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tellar Inferior Pole: New Landmark for the Anteromedial Instrument Portal for Arthroscopic Surgery of the Medial Meniscus Posterior Horn

슬개골 하극: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부에 대한 관절경 수술을 위한 전내측 기구 삽입구의 새로운 표식

  • Kim, Young-M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Hwang, Deuk-So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June-Kyu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Shin, Hyun-Da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ang, Tae-Hwa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Dong-Kyu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Pil-Su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김영모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황득수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이준규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신현대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강태환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동규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필성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8.10.31

Abstract

Purpose: We prospectively evaluated the clinical usefulness of the patellar inferior pole (PIP) as a landmark of the anteromedial (AM) portal for the arthroscopic surgery of the medial mensiscus posterior horn (MMPH). Materials and Methods: Group 1 (50 normal left knees of adults), Group 2 (10 normal knees under anesthesia), and Group 3 (50 consecutive knees undergoing elective arthroscopic surgery for relatively simple intraarticular pathologies, or diagnostic arthroscopy) were included. In Group 1 and 2, the true lateral (A) and valgus stress lateral radiographs (B) on $30^{\circ}$ flexion were obtained, and the lines (AM portal line) passing through the PIP and distal-most medial femoral condyle (MFC) were drawn under the condition without considering the thickness of articular cartilage of MFC (1, 2-A, B group), and considering it as 2.5mm on B (1, 2-C group). Then, we investigated the meeting point of the AM portal line with medial tibial plateau (C-D percentage), and measured the distance between the PIP and the anterior joint line (E-length), and medial tibial-femoral joint space (F-length). In Group 3, the AM portal was made at the PIP level and clinical usefulness of the approach to the MMPH and body of the lateral meniscus (LM) was analyzed. Results: The average C-D percentage came out as 85.8, 101.3, 69.1% for each Group 1-A, B, C, and 102.4, 144.6, 116.8% for each Group 2-A, B, C. Measured E-length was an average of 15.1 (Group 1-A), 15.5 (Group 1-B, C), 13.1 (Group 2-A), and 12.9 mm (Group 2-B, C) and the change by valgus stress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F-length increased about 1.2 (Group 1) and 3.6 mm (Group 2) when valgus stress was applied, which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p<0.001, p<0.001). In Group 3, 49, 48 knees were classified as good for the MMPH, and the body of LM in aspect of the clinical usefulness of AM portal made on the PIP level. Conclusion: We identified the clinical usefulness of the PIP as a skin landmark of AM portal for the arthroscopic surgery of the MMPH.

목적: 내측 연골판 후각부의 관절경 수술시 전내측 삽입구의 피부 표식으로 슬개골 하극이 사용 가능한지를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정상 성인 슬관절 50예(1군), 마취하 정상 슬관절 10예(2군), 비교적 단순한 슬관절 병변의 치료 또는 진단적 관절경 시술을 받은 연속적 슬관절 50예(3군)를 대상으로 1, 2군에서 정 측면 단순 방사선 영상(A)과 외반 부하 정 측면 방사선 영상(B)을 30도 굴곡에서 촬영하여 A, B에서 대퇴골 내과의 연골 두께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 (1, 2-A, B군) 및 B에서 이를 2.5 mm로 가정한 경우 (1, 2-C군)로 구분하여 슬개골 하극과 대퇴골 내과의 최고 원위부의 연결선 (전내측 삽입구 선)을 그었다. 이 선과 내측 경골 고평부의 접점 (C-D 백분율), 슬개골 하극과 전방 관절선 사이의 거리 (E-길이), 내측 경골-대퇴 관절의 간격 (F-길이)을 계측하였다. 3군은 슬개골 하극 위치에 전내측 삽입구를 만들고, 내측 연골판 후각부 및 외측 연골판 체부로의 접근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평균 C-D 백분율은 1-A, B, C군에서 85.8, 101.3, 69.1%, 2-A, B, C군에서 102.4, 144.6, 116.8% 였다. 평균 E-길이는 15.1(1-A군), 15.5(1-B, C군), 13.1(2-A군), 12.9 mm(2-B, C군)였고, 1, 2군에서 외반 부하유무에 따른 이들 값의 변화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F-길이는 외반 부하에 의해 1, 2군에서 평균 1.2, 3.6 mm 증가하였고,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p<0.001, p<0.001). 3군에서 슬개골 하극 위치에 만든 전내측 삽입구는 내측 연골판 후각부 및 외측 연골판의 체부로의 접근성은 각각 49, 48예에서 우수하였다. 결론: 슬개골 하극이 내측 연골판 후각부의 관절경 수술시 전내측 삽입구의 피부 표식으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