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Joint Behavior of Concrete Pavements Using Joint Crack Inducer

줄눈균열 유도장치를 사용한 콘크리트 포장의 줄눈거동

  • 박문길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 최기효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 남영국 ((주) 한맥기술 기술연구원) ;
  • 정진훈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07.11.14
  • Accepted : 2007.12.12
  • Published : 2008.01.31

Abstract

Joint of concrete pavement contributes to improvement of pavement performance by preventing occurrence of random cracking due to drying shrinkage and temperature changes of concrete slabs at early age. However, saw-cutting operations performed prior to sufficient concrete hardening develop micro-cracking of the concrete near the joints, which may develop to long-term distresses due to repetitious traffic and environmental loadings. To reduce the distresses, the joint crack inducers with heights of 100 mm, 150 mm, and 220 mm and the joint cracking slots with various depth were installed at a test section to investigate occurrence of the joint cracks and their behaviors over 5 months. As the results, higher efficiency of the crack inducing and larger behavior of the joint cracks were observed for the taller joint crack inducer. Higher efficiency of the crack inducing and improvement of the joint performance are warranted by additional investigation and reformation of the joint crack inducer.

콘크리트 포장의 줄눈은 초기 콘크리트 슬래브에 건조수축과 온도변화에 의한 무작위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주어 도로포장의 공용성 향상에 기여한다. 하지만 콘크리트가 충분히 양생되기 전에 수행된 줄눈 절단 작업은 줄눈 주변의 콘크리트에는 미세균열 등의 손상을 발생시키고 이로 인하여 반복적인 교통 및 환경하중에 의한 줄눈부의 파손이 장기적으로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인위적인 줄눈 절단작업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줄눈부 파손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된 100mm, 150mm, 220mm 높이의 줄눈균열 유도장치와 다양한 깊이를 갖는 균열유도 홈을 시험시공 구간에 설치하고 줄눈균열의 발생과 거동을 약 5개월에 걸쳐 조사하였다. 그 결과, 줄눈균열 유도장치의 높이가 높을수록 균열유도 효과가 높은 반면 줄눈균열의 거동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추가적인 조사와 줄눈균열 유도장치의 개선을 통하여 균열유도 효율을 높이고 줄눈의 성능을 향상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대근(2002) i-Button의 실용화 및 콘크리트 포장 초기균열 거 동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 썬런쥬안, 최기효, 정진훈, 권수안(2007) 성능기준 확립을 위한 공항 줄눈 콘크리트 포장의 초기거동 조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3D호, pp. 333-339
  3. 이승우(2001) 콘크리트 포장의 줄눈의 잠김에 대한 연구,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한국도로학회, 제3권 1호, pp. 165-176
  4. 전범준, 이승우(2005) 줄눈 콘크리트 포장의 적정 줄눈간격에 대한 연구,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한국도로학회, 제7권 4호, pp. 69-77
  5. 한국도로공사(2002) 한국형 포장설계법 개발과 포장성능 개선방안 연구, 건설교통부, 1단계 1차년도 최종보고서, pp. 27-40
  6. Cable, J. K. (2006) Evaluation of Transverse Joint Forming Methods for PCC Pavement, Final Report, National Concrete Pavement Technology Center
  7. Jeong, J. H.(2003) Characterization of Slab Behavior and Related Material Properties Due to Temperature and Moisture Effects. Ph. D. Dissertation, Texas A&M University
  8. Suh, Y. C., Lee, S. W., and Kang, M. S. (2002) Evaluation of Subbase Friction for Typical Korean Concrete Pavement,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809, pp. 66-73 https://doi.org/10.3141/18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