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군집분석자료

Search Result 1,00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K-모드 알고리즘과 ROCK 알고리즘의 비교 및 개선방안

  • 김보화;김규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163-167
    • /
    • 2001
  • 데이터 마이닝에서 분석의 대상으로 하는 대용량 자료에는 연속형 자료와 범주형 자료가 모두 포함된다. 전통적인 군집분석은 연속형 자료를 대상으로 하는 방법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범주형 자료를 대상으로 하는 군집분석방법인 K-모드 알고리즘과 락(ROCK) 알고리즘을 비교${\cdot}$분석하였다. 그리고 두 알고리즘이 갖는 방법론적인 단점을 보안하여 군집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Comparison of the Cluster Validation Methods for High-dimensional (Gene Expression) Data (고차원 (유전자 발현) 자료에 대한 군집 타당성분석 기법의 성능 비교)

  • Jeong, Yun-Kyoung;Baek, Jang-Su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0 no.1
    • /
    • pp.167-181
    • /
    • 2007
  • Many clustering algorithms and cluster validation techniques for high-dimensional gene expression data have been suggested. The evaluations of these cluster validation techniques have, however, seldom been implemented. In this paper we compared various cluster validity indices for low-dimensional simulation data and real gene expression data, and found that Dunn's index is the most effective and robust, Silhouette index is next and Davies-Bouldin index is the bottom among the internal measures. Jaccard index is much more effective than Goodman-Kruskal index and adjusted Rand index among the external measures.

Detecting Space-Time Clusters in Linear Point Data (선형 점자료에 있어서의 시.공 복합 군집의 탐색)

  • 홍상기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2
    • /
    • pp.325-338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시.공 복합적인 선형 점 자료를 대상으로 시간과 공간을 함께 고려했을 때 자료 내에 군집(cluster)-시.공 복합 군집(space-time cluster)-이 존재하는 가를 검증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실제 교통사고지점의 분포자료를 분석하여 군집의 유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통계 분석의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확인되었다. 첫째, Knox의 분할표 방법과 Mantel의 역수 변환을 이용한 일반화된 회귀분석방법 모두 임계 거리 및 임계 시간 간격의 선택이 분석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이러한 임의성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임계 거리 및 임계 시간 간격(혹은 부가 상수)에 대해 반복 실험한 결과, 일부 임계값의 조합에서 시간과 공간이 서로 독립적이라는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셋째, 시.공 복합 군집의 파악에 가장 적합한 임계 거리와 임계 시간 간격은 공간적으로는 7000m, 시간적으로는 14일 혹은 21일이다. 마지막으로, 통계 분석과정에서 자료에 존재하는 중복 기록 사고들의 존재가 밝혀짐으로써 시.공 복합군집 검증이 탐험적 자료 분석(exploratory data analysis)의 도구로서 가지는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Cluster analysis by month for meteorological stations using a gridded data of numerical model with temperatures and precipitation (기온과 강수량의 수치모델 격자자료를 이용한 기상관측지점의 월별 군집화)

  • Kim, Hee-Kyung;Kim, Kwang-Sub;Lee, Jae-Won;Lee, Yung-Seop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8 no.5
    • /
    • pp.1133-1144
    • /
    • 2017
  • Cluster analysis with meteorological data allows to segment meteorological region based on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By the way, meteorological observed data are not adequate for cluster analysis because meteorological stations which observe the data are located not uniformly. Therefore the clustering of meteorological observed data cannot reflect the climate characteristic of South Korea properly. The clustering of $5km{\times}5km$ gridded data derived from a numerical model, on the other hand, reflect it evenly. In this study, we analyzed long-term grid data for temperatures and precipitation using cluster analysis. Due to the monthly difference of climate characteristics, clustering was performed by month. As the result of K-Means cluster analysis is so sensitive to initial values, we used initial values with Ward method which is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method. Based on clustering of gridded data, cluster of meteorological stations were determined. As a result, clustering of meteorological stations in South Korea has been made spatio-temporal segmentation.

