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각적 복잡성

Search Result 27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Effects of Web Sites' Visual factors on Communication (웹사이트의 시각적 요소가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 노방환;이진렬;김현철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4 no.1
    • /
    • pp.111-118
    • /
    • 2001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effects of the complexity levels of visual factors on user's communication in the web-sites. In this study, six complexity levels of visual factors were manipulated with four items(graphics, moving graphics, size and links) to test communication effects. As a result, user's communication was influenced by the complexity of illustration. This result shows that web sites with moderate levels of illustration complexity are more preferred than with complex or simple levels of visual complexity.

  • PDF

The complexity of opt-in procedures in mobile shopping: Moderating effects of visual attention using the eyetracker (모바일 쇼핑에서 옵트인의 절차적 복잡성 연구: 아이트래커(eyetracker) 기반 시각적 주의의 조절효과)

  • Kim, Sang-Hu;Kim, Yerang;Yang, Byunghwa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8
    • /
    • pp.127-135
    • /
    • 2017
  • Consumers tend to feel concern about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at the same time, to avoid inconvenience of procedural complexity caused by the privacy protections. The purpose of current paper i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opt-in procedural complexity and shopping behavior using smart phones, moderating by the amount of visual attentions using eyetrackers. Therefore, we created a virtual mobile Web-site in which the complexity of opt-in procedures in our experiment is manipulated and measured. Also, we measured the dwell-time of area of interest using SMI-RED 250 instrument for tracking the real eye movement.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vels of procedural complexity are related to repurchase, indicating a moderating effect of the amount of visual attentions. Finally, we discussed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management for mobile commerce.

Estimation of Optimal Water Surface Width/River Width Ratio and Investigation of Visual Preference for the River Scenery (하천경관을 고려한 적정 수면폭/하폭 비의 산정 및 시각적 선호도 조사)

  • Lee, Joo-Heon;Yoo, Sang-Wan;Jeong, Sang-Man;Kim, Do-Hee;Lee, Y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57-65
    • /
    • 2006
  • 본 연구는 유량에 의한 수면폭의 변화로 인한 하천경관의 시각적 선호도에 미치는 선호요인 파악하였다. 등간척도의 점수부가체계를 적용하여 이용자에 의한 금강경관의 시각적 선호를 평가한 후 시각적 선호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선호요인들과의 관계를 다중회귀분석방법으로 검정하였다. 수면폭 변화에 따른 금강경관의 시각적 선호요인 변수는 심미성 인자, 물리적 특성 인자, 복잡성 인자로서 3개 변수 모두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모든 선호요인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시각적 선호의 값도 증가를 가져오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다중회귀모형에서 다른 조건이 불변일 경우, 심미성 인자의 값이 증가할 때 전체적인 시각적 선호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다음으로 물리적 특성 인자가 두 번째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선호요인이 시각적 선호에 기여하는 상대적 중요도는 심미성 인자, 물리적 특성 인자, 복잡성 인자 순으로 나타났다. 심미성 인자는 복잡성 인자에 비해 3.2배 만큼 중요도가 크며 물리적 특성 인자는 복잡성 인자에 비해 3배의 중요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심미성인자는 가장 중요한 선호요인으로 판명되었다. 수면폭 변화에 따른 금강경관의 시각적 평가에 의한 선호 요인 분석 결과는 하천의 수면폭 및 수량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수위 변화로 인한 하천 경관의 선호 요인을 파악함으로서 금강 유지유량의 결정에 지침을 마련하고, 시각적 선호도에 따른 최적의 수면폭/하폭비 산정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는 수량에 의한 수면폭/하폭 비의 변화로 인한 하천경관의 수량결정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용자의 만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경관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통하여 유기농업의 실현을 도모하여 소비자의 욕구에 맞는 작물 생산 및 농촌관광단지 조성을 통해 부가가치증대 및 소득증대를 꾀함으로 농촌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해 GIS 와 RS의 기술이 농촌분야에 더 효율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농업기술센터를 통한 정보제공을 함으로써 대농민 서비스 및 농업기관의 위상이 제고 될 것으로 기대된다.여 전자파의 공간적인 가시화를 수행할 수 있었다. 본 전자파 시뮬레이션 기법이 실무에 이용될 경우, 일반인이 전자파의 분포에 대한 전문지식을 습득할 필요 없이, 검색하고자 하는 지역과 송전선, 전철 등 각종 전자파의 발생 공간 객체를 선택하여 실생활과 관련된 전자파 정보에 예측할 수 있어, 대민 환경정보 서비스 질의 개선측면에서 획기적인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사료된다.acid$(C_{18:3})$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야생 돌복숭아 과육 중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이 16.74%, 단불포화지방산 17.51% 및 다불포화지방산이 65.73%의 함유 비율을 보였는데, 이 중 다불포화지방산인 n-6계 linoleic acid$(C_{18:2})$와 n-3계 linolenic acid$(C_{18:3})$가 지질 구성 총 지방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함유 비율을 나타내었다.했다. 하강하는 약 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

