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호교차로

Search Result 52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Multi-Legged Intersection Through Sensitivity Analysis (Based on the Four or Five Legged Intersection) (민감도 분석을 통한 다지교차로의 효용성 분석 연구 (4지.5지 교차로를 중심으로))

  • 박창수;김정위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5
    • /
    • pp.217-230
    • /
    • 2002
  • 본 연구는 민감도 분석을 통한 다지교차로의 효용성 분석 연구로 신호교차로, Roundabout, 그리고 Modern Roundabout의 특성을 고찰하고 교통류의 특성에 따른 민감도 분석을 통한 교차로 형태를 검토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신호교차로와 Roundabout의 특성과 사례를 고찰하였다. 둘째, 4지교차로와 5지교차로의 교통류 특성별로 교통량을 산정하여, TSIS Tool을 이용한 분석을 통해 교통류 특성별 신호 교차로와 Round about의 민감도를 비교하였다. 셋째, 민감도 비교를 통한 교통류 특성별 효율적인 교차로 형태를 도출하였다. 4지교차로의 경우, 첫째, 일반적으로 V/C비의 변화에 대해 V/C비가 0.7이하일 때는 Roundabout가 V/C비가 0.7을 초과할 때는 신호교차로가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V/C비별 회전교통량의 변화와 회전교통량 변화별 V/C비 변화에서도 V/C비의 변화의 분석결과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5지교차로의 경우, 첫째, 4지교차로와는 달리 전반적으로 신호교차로 보다는 Roundabout가 더 효율적인 교차로 형태로 나타났다. 둘째, V/C비별 회전교통량의 변화와 회전교통량 변화별 V/C비 변화에서는 V/C비가 0.8을 초과하고 우회전교통량비가 30%∼40%인 경우에 신호교차로가 조금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Increase of Intersection Approach Delay By Mid-Block Crosswalk Signal (단일로 횡단신호의 교차로 접근지체에 대한 영향 분석)

  • 김정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87-92
    • /
    • 1999
  • 교차로 접근지체의 산정은 간선도로의 서비스수준 평가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교차로 접근지체는 상류부 교차로에서 진입하는 교통에 대한 균일지체와 그 이외 단일로 상에 존재하는 세가로등에서 유입되는 교통에 대한 무작위지체, 1회의 신호주기에 교차로를 통과하지 못한 교통에 대한 잔여지체 등과 연동보정계수를 이용하여 산정된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미국에서 차량의 지체와 연동보정계수를 이용하여 개발된 교차로 접근지체 산정식의 구조를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 그러나 도심부 신호교차로 사이의 단일로에 보행자를 위한 횡단신호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단일로 횡단신호가 하류부 교차로의 접근지체에 미치는 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미국과는 달리 신호교차로간의 간격이 크고, 단일로 상에 보행자용 횡단시호 설치가 빈번한 우리나라의 실정에서는 이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여 교차로 접근지체 산정 시 이를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로 횡단신호가 하류부 신호교차로에서의 접근지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상류부 교차로와 단일로 중간부 횡단보도와의 거리, v/c 비, 신호 offset 등 상황을 설정하여 TRANSYT-7F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의하면 단이로 중간의 횡단신호가 상류부 교차로의 신호와 연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하류부 교차로의 접근지체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동 시에는 상류부 교차로와의 거리, v/c 비, 신호 offset 등에 따라 최고 80% 이상 까지 접근지체가 증가하였다. 일반적으로 신호 offset이 40%에서 60% 사이로 연동상태가 불량할수록 하류부 교차로에서의 접근지체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에 변수에 대하여서도 신호 offset에 따라 다른 정도로 접근지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재 우리나라의 신도시 개발 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대규모 구획(super block)과 이로 인하여 불가피한 단일로 중간부의 횡단신호의 설치는 교통운영 측면에서 재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afety Enhanced Signal Phase Sequence Design of a Rotary with Five Leg Intersection (5지 신호교차로에서의 안전을 고려한 신호현시 설계)

  • 박재완;김진태;장명순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7
    • /
    • pp.23-29
    • /
    • 2002
  • Five and more leg intersections have been still in operation in many urban areas. The number of conflicts in five leg intersection is more than four leg intersection. The signal timing design in the five leg intersection should be performed not only to reduce delay but also to increase safety. This paper suggests safety enhanced signal phase sequence design of a rotary with five leg intersection such as phase sequence minimizing the number of conflict points at the rotary with five leg intersections and the phase-length-design procedure by utilizing the Traffic Network Study Tool(TRANSYT). Field data was collected from Gonguptap five leg intersection in Ulsan and TRANSYT-7F was applied for signal timing design model. Optimal signal phase length and sequence of TRANSYT-7F is rearranged based on the Principal of "two moving traffic flows per phase". In conclusion, proposed signal phase design increased delay by 6.2% compared with the optimal signal phase of TRANSYT-7F. However, it could decrease the number of conflict in the five leg intersection by 61.5%.