A Study of the Fuzzy Clustering Algorithm using a Growth Curve Model (성장곡선을 이용한 퍼지군집분석 기법의 연구)

  • 김응환;이석훈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4 no.2
    • /
    • pp.439-448
    • /
    • 2001
  • 본 연구는 시간자료(Longitudinal data)의 분석을 위하여 Fuzzy k-means 군집분석 방법을 확장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군집분석방법은 각각의 개체에 대응하는 성장곡선에 Fuzzy k-means 군집분석의 알고리즘을 결합하는 것을 핵심아이디어로한다. 분석결과는 생성된 군집을 성장곡선모형으로 표현할 수 있고 또한 추정된 모형의 식을 활용하여 새로운 개체를 분류도 할수 있음을 보인다. 그리고 이 군집분석방법은 아직 자라지 않은 나이 어린 개체가 미래에 어느 군집에 속할 것인가 하는 분류와 함께 이 개체의 향후 성장상태를 예측을 하는 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원숭이(macaque)의 상악동(maxillary sinus)의 자료에 적용한 실례로 보인다.

  • PDF

A Review of Cluster Analysis for Time Course Microarray Data (시간 경로 마이크로어레이 자료의 군집 분석에 관한 고찰)

  • Sohn In-Suk;Lee Jae-Won;Kim Seo-Young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9 no.1
    • /
    • pp.13-32
    • /
    • 2006
  • Biologists are attempting to group genes based on the temporal pattern of gene expression levels. So far, a number of methods have been proposed for clustering microarray data. However, the results of clustering depends on the genes selection, therefore the gene selection with significant expression difference is also very important to cluster for microarray data. Thus, this paper present the results of broad comparative studies to time course microarray data by considering methods of gene selection, clustering and cluster validation.

Comparison of clustering methods of microarray gene expression data (마이크로어레이 유전자 발현 자료에 대한 군집 방법 비교)

  • Lim, Jin-Soo;Lim, Do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3 no.1
    • /
    • pp.39-51
    • /
    • 2012
  • Cluster analysis has proven to be a useful tool for investigating the association structure among genes and samples in a microarray data set. We applied several cluster validation measure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clustering algorithms for analyzing microarray gene expression data, including hierarchical clustering, K-means, PAM, SOM and model-based clustering. The available validation measures fall into the three general categories of internal, stability and biological. The performance of clustering algorithms is evaluated using simulated and SRBCT microarray data. Our results from simulated data show that nearly every methods have good results with same result as the number of classes in the original data. For the SRBCT data the best choice for the number of clusters is less clear than the simulated data. It appeared that PAM, SOM, model-based method showed similar results to simulated data under Silhouette with of internal measure as well as PAM and model-based method under biological measure, while model-based clustering has the best value of stability measure.

Strategy for Visual Clustering (시각적 군집분석에 대한 전략)

  • 허문열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4 no.1
    • /
    • pp.177-190
    • /
    • 2001
  •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군집분석의 방법들은 개체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이들을 분류해 내는 것이며, 따라서 거리 측정 방법에 따라 여러 형태의 군집분석 방법이 나타나게 된다. 어떤 방법을 적용하던 간에 그 결과는 고정된 수치로써 나타난다. 다차원 자료의 구조파악이 몇 개의 수치로 나타나게 되면 어쩔 수 없이 정보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시각적 매체를 동원하여 다차원 자료의 구조를 파악하는 연구가 있었으며, 이를 시각적 군집분석이라고 명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군집분석에 대한 기본적 개념과 이를 위한 통계 도형의 활용, 구현방법 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 PDF

Comparison of the Cluster Validation Techniques using Gene Expression Data (유전자 발현 자료를 이용한 군집 타당성분석 기법 비교)

  • Jeong, Yun-Kyoung;Baek, Jang-Sun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4a
    • /
    • pp.63-76
    • /
    • 2006
  • Several clustering algorithms to analyze gene expression data and cluster validation techniques that assess the quality of their outcomes, have been suggested, but evaluations of these cluster validation techniques have seldom been implemented. In this paper we compared various cluster validity indices for simulation data and real genomic data, and found that Dunn's index is more effective and robust through small simulations and with real gene expression data.

  • PDF

Time Control Microarray 자료의 군집 분석에 관한 고찰

  • Son, In-Seok;Lee, Ja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299-304
    • /
    • 2003
  • 생물학자들은 시간 패턴에 따라 발현 수준이 변화하는 유전자의 군집화를 시도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군집 방법의 비교 연구가 주로 진행되어 왔으나, 군집화 이전의 유전선택 방법에 따라 군집화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유전자 선택 단계도 같이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ime Control Microarray 자료를 가지고 군집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유전자 선택, 군집분석 방법의 선택, Validation 방법의 선택 등 3가지 요인별로 보다 폭 넓은 비교 연구를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