  • PDF

The Effect of Spatial Attention in Hangul Word Recognition: Depending on Visual Factors (한글 단어 재인에서 시각적 요인에 따른 공간주의의 영향)

  • Ko Eun Lee;Hye-Won Lee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34 no.1
    • /
    • pp.1-20
    • /
    • 2023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spatial attention in Hangul word recognition depending on visual factors. The visual complexity of words (Experiment 1) and contrast (Experiment 2) were manipulated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 of spatial attention differs depending on visual quality. Participants responded to words with and without codas in experiment 1 and words in high-contrast and low-contrast conditions in experiment 2. The effects of spatial attention were investigated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 between the condition where spatial cues were given at the target location (valid trial) and the condition where the spatial cues were not given at the target location (invalid trial) as the cuing effects. As a result, the cuing effects were similar depending on the complexity of the words. It indicates that the effects of spatial attention were not different across the visual complexity conditions. The cuing effects were greater in the low-contrast condition than in the high-contrast condition. The greater effect of spatial attention when the contrast is low was explained as a mechanism of signal enhancement.

A Study on Methodology of Visual Quality Improvement of Landscape : The Case of the Han Riverscape (경관의 시각적 질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강경관을 중심으로-)

  • 현종영;박찬용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8 no.4
    • /
    • pp.117-125
    • /
    • 1991
  • 본 연구는 경관의 미적선호의 정보처리모형을 제시하고 LISREL 방법론을 사용하여 한강경관의 미적선호의 강화에 기여하는 구조적 인자 를 확인함으로써 한강경관의 시각적 질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 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강 경관을 대표할 수 있는 전형적이고 시각적으 로 현저한 40개의 경관의 슬라이드를 120명의 피조사자에게 보여주고 미 적평가, 선호, 가독성, 복잡성, 통일성, 신비성을 11등급의 척도를 사용하 여 측정하고 LISREL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경관번호 30을 제외하고 모형의 전체적 적합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의 결과 경관 에 대한 미적 평가와 선호가 경관의 미적선호를 타당성있게 나타내는 변 수로 확인되었으며, 통일성, 가독성, 신비성의 구조적 변수들이 경관의 시각적 질을 유의하게 강화시키는 인자로 판명되었다. 이 결과를 기초로 하여 한강 경관의 시각적 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nalysis of Visual Preference Factor for Youngsan River Scenery considering the Variation of River Stage (영산강 하천경관의 수위변화에 따른 시각적 선호요인 분석)

  • Yoo, Sang-Wan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20 no.3 s.71
    • /
    • pp.141-150
    • /
    • 2007
  •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what influence would the width of river surface have on visual preference, provided that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river does not change?" to evaluate the visual preference factors of the river scenery which could vary according to the change of water level. To estimate the minimum flow needed for river sceneries, field survey of Youngsan river was carried out to collect the field data and evaluated the visual preference factors to obtain a most preferred W/B ratio. At Youngsan bridge location, the feeling of open space factors, physical characteristic factors and complexity factors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relations to visual preferences. At Imgok bridge location, complexity factors, aesthetic factors and physical characteristic factors have significance to visual preferences. As a result of multi regression modeling, it was found that physical factors affected visual preferences the most at urban river locations and complexity factors affected the most visual preferences at rural river locations. As a results of this study, the most preferred W/B ratio was estimated as which vary from 0.5 to 0.7 and this results can contribute to the field of river landscape design to maximize the users' satisfaction level.