Effectiveness of Signalized Intersection and Roundabout at Rural Area (지방부 신호교차로와 회전교차로의 효과분석)

  • Park, SoonYong;Choi, Daekyu;Lee, Sukki;Kim, Dong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322-324
    • /
    • 2010
  • 교통량이 적은 신호교차로에서는 신호에 의한 불필요한 지체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지방부 신호교차로의 경우 불필요한 신호 대기로 인해 운전자가 신호위반을 하거나 불필요한 지체를 경험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비교적 교통량이 적은 신호교차로를 회전교차로로 운영하여 해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부에 설치된 신호교차로를 분석하고 이를 회전교차로로 개선하였을 경우 그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체감소 효과가 있었으며, 통행시간 및 평균속도의 증가를 가져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안전성 측면에서 교차로 상충횟수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Signalized-Intersection LOS Determination Method Based on Satefy (교통안전에 의한 신호교차로 서비스수준 결정방법의 개발)

  • 하태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4 no.4
    • /
    • pp.155-178
    • /
    • 1996
  • 신호교차로 서비스수준은, 객관적으로 측정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체시간(Delay), 교통사고수(Number of Accident), 교통사고율(Accident Rate), 충돌수(Traffic Conflict), 그리고 교통사고에 노출된 차량수(Exposure)등이다. 지금까지는 1985 Highway Capacity Manual(HCM)에서 소개된 지체시간에 의한 서비스수준 결정방법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1985 HCM 방법의 중용성과 유용성에 대해 논하지 않고, 교통안전(Safety)에 의한 신호교차로 서비스수준 결정방법을 제시하였다. 교차로의 위험도(Degree of Intersection Hazard)를 예측하기 위해, 교통사고빈도 수가 가장 높은 두가지 교통사고 유형, 즉 좌회전추돌(Left-Tum)과 후미추돌(Rear-End) 예측 모형이 개발되었다. 여기서 첫째, 좌회전추돌 위험도를 예측하기 위하여 음지수 분포(Negative-Exponential Distribution)를 이용한 확률적 모형이 개발되었다. 둘째, 후미추돌 위험도를 예측하기 위하여 연속류 모형(Continuum Model)을 이용한 거시적 모형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두가지 모형을 이용하여 신호교차로 안전도를 예측하였으며 교차로 서비스수준이 안전도에 의해 결정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교통안전에 의한 신호교차로 서비스수준 결정방법은 연동교차로를 제외한 독립교차로에만 적용이 된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elay Between Multi-legged Roundabout and Signalized Intersection (다지 회전교차로와 신호교차로의 지체 비교 분석)

  • Han, Su-San;Park, Byung-H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9 no.6
    • /
    • pp.83-93
    • /
    • 2010
  • The roundabout is a green transportation system which reduces the accident, the congestion cost and greenhouse effe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multi-legged roundabout's efficiency. In pursuing the above, this study gives particular attention to building the optimal network of multi-legged roundabout and intersections, developing the scenarios for analysis reflected by the proportion of entering traffic volume of main and minor roads, and comparatively analyzing the average delay per car using VISSIM.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entering traffic volume are less than 3,500pcph, the 5-legged single and double-lane roundabout are all analyzed to be more effective than intersection. Second, when the entering traffic volume are less than 3,600pcph, the 6-legged single-lane roundabout is analyzed to be more effective than intersection. The 6-legged double-lane roundabout is analyzed to be more effective than intersection. The 6-legged double-lane roundabout is analyzed to be more effective than intersection in all cases of entering volume.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Forecasting Model for Signalized Intersections - Focusing National Highway in Kyonggi Province - (신호교차로 교통사고 예측모형 개발 - 경기도 일반국도 중심으로 -)

