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ppropriation and The Use Scheme of Safety Control Cost for Reducing Severity Rate of Injury on Construction

건설재해 강도율 감소를 위한 안전관리비의 책정 및 사용방안

  • 김병수 (경북대학교 이공대학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08.02.27
  • Accepted : 2008.04.10
  • Published : 2008.05.31

Abstract

Construction safety control system had improved constantly but the severity rate of injury don't reduced, safety level of construction don't progressed as usual. In order to reduce of the severity rate of injury safety control in site is important but it needs to improve form of system that introduce obligation of safety design and design safety appraisement, an effect use method of safety control cost. The safety control cost is problem that reduce than design cost accordance bidding rate and use a little safety facility cost compare with labor cost. This study tried reduce the severity rate of injury by propose effective improvement scheme through relevant problem analysis to the safety control cost and remove caution that the severity rate of injury don't reduced.

우리나라의 건설안전 관리시스템은 그동안 꾸준히 개선되어 왔으나 재해강도율은 감소되지 않고 있고 건설산업의 안전수준도 향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재해강도율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건설현장에서의 안전관리도 중요하지만 안전설계 의무화 및 설계 안전성 평가의 도입이나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효과적인 사용방안 등 제도적인 틀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중 안전관리비는 낙찰률에 따라 당초 설계금액보다 줄어드는 문제와 현장에서 사용시 안전관리자 등의 인건비에 비해 안전시설비용이 상대적으로 적게 집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는 건설업 재해강도율이 감소하지 않는 주요원인을 살펴보고 그 원인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안전관리비와 관련된 문제점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건설현장의 재해강도율을 낮추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병수(2006) 건설공사 안전관리비의 실효성 확보, 2006년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495-498
  2. 김병수(2006) 최저가입찰제 및 실적공사비적산 환경 에서의 대응방안,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5D호 pp. 849-859
  3. 김수근, 백신원(2004) 건설업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안전학술대회지, 한국산업안전학회, pp. 480-484
  4. 이규진(2001) 건설공사 추락재해의 발생장소별.피재자별 분석, 한국안전학회지, 한국안전학회, 제16권 제2호, pp. 85-90
  5. 이영섭, 김남훈, 박중근(2001) 건설공사의 안전관리 비 사용에 대한 투자효과분석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안전학회지, 한국안전학회, 제16권 제3호 pp. 111-116
  6. 이영섭(1996) 건설업의 산업재해 감소와 관련한 안 전관리비용 절감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산업안전학회지, 한국산업안전학회, 제11권 제1호 pp. 99-107
  7. 노동부(2007)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노동부고시 제2007-4호
  8. 노동부(2004) 산업안전보건법 제30조(산업안전보건 관리비의 계상등)
  9. 노동부(2006) 2006년도 산업재해 현황분석, pp. 20-22, pp. 150-165
  10. 전수현(2004) 건설안전사고의 효율적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체계 발전방향, 한국건설관리학회지, 한국건설관리학회, 제5권 제4호 pp. 43-48
  11. 최기봉(2001) 안전관리론 입문, 구미서관
  12.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2005) 건설사업 안전영향평가 제도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pp. 42-44
  13. Eldukair, Z. A. and Ayyub, B. M.(1991) Analysis of recent U.S. structural and construction failures, Journal of Performance of Constructed Facilities, Vol. 5, No. 1, pp. 57-73 https://doi.org/10.1061/(ASCE)0887-3828(1991)5:1(57)
  14. Jimmie Hinze and Debra Bosma Russel (1995) Analysis of fatalitiee recorded by OSH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Vol. 121, No. 2, pp. 209-214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1995)121:2(209)
  15. Lewin, K. (1951) Field Theory in Social Science, Haper,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