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ng of a Yearly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s of Festulolium Hybrids

Festulolium 교잡종의 연차간 생육특성 및 수량 비교

  • Published : 2008.03.30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winter hardiness, heading date, quality, and yields of Festulolium hybrids, Festuca pratensis and Lolium multiflorum, which were cultivated during September 2005 to July 2006 at Suwon and Namw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Perun, Boxer, and Fleurial showed stronger or same level of hardiness than Hwasan 101, which is one of the strongest hybrids in winter hardiness. Therefore, we did not detect any problem in winter hardiness when these hybrids were cultivated in Korea. These are turned out to be mid and late maturing hybrids. The average heading date of three hybrids were 24 to 27 May in Suwon and Namwon. These date are same or 3 days later than Hwasan 101. The average fresh yields of 3 hybrids were increased by $17{\sim}29%$ than that of Hwasan 101. And the dry matter yields of Perun, Boxer, and Fleurial were increased by 39%, 26%, and 29%, respectively, than that of Hwasan 101. We could not detect any difference in the average fresh and dry matter yields between region,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ybrids(p<0.05). Crude protein contents of 3 hybrids were higher to $14.3{\sim}16.6%$ than that of Hwasan 101. The neutral detergent fiber and acid detergent fiber were decreased by 3.9 and 7.0%, respectively, comparing to Hwasan 101. Therefore these hybrids have turned out to be excellent feed quality hybrids.

새로 도입된 목초 Festulolium(Festuca pratensis$\times$Lolium multiflorum) 3개 속간교잡종의 한해, 출수기, 도복, 재생력과 수량성 및 사료가치의 지역적응력과 생산력을 검정하여 국내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2005년 9월부터 2006년 7월까지 수원과 남원에서 수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교잡종의 내한성은 내한 다수성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화산101호에 비하여 Perun은 다소 강한 편이었으며 Boxer와 Fleurial은 대등하게 나타남에 따라 국내 재배 시 한해 문제는 전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초장 및 도복은 표준품종과 비슷하나 Fleurial은 86cm로 다소 짧고 도복도 15%로 가장 적게 발생되었으며, 재생력은 모든 품종이 양호하였다. 그리고 출수기는 화산101호가 5월 24일에 비하여 Fleurial은 같았으나, Perun과 Boxer는 $1{\sim}3$일 늦은 중만숙성 교잡종들이었다. 화산101호의 청예 및 건물 평균수량은 85,910 kg/ha, 13,642kg/ha이었으나, 이에 비하여 시험교잡종들의 청예수량은 $3{\sim}11%$가 증가하였다. 건물수량은 Perun이 18%로 가장 많이 증수되었으며, Boxer와 Fleurial은 화산101호와 대등하였다. 사료가치에서 조단백질 함량은 화산101호가 12.1%인데 비해 Perun이 16.6%로 가장 높았으며 Boxer와 Fleurial이 각각 14.7%와 14.3%이었다. 시험품종들의 NDF와 ADF는 모든 품종에서 각각 55.5%와 31.5% 미만으로서 양질 조사료의 요건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소화 건물소화율에서도 표준품종의 65.1% 보다 시험품종들이 높게 나타났으므로 이들 품종은 모두 내한 중만숙 다수성 교잡종들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류종원, 강정훈, 박병훈. 1988. 화본과 목초 속간 교잡종 hybrid ryegrass와 Festulolium의 생육특성. 한국육종학회 춘계학술연구
  2. 박병훈, 박병식, 강정훈. 1987.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2배체와 4배체 품종간 비교. 한초지. 7(3):135-139
  3. 박병훈, 김명환. 1989. 화본과 목초의 종, 속간 잡종에 관한 연구. I. 교잡배 일령에 따른 Callus 형성과 식물재분화. 한초지. 9(2):62-67
  4. 박병훈, 류종훈, 이영현. 1991. 화본과 목초의 종, 속간 잡종에 관한 연구 II. Italian ryegrass ${\times}$ tall fescue F1 잡종의 형태 및 생리적 특성. 한초지. 11(1):1-5
  5. 성병렬, 김맹중, 임근발, 임용우, 김기용, 최기준. 2006. Festulolium braunii 교잡종의 재배특성, 사료가치 및 수량성. 한초지 26(2):91-96 https://doi.org/10.5333/KGFS.2006.26.2.091
  6. 안완식, 김영상, 김봉연, 이종호. 1984. 보리${\times}$밀 속간교잡종 육성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육종학회 춘계학술연구발표회 제 1부. 수도, 맥류분야. pp.18-19
  7. 안완식, 최종렬, 이웅직. 1987a. 보리와 밀의 속간교잡 여교잡 후대에서 세포질의 영향. 한육지 19(2):178-182
  8. 안완식, 최종렬, 이웅직. 1987b. 보리, 밀의 속간교잡 여교잡 후대의 특성변이 연구. 한육지 19(1):91-96
  9. 임용우, 홍병희, 남중현, 박문웅, 하용웅, 박광근, 신정섭. 1995. RAPD를 이용한 보리${\times}$밀 속간교잡종의 보리유전자 도입 확인. 한육지. 27(4):417-422
  10. 이인덕, 이형석. 1998a. Festulolium braunii (Festuca pratensis Huds. ${\times}$ Lolium multiflorum Lam.)의 사료가치 비교 연구. 한초지. 18(2):151- 156
  11. 이인덕, 이형석. 1998b. Festulolium braunii (Festuca pratensis Huds ${\times}$ Lolium multiflorum Lam.)의 혼파 유형이 목초의 건물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8(4):311-316
  12. 이인덕, H. jacob. 1996. Festulolium braunii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 연구. 한초지. 17(2) 117-122
  13. 이석순. 박찬호, 장영동. 1985. Triticale과 호밀의 청예수량 생산성. 한작지. 30(4):388-397
  14. 이영현, 박병훈. 1993. 화본과 목초의 종, 속간잡 종에 관한 연구. III.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배양 세포로부터 원형질체의 분리와 배양. 한초지. 13(3):170-176
  15. 이창섭, 김병완, 성경일, 김창주. 1997. Perennial ryegrass 품종의 적응성 비교시험. 한초지. 17(4): 387-398
  16. 최기준, 임용우, 김기용, 최순호, 성병렬, 김원호, 신동은, 임영철. 2000. 내한 다수성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신품종 "화산101호". 한초지. 20(1):1- 6
  17. 최기준, 임용우, 임영철, 성병렬, 김맹중, 김기용, 박근제. 김상록. 2002.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종, 속간잡종 및 생태형 유래 합성종간의 생육 특성. 한초지. 22(4):265-272
  18. 축산기술연구소. 2002. 한국 표준 사료 성분표. 축산기술연구소 발행
  19.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8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OAC. Washington, DC
  20. Goering, H.K. and P. 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ic. Handbook 379, U. S. Gov. print. Office, Washington, DC
  21. Muntzing, A. 1979. Triticale : Results and problems. Advance in plant breeding. Supplement. 10
  22. SAS institute, Ind. 1990. SAS user's : SAS Inst. Inc, Cary, 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