  • O, Il-Seok;Kim, Seong-Su;Sin, Chi-Hyeon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2007.11a
    • /
    • pp.315-322
    • /
    • 2007
  • 신호교차로 교통사고는 90년대 이후 도시가 발달하고 산업이 고도화됨에 따라 교통 혼잡 문제와 함께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신호교차로의 교통사고는 인적요인, 차량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데, 교통량의 집중과 도로의 기하구조, 운전자 과실 등이 교통사고의 주요 인자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교통사고 예측모형을 개발하기 위해서 2003년부터 2006년도까지 실제 경기도의 신호교차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자료를 기초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시내가 아닌 지방부 성격을 지닌 일반국도를 대상으로 하였다. 지방부 일반국도의 신호교차로 교통사고 분석에 단순통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사고와 관계가 높은 신호주기, 방향별 접근 교통량, 회전교통량 둥과 같은 도로, 교통, 운영조건들로 변수를 정하여 교통사고 예측모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조건, 교통조건, 운영조건들과 사고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경기도 일반국도의 신호교차로 교통사고예측모형을 개발하였고, 이는 지방부 성격을 지닌 교차로에 적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 PDF

Corridor Control Strategies of Traffic Adaptive Control System in Seoul (신신호 시스템의 신호제어 전략 및 교통축 운영성과 분석연구 (영동대로와 도곡동 축을 중심으로))

  • 이영인;장근영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3
    • /
    • pp.193-207
    • /
    • 2002
  • 실시간 교통신호 제어시스템은 검지기 체계로부터 교통소통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중앙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분석, 처리하여 신호시간을 신호주기별로 산출하는 시스템이다. 신호제어시스템의 운영성과는 시스템의 신호제어기능 또는 제어 알고리즘을 활용할 수 있는 신호제어전략의 효율성 여부에 의하여 크게 좌우된다. 본 연구에서는 신신호 시스템의 기본 제어알고리즘과 개선된 신호제어 알고리즘을 개관하고, 신신호시스템의 운영성과를 현장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신신호 시스템의 운영성과는 시스템의 제어기능과 알고리즘을 토대로 비 중요교차로의 패턴 Table을 조정하여 신호제어전략을 수립하고, 이의 적용성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운영성과는 시범지역의 남북 교통축(영동대로)과 동서 교통축(도곡동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영동대로는 비 중요 교차로의 패턴 Table을 조정함에 따라 시스템 운영성과가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곡동길은 현재의 신호운영 전략과 검토대안이 비슷한 수준의 운영성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범 운영지역의 교통축은 1개의 중요 교차로와 5-6개의 비 중요 교차로로 구성된다. 영동대로의 운영성과 분석결과, 교통축의 운영효과는 중요교차로의 교통대응 제어기능과 동시에 비 중요 교차로의 패턴 제어기능이 적절하게 연계 운영될 때 운영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신호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요교차로의 교통대응 제어기능의 개선과 동시에 비중요교차로의 패턴 Table의 개선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Signal Metering at Special Roundabouts (특수유형 회전교차로 신호미터링 적용 및 평가)

  • Yang, Taeyang;Lee, YoungIhn;Yoon, Taek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8 no.6
    • /
    • pp.96-109
    • /
    • 2019
  • Roundabouts are actively installed to reduce unnecessary congestion and reduce traffic acciden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apply more than 450 cars per, hour. In addition, there is a downside to the concentration of delays in certain directions depending on traffic conditions. To compensate for these shortcomings, signal metering was introduced. Signal metering is a technique that gives red signals to adjacent left traffic flow in the event of a delay in a particular dir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aring the effect of signal metering in conventional and special types (turbo roundabout, flower roundabout) of roundabout. VISSIM API is used for analysis. The analysis result show that only conventional roundabout signal metering algorithm reduce delay time per vehicle. As the result of the turbo roundabout and flower roundabout signal metering algorithm increase delay time per vehicle, signal metering algorithm can be applied in conventional roundabout.

Development of Shock Wave Delay Estimation Model for Mixed Traffic at Unsaturated Signalized Intersection (충격파를 이용한 신호교차로 지체산정 모형 개발 (비포화 2차로 신호교차로 상에서의 버스혼합교통류 지체산정모형))

  • Kim, Won-Gyu;Kim, Byeong-Jong;Park, Myeong-Gy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8 no.6
    • /
    • pp.75-84
    • /
    • 2010
  • Controlled traffic intersection is critical point in terms of transportation network performance, where the most of traffic congestion arise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favorable measure of effectiveness in the signal controlled intersection is approach delay. Although lots of efforts to develop traffic delay estimation models have been made throughout the years, most of them were focusing on homogeneous traffic flow.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traffic delay estimation model for traffic flow mixed with bus based on the horizontal shockwave theory. Traffic simulation is performed to test the adaptation level of the model in generic environment. The result shows that the delay increases with increasing bus traffic. Overall model accuracy comparing simulation result is acceptable, that shows the error range around 10 perc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