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imation of the Marginal Walking Time of Bus Users in Small-Medium Cities

중·소도시 버스이용자의 한계도보시간 추정

  • 김경환 (경상대학교 도시공학과, 환경 및 지역발전연구소) ;
  • 유환희 (경상대학교 도시공학과, 2단계 BK21 지역특화도시연구인력양성사업팀) ;
  • 이상호 (경상대 대학원 도시공학전공)
  • Received : 2007.12.21
  • Accepted : 2008.04.30
  • Published : 2008.07.31

Abstract

Establishing realistic bus service coverage is needed to build optimum city bus line networks and reasonable bus service coverage area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walking time and marginal walking time of small-medium cities and constructing an ANFIS (Adaptive Neuro-Fuzzy Inference System) model to estimate the marginal walking time for certain age and income. The cities of Masan, Chongwon and Jinju are selected for study cities. The 80 percentile of present walking time of bus users of these cities are 10.2-11.1 minutes, thus the values are greater than the 5 minutes of the maximum walking time in USA and the marginal walking times of 21.1-21.8 minutes are much greater. An ANFIS model based on pulled data of the cities are constructed to estimate the marginal walking time of small-medium cities.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rginal walking time and age/income by using the model, the marginal walking time decreases as the age increases, but is near constant from the age of 25 to 35. And the marginal walking tim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income. In comparing the surveyed and the estimated values, as the statistics of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MSE and MAE are 0.996, 0.163, 0.333 respectively, it may be judged that the explainability of the model is very high. The technique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other cities.

현실적인 버스서비스권역 설정은 시내버스의 합리적인 노선망 및 서비스권역 구축을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중소도시 버스이용자들의 현재도보시간 및 한계도보시간을 추정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며 연령 및 소득수준별 한계도보시간 추정을 위해 ANFIS 모형을 구축코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의 마산시, 창원시, 진주시가 연구대상 도시로 선정되었다. 경남의 중소도시 버스이용자들의 현재도보시간의 80% 누적분포 값(미국의 최대도보시간에 해당)은 10.2-11.1분으로 미국의 최대도보시간 5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계도보시간은 21.1-21.8분으로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도시의 한계도보시간 추정을 위해 세 도시의 데이터를 통합한 ANFIS 모형을 구축하였다. 연령과 한계도보시간과의 관계에서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한계도보시간이 감소하나 25세에서 35세 사이에는 한계도보시간에 변화가 없는 소강상태를 보이며 수입과 한계도보시간은 반비례하는 선형관계를 보였다. 구축된 ANFIS 모형을 이용한 추론치와 조사치의 비교에서 0.996, MSE 0.163, MAE 0.333으로 예측력이 아주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은 타 중소도시의 한계도보시간 추정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점산, 권용석(2005) 이용자 속성을 고려한 버스서비스권역 결정모형의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3권 제3호
  2. 박종진, 최규석(2001) 퍼지제어시스템, 교우사
  3. 서의훈(2002) SPSS 10.0 한글판을 이용한 SPSS 통계분석, 自由아카데미
  4. 이광용, 오길록(1997) 퍼지이론 및 응용, 홍릉과학출판사
  5. 이현엽, 문경일(1999) MATLAB을 이용한 퍼지-뉴로, 도서출판 아진
  6. 정헌술(2005) MATLAB Toolbox 핸드북, 도서출판 아진
  7. Fuzzy Logic Toolbox for Use with Matlab User's Guide Version 2.0(2000) The MathWorks, Inc.
  8. Hines, J.W. (1997) Matlab Supplement to Fuzzy and Neural Approaches in Engineering, John Wiley & Sons, Inc.
  9. Kim, K.W. and Lee, D.H. (2008) A model to estimate the marginal walking time of bus users by using adaptive neuro-fuzzy inference system,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12, No. 32 https://doi.org/10.1007/s12205-008-0197-7
  10. Nelson/Nygaard Consulting Associates (1997) Tri-Met Transit Network Phase Report, Portland, PA
  11. Spasovic, L.N., Boile, M.P., and Bladikas, A.K. (1994) Bus transit service coverage for maximum probit and social welfare, Transportation Rsearch Record 1451
  12. Spasovic, L.N. and Schonfeld, P.M. (1993) Method for optimizing transit service coverage,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402
  13.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003). Transit Capacity and Quality of Service Manual-2nd edition: 3-9 - 3-11, TCRP Report 100, Washington, DC
  14.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999) A Handbook for Measur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