  • PDF

Abstract Visualization for Effective Debugging of Parallel Programs Based on Multi-threading (멀티 스레딩 기반 병렬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디버깅을 위한 추상적 시각화)

  • Kim, Young-J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0 no.3
    • /
    • pp.549-557
    • /
    • 2016
  • It is important for effective visualization to summarize not only a large amount of debugging information but also the mental models of abstract ideas. This paper presents an abstract visualization tool which provides effective visualization of thread structure and race information for OpenMP programs with critical sections and nested parallelism, using a partial order execution graph which captures logical concurrency among threads. This tool is supported by an on-the-fly trace-filtering technique to reduce space complexity of visualization information, and a graph abstraction technique to reduce visual complexity of nested parallelism and critical sections in the filtered trace. The graph abstraction of partial-order relation and race information is effective for understanding program execution and detecting to eliminate races, because the user can examine control flow of program and locations of races in a structural fashion.

Sensory Properties of Visual Scenes Experienced from Different Eye-Heights Arising from Individual Differences in Body-Heights (신장의 개인차로 인한 서로 다른 눈높이에서 경험된 시각장면의 감각적 특성)

  • Kim, Daegyu;Hyun, Joo-Seo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11
    • /
    • pp.217-225
    • /
    • 2018
  • Different eye-heights due to individuals' body heights may cause different sensory experiences against the same visual scene, eventually leading to their longer-term psycho-social and developmental individual differences.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compared sensory properties of photographs for the same scene taken from two different camera-heights (i.e., eye-heights). Two sets of photographs were taken in parallel from two cameras attached to a different height on the same pedestrian's body. Analysis of the photographs revealed that both the levels of visual saliency and complexity were greater for the photographs taken from the high eye-height than those from the low eye-height. The results indicate a possible difference in sensory properties of visual scenes perceived from two different heights, potentially exposing taller individuals to richer and more diverse sensory experiences than shorter individuals.

Edge Detection Based on Entropy (엔트로피 기반 이미지 외곽선 검출)

  • Lee, Jaeyong;Choi, Yoo-Joo;Yang, J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726-727
    • /
    • 2016
  • 정보이론에서 엔트로피는 불확실성 또는 복잡성을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개념이다. 이 개념을 차용하여 칼라 이미지에서 지역적인 복잡성을 R,G,B에 대해서 각각 엔트로피로 계산하고 R,G,B의 통계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균값을 구한 후 이 값을 임계치와 비교하여 복잡도가 큰 픽셀을 외곽선의 일부로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 알고리즘을 기존의 소벨과 프레윗 알고리즘과 비교한 결과 다양한 임계치 값에 대해서 기존 알고리즘보다 시각적으로 우수한 외곽선 겸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Composition of a Nonlinear Storytelling Board while Maintaining Vertical and Horizontal Context of Scenes (비선형 스토리텔링보드 구성과 종적 횡적 장면의 맥락 유지)

  • Hongsik Pak;Suhyeon Choi;Taegu Lee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4
    • /
    • pp.423-430
    • /
    • 2023
  • This dissertation discusses the formulation of a nonlinear storytelling board that preserves the contextual perspective of characters. Storytelling encompasses the director's creative intention by leveraging the interaction of various elements to construct a logical narrative that explores cause and effect. Its primary objective is to enhance viewers' empathy. Consequently,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comprehensive research on differentiating storytelling from storyboarding. Moreover, the integrated approach to storytelling and storyboarding holds scholarly value in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narrative composition and visualization. Thus, a study proposes a method for constructing nonlinear storytelling boards considering the discrete camera perspective and contextual scene continuity, ultimately contributing to visual complexity and correlation comprehension. This approach enables a careful and simultaneous consideration of the correlations that deepen cognition, including the physical, emotional, and event rhythms mentioned in Karen Perlman's the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