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해수유동모형 ESCORT - 개발 및 검증

A Hydrodynamic Numerical Model, ESCORT-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 소재귀 (한국해양연구원 연안개발연구본부) ;
  • 강주환 (목포대학교 건설공학부) ;
  • 박선중 (목포대학교 건설환경협동과정)
  • 투고 : 2008.02.22
  • 심사 : 2008.04.17
  • 발행 : 2008.05.31

초록

조간대 모의가 가능한 해수유동모형(ESCORT)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은 3차원 적용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지만 본고에서는 우선 2차원적으로만 상용모형인 MIKE21모형과 함께 목포해역에 적용하여 모형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여러 차례 목포해역에 적용된 바 있는 MIKE21모형을 기존과 유사한 영역으로 광역모형을 수립하였고 검증을 거친 후 주영역의 경계조건을 추출하였다. 격자간격이 일정한 광역과는 달리 주영역의 격자시스템은 ESCORT 모형과 MIKE21 모형 모두 가변격자를 채택하고 있다. 두 모형의 수행 결과 유속과 수위 모두 관측치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조간대 모의도 원활하게 수행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ESCORT 모형은 계산시간 측면에서 다소 비경제적인 측면이 있어 개선의 여지를 남겨두고 있다.

A hydrodynamic numerical model, ESCORT, which enables wetting-and-drying simulation, is developed. The model is verified by applying it at the Mokpo coastal zone together with the MIKE21 model. This paper deals in only 2-dimensional aspects remaining 3-dimensional function for further research. To begin with, MIKE21 model is applied at the whole area where MIKE21 had been applied several times to produce boundary conditions for the main area. Unlike the whole area of uniform grid, main area adopts telescoping grid for ESCORT model and nested grid for MIKE21 model. The results of both model show not only good agreement for the values of water depth and tidal velocity between computed and observed ones, but also plausible wetting-and-drying simulation. However, ESCORT model needs some improvement of efficienc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주환(1991) 유한차분모형에 의한 하구의 염도확산 분석. 박사학 위논문, 서울대학교
  2. 강주환, 문승록, 박선중(2004) 해수유동모형에서 조간대 모의의 필요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4권, 제3B호. pp. 259-265
  3. 강주환, 문승록, 박선중(2005) 조석확폭에 수반되는 조간대 영역 확대의 영향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해양공학 회, 제17권, 제1호. pp. 47-54
  4. 강주환, 박상현, 이길성(1993) 음해법을 이용한 천수방정식의 수 치해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3권, 제3호, pp. 119-127
  5. 강주환, 박선중, 박민원(2008) 서남해안의 해수면 상승과 해일고 증가 경향.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20권, 제1호, pp. 14-24
  6. 강주환, 오남선, 문승록, 박선중(2003) 현장관측을 통한 목포항 인근의 조류특성 분석. 공업기술연구, 국립7개대학공동논문집 간행위원회, 제3집, pp. 537-544
  7. 김차겸, 양한섭, 김기철(1999) 3차원 layerlevel 혼성 해수유동 모델 개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9권, 제II- 5호, pp. 603-614
  8. 목포지방해양수산청(1998) 목포항 수리현상조사 및 방재대책수립 용역 보고서
  9. 문승록, 박선중, 강주환, 윤종태(2006) MIKE21 모형을 이용한 목포해역 해일/범람 모의.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 해양공학회, 제18권, 제4호. pp. 348-359
  10. 서승원(1999) 3차원 유한요소모형을 이용한 황해 및 동중국해의 조석수동역학 해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9 권, 제II-3호, pp. 375-387
  11. 수로국(1996) 조류도(목포항 및 부근)
  12. 이경선, 박경, 오정환(2000) 조간대 처리 기법을 포함한 3차원 Semi-Implicit 수역학 모델 개발.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 국해안.해양공학회, 제12권, 제2호, pp. 70-80
  13. 이종찬, 서승남(1992) 선형 천수방정식의 ADI 유한차분법.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4권, 제2호, pp. 108-120
  14. 정태성(1996) 마산.진해만 해류에 관한 3차원 수치모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6권, 제II-1호, pp. 63-72
  15. 정태성, 김성곤, 강시환(2002) 3차원 흐름 모델링시스템(FEMOS) 을 이용한 아산만 조류모의.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 안.해양공학회, 제14권, 제2호, pp. 151-160
  16. 최병호, 서경석(1992) Computation of Meteorologically-Induced Circulation on the East China Sea using a Fine Grid Three-dimensional Numerical Model.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4권, 제1호, pp. 45-58
  17. 최병호, 우승범(1995) 2차원 및 3차원 동적복합조석모형에 의한 경남해역의 조석산정.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해 양공학회, 제7권, 제2호, pp. 176-197
  18. Benque, J.P., Cunge, J.A., Feuillet, J., Hanguel, A. and Holly, F.M. (1982) New method of tidal current computation. Proc. of ASCE, Waterway, Port, Coastal Ocean Div., Vol. 108
  19. Cai, S., Long, X., Liu, H. and Wang, S. (2006) Tide model evaluation under different conditions. Continental Shelf Research, Vol. 26, pp. 104-112 https://doi.org/10.1016/j.csr.2005.09.004
  20. DHI Water and Environment (1995) User guide and Reference manual, Hydrodynamic Module. Scientific documentation
  21. Falconer, R.A. (1986) A water quality simulation study of a natural harbor. J. Waterway, Port, Coastal Ocean Eng. Division, ASCE, Vol. 112, pp. 15-34 https://doi.org/10.1061/(ASCE)0733-950X(1986)112:1(15)
  22. Hoffmann, K.A. and Chiang, S.T. (2000)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Engineering Education System. pp. 236-252
  23. Kang, J.W. (1999) Changes in tidal characteristics as the result of the construction of sea-dike/seawalls in the Mokpo coastal zone in Korea.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Vol. 37, pp. 429-438
  24. Kang, S.K., Lee, S.R., and Lie, H.J. (1998) Fine grid tidal modeling of the Yellow and East China Seas. Continental Shelf Research, Vol. 18, pp. 739-772 https://doi.org/10.1016/S0278-4343(98)00014-4
  25. Lee, J.C. and Jung, K.T. (1999) Application of eddy viscosity closure models for the M2 tide and tidal currents in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Continental Shelf Research, Vol. 19, pp. 445-475 https://doi.org/10.1016/S0278-4343(98)00087-9
  26. Leendertse, J.J. (1987) Aspects of SIMSYS, A system for two-dimensional flow computations. RAND Publication R-3572-USGS
  27. Stelling, G.S. (1984) On the construction of computational methods for shallow water equations. Rijkswater-staat communication No.35
  28. Stelling, G.S., Wiersma, A.K., and Willemse, J.B.T.M. (1986) Practical aspects of accurate tidal computation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12, No. 9
  29. Weare, T.J. (1976) Errors arising from irregular boundaries in ADI solutions of the shallow-water equations. Int. J. for Numerical Methods in Engineering, Vol. 14
  30. Wilders, P., Stun, L.V., Stelling, G.S., and Fokekema, G.A. (1988) A fully implicit splitting method for accutate tidal computations. Int. J. for Numerical Methods in Engineering, Vol.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