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imulation Study for Evaluation of Alternative Plans and Making the Upper-limit for Improvement in Productivity of Flow-shop with Considering a Work-wait Time

흐름생산 공정에서의 작업 대기시간을 고려한 공정 개선 상한선 도출 : H사의 공정 개선 계획안 시뮬레이션 사례를 중심으로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The design of best efficient production process is common requirements of the production strategy department and the process planning department to maximize the revenue and accomplish target production volumes in the production periods. And they use several general methods for that-line-balancing, removing of the bottle-neck process, facility ramp-up, increasing of the worker's utilization, etc. But, those methods have depended on analytic, static and arithmetic calculations, yet. So, irregular work-waiting time causing the delay time isn't include in extracting production capacity, especially in the line production process. The work-waiting time is changed irregularly along the variation of each machine and very important for calculate real product lead-time and forecasting target production volumes. At this thesis, i'm going to mention the importance of the delay time of conveyor system which can be extracted by discrete-event simulation. And suggest it as a new main variable that must be considered at designing new production system. Then experimented and tested that's effects in the H-company case, conveyor based line production process.

공정 개선의 문제는 원가 절감, 수익구조 개선을 목표로 하는 생산 전략부서, 생산 계획에 의해 제시된 제품의 목적 생산량을 달성할 수 있는 공정 설계하고자 하는(설계 공정 능력, Tact time) 공정 설계 부서의 공통 요구사항이다. 목표하는 생산량을 달성하기 위해 작게는 라인밸런싱(Line-Balancing), 병목공정 제거를 수행하고 있으며, 크게는 설비 증설, 작업자 증원 등의 공정 개선을 시도한다. 문제는 대부분의 경우, 공정 개선 프로세스가 정적 예측 기반의 수리적인 방식에 기인하고 있다는 점이며, 특히 라인 생산 기반의 컨베이어 공정의 경우, 컨베이어의 이송 능력에 따른 대기시간 부분이 배제되고 있다는 것이다. 공정 대기시간은 설비의 정미시간과는 별개의 문제로 설비의 싸이클 타임(Cycle Time)의 수치에 따라 변동하는 변수로서 중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H 사의 컨베이어 라인 공정을 대상으로 이산 사건 기반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일련의 공정 개선 프로세스를 밟아가며, 컨베이어에 의해 발생하는 공정 대기시간의 공정 개선에의 기여도를 측정하여 공정 개선의 주요 변수로서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