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damental Study of Domestic Wood for the Materials for High-class Furnitures and Woodcrafts -Anatomical &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hestnut Woods Grown in Korea-

국산목재의 고급가구 및 목공예 용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국내산 밤나무 7품종의 해부 및 물리적 특성-

  • Lee, Seon-Hwa (College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won, Sung-Min (College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Park, Byung-Ho (College of Desig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Sung-Jae (Forest Rescarch Institute of Kangwon Province) ;
  • Lee, Uk (Dept.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Mahn-Jo (Dept. of Forest Genetic R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Nam-Hun (College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이선화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 권성민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 박병호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 디자인대학) ;
  • 이성재 (강원도산림개발연구원) ;
  • 이욱 (국립산림과학원) ;
  • 김만조 (국립산림과학원) ;
  • 김남훈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Received : 2008.06.11
  • Accepted : 2008.07.24
  • Published : 2008.11.25

Abstract

Anatom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even cultivars of chestnut wood (Castanea crenata Sieb. et Zucc.), Tanzawa, Ibuki, Mansung, Arima, Ginyose, Tsukuba, and Riheiguri, were investigated to obtain some valuable information for their possibilities to be used for high quality furnitures and woodcrafts. Solitary pore and figured-porous or ring-porous wood types were observed in wide growth rings, and ring-porous in narrow growth rings. Procumbent type was prevalent in ray cells although upright and square types were scarcely existed. Uniseriate, biseriate, and multiseriate rays were observed in tangential section. Uniseriate ray was abundant near the pith, and biseriate and multiseriate rays were frequently existed near the bark. The occurrence rate of biseriate and multiseriate rays was significantly high in Tanzawa, Ibuki, Mansung and Tsukuba, but was somewhat low in Arima, Ginyose and Riheiguri. The inner region showed larger vessel diameter, more vessel number, fewer ray number and higher ray height than the outer region. Growth-ring width in inner region was larger than that in outer region. Growth-rings in inner region of Mansung and Arima were wide while that of Ibuki was narrow. Outer region in all cultivars showed higher latewood percentage than inner region. Especially, Mansung and Tsukuba showed significantly high latewood percentage in their outer region. Green moisture content and density of heartwood were higher than those of sapwood. Tsukuba and Riheiguri had higher green moisture content, and Ibuki and Riheiguri had higher green density than the other chestnut cultivars.

국내산 목재의 신용도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국내에서 생장한 밤나무 7품종(단택, 이취, 이평, 만성, 은기, 유마, 축파)의 목재의 해부 및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밤나무재의 관공은 환공성 문양공재 형태였고 주로 고립관공이 관찰되었다. 방사유세포는 평복, 직립, 방형이 모두 존재하였으나 주로 평복세포였다. 방사조직은 단열, 복열, 다열의 형태가 모두 관찰되었으나 수심부에서는 거의 단열방사조직이었고 수피부에서는 복열이나 다열방사조직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수심부는 수피부보다 도관직경이 작았고, 단위면적 당 도관의 분포수가 많았으며 방사조직의 수가 적고 방사조직의 세포고가 높았다. 복열 및 다열방사조직의 출현비율은 단택, 이취, 만성, 축파에서 높은 반면, 유마, 은기, 이평에서 낮았다. 연륜폭은 수심부가 수피부에 비해 비교적 더 넓었고, 수심부 연륜폭은 만성과 유마가, 수피부 연륜폭은 이취가 넓었다. 만재율은 수심부와 수피부 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대체적으로 수피부가 다소 높았고, 품종 중에서는 만성과 축파가 높았다. 생재함수율은 모든 품종에서 심재부가 변재부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밀도는 심재부와 변재부, 품종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으나 대체적으로 심재가 변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이평과 이취의 밀도가 컸다.

