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체와 사고를 고려한 평면교차로 적용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Standard of At-grade Intersection Considering Both Delay and Accident

  • 투고 : 2008.03.10
  • 심사 : 2008.04.02
  • 발행 : 2008.05.31

초록

교차로란 2개 이상의 도로가 교차 접속되는 공간 및 그 내부의 교통시설물을 말하는 것으로 교차로의 기하구조 운영방법 등에 따라 운전자가 경로를 선정하는 의사결정 지점이다. 운전자에게 의사결정을 요구하는 것은 그들에게 부담을 주어 사고 발생확률을 높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운전자에게 의사결정 부담을 경감시켜주고 상충수를 현저하게 줄여주는 교차로의 형태로 회전형교차로(Roundabout)가 유럽 등에서는 성공적으로 많은 지점에서 시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도입기에 있으며 도입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Roundabout을 적용하는데 있어 정량적인 기준이 없이 무차별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 평면교차로 유형적용의 우선순위를 위해 교통소통(지체)과 교통안전(사고)을 동시에 고려하여 교차로의 유형을 평가 결정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통사고는 기존의 신호교차로, 비신호교차로, Roundabout의 사고예측모형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회전교통량에 따라 사고건수를 예측하여 각 교차로별로 그 건수를 제시하였다. 둘째, 지체는 TSIS-NETSI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교차로별, 회전교통량별로 구분하여 이를 계산 분석하였다. 셋째, 앞서 예측된 교통사고와 지체도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사고비용, 지체비용을 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호교차로, 비신호교차로, Roundabout의 회전교통량별로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가장 적정한 교차로 유형을 결정하였다.

The Intersection is inner traffic facilities and the space where the roads are intersected and connected. And also, the Intersection is the decision-making section for drivers to select the route according to the geometric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 However decision-making section cause to raise car accidents rate because it imposes a heavy burden on drivers. In that reason, many countries such as Europe use the Roundabouts to reduce the numbers of decision making and collision. In Korea, the kinds of method are just introduced and it is using now but there are no exact standards. Hence, this study suggests the process to evaluate and determine the types of Intersection which are based on the traffic flow (congestion) and traffic safety (accidents). Firstly, this study presents the number of accident at each Intersection which is depended on the traffic volume. Secondly, this study calculates and analysis the accident at signalized Intersection, non-signalized Intersection and Roundabout by TSIS-NETSIM program. Thirdly, this study concludes the best suitable Intersection type through the materials which are mentioned before.

키워드

참고문헌

  1. 남궁헌(2001) 신호교차로 교통사고 예측모형의 개발 및 적용,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2. 박병호, 송대섭(2003) 교차로계획에서 현대식 회전교차로(Modern Roundabout)의 도입 타당성, 건설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2권, 제2호
  3. 박병호, 류승옥(2008) 회전교차로의 계획과 설계, 예원사
  4. 신부용, 김기준(2003) 서구식 회전교차로(Roundabout) 도입의 장애요소와 해결책, 2003년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 대한토목학회
  5. 서채연, 김효종(1995) 교차교통량 특성이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0권 제2호
  6. 이용재, 김석근(2002) 현대식 회전교차로의 용량보정계수에 관한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2권, 제2D호, pp. 185-195
  7. 이형무(2004) 지체와 사고를 고려한 신호교차로 서비스수준 산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8. 최재성(1998), 도로선형에 대한 설계일관성 평가모형의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16권, 제4호
  9. 하태준, 박제진(2004) 도로설계공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10. Fitzfatrick, K. and Collins, J.M. (2000), Speed-Profile Model for Two-Lane Rural Highway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737
  11. Ha, T.J. and Berg, W.D. (1995) Development Of Safety-Based Level-Of-Service Criteria for Isolated Signalized Intersec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484
  12. TRB (2000) Highway Capacity Manual (HCM2000), TR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