인 예는 없었으며, KT-1000 관절계를 이용한 경골 전방 전위에서는 20lb 부하시 정상측과 비교하여 평균 1.7 mm의 차이를 보였다. Modified Feagin knee scoring system에 의한 기능 평가는 91%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으며, Lysholm score는 술전 평균 70점에서 술후 평균 92점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전방 십자 인대 부분 파열 환자에서 자가 반건양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보강술은 슬관절 안정성의 유지와 더불어 고유 감각 기능을 보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