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n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ubsequent to Crossing Structure of the Urban Streams - Centering on the Cases of Dorimcheon, Banghakcheon, Seongnaecheon and Yangjaecheon in Seoul -

도시하천의 횡단구조에 따른 식생분포특성 연구 -서울시 도림천, 방학천, 성내천, 양재천을 사례로-

  • 배정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typifying the crossing structure and inquiring into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distribution by type targeting Dorimcheon(stream), Banghakcheon(stream), Seongnaecheon(stream) and some sections of Yangjaecheon(stream) in Seoul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basic data for restoring vegetation in urban stream. This research classified the crossing structure into 56 slope types and 31 vertical types in combination with the three items, such as bank slope(vertical style, slope style) of bank, absence or presence of waterside, and revetment structure. This research derived nine slope types including SB1 (revetment of low water level-revetment with vegetation, and revetment of high water level-nature riverside) including SG5(revetment of low water-concrete, and revetment of high water level-riprap work), and three vertical types, such as VH4(bank revetment-wet masonry), and VH7(bank revetment - concrete )from the target survey areas. Among these, both revetment of low water level and high water level were found to be distributed on the longest section as the type of SG7 and VG7 structured in concrete. As a result of inquiry and analysis of micro topography structure and vegetation structure of eight major types, this research could find out the influence of crossing structure on plant veget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by typified item, but there appeared no distinct characteristic of vegetation distribution by crossing structure.

본 연구는 서울시내 도림천, 방학천, 성내천, 양재천 일부구간을 대상으로 도시하천의 식생회복을 위한 기초자료 구축을 통해 횡단구조를 유형화하고 유형별 식생분포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도시하천 횡단구조는 제방형태(수직형, 사면형)와 둔치 유무, 호안구조의 3가지 항목을 조합하여 사면형 56개 유형, 수직형 31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대상지내에서는 SB1(저수호안-자연형 식생호안, 고수호안-자연하안), SG5(저수호안-콘크리트, 고수호안-사석공) 유형을 비롯한 사면형 9개 유형, VH4(제방호안-찰쌓기), VH7(제방호안-콘크리트) 유형 등 수직형 3개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 중 저수호안과 고수호안이 모두 콘크리트로 정비된 SG7 유형과, VG7 유형이 가장 긴 구간에서 분포하였다. 주요 8개 유형에 대한 미지형구조 및 식생구조를 조사 분석결과 유형화 항목별 특성에 따라 횡단구조가 식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으나 횡단구조 유형별 식생분포 특성은 뚜렷치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준민, 임양재, 전의식(2000) 한국의 귀화식물. 사이언스북스, 281쪽
  2. 박원제(2005) 불광천 자연형 하천 정비구간의 생태적 특성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조경학과 석사학위논문, 173쪽
  3. 박원제(2005) 불광천 자연형 하천 정비구간의 생태적 특성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조경학과 석사학위논문, 173쪽
  4. 이율경(1999) 하천식생의 군락분류.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4쪽
  5. 이율경(2004) 우리나라 하천식생의 군락분류 및 군락생태.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1쪽
  6. 이재만(2006) 만경강의 식생 다양성과 대형수생식물의 생태적 지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8쪽
  7. 이종석(2001) 하천공학, 새론, 592쪽
  8. 정경진(1999) 한강지류에서 하천역의 식생분포와 지형, 토양, 수문 특성과의 관계.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114쪽
  9. 정경진, 김동엽(1999) 하천통로에서 미세 지형 발달이 하천 식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27(4): 39-49
  10. 정진아, 김혜주, 이은희(2004) 직강화 하천구간과 자연형 하천복원 구간의 식물상 및 출현빈도 비교-불광천을 사례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1): 61-74
  11. 최윤주(2001) 동천의 자연형하천 개발.복원 방안-자연형하천 복원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8쪽
  12. 최정권(2002) 자연형 하천공법의 적용에 따른 하천식생 재생과정의 평가.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121쪽
  13. Rosgen, D. L.(1996) Applied River Morphology. Hilton Lee Silvey, Lakewood, pp.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