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Fuzzy AHP based Decision making Model for ground operations

지상작전수립을 위한 Fuzzy-AHP 기반의 의사결정 모델 연구

  • 이영균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
  • 김기앙 (육군 76사단) ;
  • 나홍범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
  • 박진우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자동화 시스템 공동연구소(ASRI))
  • Received : 2008.11.10
  • Accepted : 2008.12.17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he ROK army has equipped ATCIS (Army Tactical Control Information System) for the Corps echelon to visualize the battlefield and reduce the reaction time. Due to the information&surveillance equipment, uncertainty and variance of the battlefield have been decreased. However decision making for the ground operations has not changed as it depends on knowledge of the commander and staffs. The War game process to select and assess the best CoA (Course of Action) also depends on the pros and cons due to the limitation of time and capability.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intangible and tangible military strength, a new decision making process which is quantitative and useful for the military is needed. In this study, we suggest a Fuzzy-AHP based decision making model to improve troop leading procedure which is useful to evaluate and reflect intangible characteristics of the battlefield.

육군은 군단급 이하 제대에 육군전술지휘정보체계 ATCIS(Army Tactical Control Information System, 이하 ATCIS)를 구축하여 전장을 가시화하고 반응 시간의 단축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ATCIS 및 정보 감시장비의 도입으로 전장(Battlefield)의 불확실성과 가변성이 점점 줄어들고 있음에도, 지상작전을 위한 의사결정의 방법은 지휘관 및 주무 참모의 전술적 관점이나 과거 자료 및 경험에 기초한 정성적인 방법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또한, 방책(Course of Action)을 선정하고 분석하기 위한 워게임(War game)과정에서도 가용 시간 및 능력의 제한 등으로 피 아의 강약점 분석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새로운 장비도입에 따른 유 무형 전력의 균형적인 발전의 측면에서 보다 과학적이고 정량적인 의사결정방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야전부대에서 보다 빠르고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본 연구에서는 지상작전을 위한 의사결정과정인 부대지휘절차간 전장정보분석(Intelligence Preparation of the Battlefield; IPB)을 위한 지휘관 및 참모들의 상황평가에서 전장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모호한 평가 및 분석을 정량적으로 반영하고 보다 실증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Fuzzy AHP 기법을 적용한 지상작전 의사결정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