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Guidance Methodology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 Information in Large-Sized Underground Facilities in Fire

대형 지하시설물에서 화재발생 시 USN정보를 이용한 피난 유도 방안

  • Received : 2008.03.06
  • Accepted : 2008.04.26
  • Published : 2008.07.31

Abstract

Because of the insufficiency of ground space, the utilization of underground is getting more and more in these days. Moreover, underground space is being used not only buildings but multipurpose space for movement, storage and shopping. However, ground space has vital weakness for fire compared to ground space. Especially in case of underground shopping center, there are various stuffs to burn and poisonous gas can be exposed on this count when the space is burned. A large number of casualties can be also occurred from conflagration as underground space has closed structures that prevent rapid evacuation and access. Therefore, this research proposes the guidance methodology for evacuation from conflagration in large-sized underground facilities. In addition, suggested methodology uses high technology wireless sensor information from up-to-date ubiquitous sensor networks. Fire information collected by sensors is integrated with existing underground facilities information and this is sent to guidance systems by inducing process. In the end, this information is used for minimum time paths finding algorithm considering the passageway capacity and distance. Also, usefulness and inadequacies of proposed methodology is verified by a case study.

토지이용 밀집에 따른 지상공간의 부족으로 점차 지하공간의 활용이 늘어가고 있다. 단지 건축물 지하공간의 활용이 아닌 이동공간으로서, 저장창고로서, 밀집상가로서의 지하시설물의 공간적 크기가 확대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지하공간은 지상에 비해 화재에 취약한 약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유동인구가 많은 지하상가의 경우 대부분 불에 타기 쉬운 옷가지가 많고,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유독가스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폐쇄적인 구조로 피난 및 접근이 어려워 대형인명피해의 위험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잡한 구조의 지하시설물에서 화재시 연기 및 불길을 피해 안전하고 빠르게 피난자들을 대피시키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최근 첨단기술의 발달로 저렴한 비용으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주변환경의 센서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해졌고,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피난 유도를 위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연기, 온도 등의 화재정보는 기존의 지하시설물의 정보와 통합가공되어 유도 프로세스에 의해 유도매개체로 전송되는데 정보의 가공은 통로의 용량과 거리를 고려하여 시간을 최소화하는 최소시간경로 탐색 알고리즘을 활용한다. 사례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의 효용성을 검증하고 미흡한 부분을 찾아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훈(2006) 대형 건물에서의 지능형 소방제어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2. 김현주(2004) 지하도시공간 방재계획의 가이드라인, 방재연구지, 제6권 제1호 (통권21호)
  3. 나욱정, 전규엽, 홍원화(2006) 지하공간 비상 유도등의 성능평가 및 피난유도 향상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대한건축학회, Vol. 22, No. 10
  4. 손봉세, 이용재(2004) 초고층 건축물의 화재시 방재.피난계획, 한국초고층건축포럼
  5. 이상욱, 박찬규, 박순달(2000) 수정된 최속경로 알고리즘(The revised quickest path algorithm),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 제26권 2호, pp. 1-7
  6. David G. Holmberg, William D. Davis, Stephen J. Treado, Kent A. Reed (2006) Building Tactical Information System for Public Safety Officials,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7. Ernesto de Queiros Vieira Martins, Jose Luis esteves dos santos (1997) An algorithm for the quickest path problem, Operations Research Letters, Vol. 20, pp. 195-198 https://doi.org/10.1016/S0167-6377(97)00008-4
  8. Jinali Deepak Shastri (2006) Safe Navigation during Fire Hazards using Specknets, The University of Edinburgh
  9. Shi Pu and Sisi Zlatannova (2005) Evacuation Route Calculation of Inner Buildings,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OTB research Institute for Housing, Urban and Mobility Studies
  10. Steingart, D., Wilson, J., Romero, R., Lim, L., Redfern, A., Patton, C., and Wright, P. (2005) Augmented Cognition for Fire Emergency Response: An Iterative User Study, presented on 7/27/05 at HCI International, to be published in procee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