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Analysis of the Design Factors Followed by Present Techniques of Waterscape Facilities in the Apartment Complex

공동주택단지 내 수경시설 연출기법에 따른 설계요소별 특성분석

  • 이경진 (공주대학교 조경학과) ;
  • 최아영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조경학과) ;
  • 송병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 Received : 2008.05.21
  • Accepted : 2008.07.15
  • Published : 2008.08.30

Abstract

This research case-study places are chosen Seoul Metropolitan City and Yong-In City where the distinction characteristics of outdoor spaces are introduced in Apartment Complex. In this study, the standard of waterscape facilities will be set through preliminary researches and detail design factors are prepared for each characteristics. Analyze and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factors through the field research of places. The Group data from Cluster Analysis, which is about waterscape facilities, is analyzed and classified by types of waterscape facilities in common residence. and then each type of characteristics and representatives of waterscape facilities founded. Waterscape facilities are charactered in 4 main types. I Type is appeared to the natural artificially mountain stream, slope and a rest space type, and feelings type. This type has twenty sites. II Type is appeared to the fewest sites(11 sites). This type is appeared to the Eco-pond, Border planting next to the waterscape facilities. III Type is appeared to the largest sites(28 sites), that is, play style water facilities of no-plantation patterns. IV Type is appeared to the retaining wall type, the rest space of bench type. Research result led, detailed plan element 64 are selected with design elements Seoul Metropolitan City and the Yong-In City at the time of the fact that well is only reflected commonly from external spaces, the type by quality which leads a statistical analysis the type quality was well reflected relatively was judged.

Keywords

References

  1. 김대현, 김대수, 신지훈, 김순분(2005) 아파트단지 옥외공간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2(6) : 52-67
  2. 김도경, 정주석(2007) IMF 이후 아파트단지 옥외공간 명칭변화와 이미지 특성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5(1) : 36-47
  3. 김영석(2002) 사회조사방법론. 서울: 나남출판
  4. 김철수(1999) 단지계획-주거환경계획의 이론과 기법. 서울: 기문당
  5. 김영신, 박영기(1999) 공동주택단지 내 수공간의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일산지구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9(1) : 21-26
  6. 남승희, 김용기(2000) 외암리 민속마을의 수공간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8(1) : 60-69
  7. 박은영(2002) 공동주택단지 리모델링시 외부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주민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박병규(2006) 주민선호를 고려한 공동주택 외부 수공간 형태에 관한 연구-서울시 브랜드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지역사회발전연구 31(1) : 95-106
  9. 서울특별시(1998) 물을 이용한 친수공간 조성 기본 및 실시설계
  10. 송병화, 양병이(2006) 서울시 공동주택단지의 친환경적 외부공간 조성을 위한 디자인요소 선정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제49권 : 147-170
  11. 송병화, 이경진, 최윤(2007) 현장실무자 인터뷰를 통한 공동주택단지 친환경요소 변경원인과 결과에 대한 연구. 국토연구 Vol 54 : 23-43
  12. 최윤, 송병화, 양병이(2007) 공동주택단지 외부공간 친환경요소의 적용현황 및 개선점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5(3) : 37-49
  13. 이광호(2001) 야간경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야간 조명환경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상연(1998) 공간에서의 물의 심미성과 정체성에 관한 연구-호텔로비공간의 수공간 연출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이영호(2003) 주거환경계획을 위한 수공간 평가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도시문제연구소 도시연구지 제 15집 : 59-67
  16. 이희봉, 홍세희(2001) 상업공간의 수공간에 대한 사용자 중심 현장연구. 중앙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논문집
  17. 주희영(1999) 도시공원의 조명설계-분당 중앙공원을 사례로 하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진금해, 최만봉, 노재현(2003) 실내조경 수공간의 이용만족도 요인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1(1) : 23-33
  19. 지남용(2002) 아파트 외부 수경시설의 시공 및 유지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허승효(2001) LED 조명기구, 용도 : 옥내외 연출용 조명기구. 한국조명설비학회 워크샵자료집 : 183-197
  21. 홍형순, 이은엽, 오희영(2004) 아파트 옥외휴게공간의 이용형태와 만족도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2(2) : 55-67
  22. Hidenobu Jinnai(1993) Italian Aquascapes. Process Architecture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