Keywords

References

  1. Montana, De La, J. Miguelez, M. Miguez, J. Bernardez, and M. Garcia Queijieiro. 2004. Composition of varieties of chestnuts from Galicia (Spain). Food Chemistry. 84: 401-404. https://doi.org/10.1016/S0308-8146(03)00249-8
  2. Helinska-Raczkowska, L. and E. Fabisiak. 1999. Radial variation of earlywood vessel lumen diameter as an indicator of the juvenile growth period in ash. Holz als Roh-und Werkstoff. 57: 283-286. https://doi.org/10.1007/s001070050059
  3. Leal, S., E. Nunes, and H. Pereira. 2007. Cork oak (Quercus suber L.) wood growth and vessel characteristics variation in relation to climate and cork harvesting. Eur J Forest Res. 127(1): 33-41. https://doi.org/10.1007/s10342-007-0180-8
  4. Militz, H., D. Busetto, and F. Hapla. 2003. Investigation on natural durability and sorption properties of Italian chestnut from coppice stands. Holz als Roh-und Werkstoff. 61: 133-141. https://doi.org/10.1007/s00107-002-0357-2
  5. Fonti, P. and I. Garcia-Gonzalez. 2004. Suitability of chestnut earlywood vessel chronologies for ecological studies. New Phytologist. 163: 77-86. https://doi.org/10.1111/j.1469-8137.2004.01089.x
  6. Veenin, T., M. Fujita, T. Nobuchi, and S. Siripatanadilok. 2005. Radial variations of anatomical characteristics and specific gravity in Eucalyptus camaldulensisi clones. IAWA Jounal 26(3): 353-361. https://doi.org/10.1163/22941932-90000120
  7. 佐伯 浩. 1982. 木材の構造. 日本林業技術協會. p. 76.
  8. 日本木材加工技術協會. 1984. 日本の木材. pp. 52-53.
  9. 日本木材學會. 2000. 木質科學實驗マニユアル. pp. 72-75.
  10. 日本材料學會木質材料部門委員會. 1982. 木材工業辭典. p. 152.
  11. 구교상. 2001. 밤나무재배관리기술. 임업연구원. p. 18.
  12. 국제표준화기구. 1975. ISO 3131. Determination of density for physical and mechanical tests
  13. 김경윤, 김철환, 문선옥, 김종갑, 김재옥, 이영민, 박우양. 2005. 노령밤나무를 이용한 색채 가구제작을 위한 천연 염료의 적용. 한국가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 33-35.
  14. 김만조, 김선창, 이욱. 2006. 한국의 밤나무품종. 국립산림과학원. pp. 7-16.
  15. 김만조, 이욱, 황명수, 김선창, 이문호. 2003. 밤나무 재배품종의 화분, 결실 및 과실특성. 한국임학회지. 92(4): 321-332.
  16. 김의경, 윤여창. 1995. 밤의 수급현황에 관한 연구. 산림경제연구. 3(1): 15-28.
  17. 문선옥, 김철환, 김종갑. 2004. 가구재로써 노령밤나무재의 효율적 이용에 관한 연구. 한국 가구학회지. 15(2): 54-62.
  18. 박상진, 이원용, 이화형. 1987. 목재조직과 식별. 향문사. p. 302.
  19. 손철호, 장우환. 2004. 재배특성별 밤나무 관리 실태와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산림경제연구. 121(1): 22-31.
  20. 이욱, 김만조, 이문호, 황명수, 황숙인. 2005. 밤나무 교잡종 과실의 양적특성에 관한 고찰. 한국임학회지. 94(1): 34-38.
  21. 이원용. 1997. 한국산 목재의 조직구조. 향문사. pp. 74-75.
  22. 이필우. 1994. 한국산 목재의 구조. 정민사. p. 66.
  23. 임업연구원. 1994. 한국산 주요목재의 성질과 이용. pp. 64-65.
  24. 정희석, 유태경. 1998. 밤나무와 오동나무 향판용재의 옥외와 옥내천연건조 속도의 비교. 한국임학회지. 87(4): 577-583.
  25. 최수인, 김재성, 주인원, 김철상. 2006. 밤나무재배 경제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95(3): 274-281
  26. 한국표준협회. 2001. KS F 2199. 목재의 함수율 측정방법.
  27. 한철수. 1987. 주요 산공재 구성요소의 방사방향변동에 관한 연구. 목재공학. 15(2): 26-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