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맞춤형 대중교통 경로정보제공을 위한 다계층의 다목적 경로탐색기법 연구

A Multi-Objective Shortest Paths Finding Considering Multi-Class in A Multi-Modal Transit Network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Route Information

  • 이미영 (국토연구원 교통연구원) ;
  • 박제진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 정점례 (경기대학교 도시.교통공학과) ;
  • 박동주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교통공학과)
  • 발행 : 2008.06.30

초록

국내는 정보통신(IT) 기술의 발달을 기반으로 BIS, BMS, CNS 등을 통해 교통정보가 실시간적으로 제공되고 있어 유비쿼터스 기반의 첨단 통신기술이 정착되게 되면 개인의 취향에 적합한 맞춤형 (대중)교통정보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중교통 통행정보는 경로탐색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데, 대중교통망은 일반 가로망과는 달리 환승과 운행시간 특성을 포함하며 통행자가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통행시간, 환승횟수, 환승시간과 같은 복수의 제약 또는 목적의 고려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복수의 목적으로 고려하여 경로를 탐색하며 탐색된 경로에 대하여 자의적으로 선택해 나가는 기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복합대중교통망을 대상으로 통행시간, 환승횟수, 환승시간등과 같은 통행목적에 대하여 계층별로 별도의 다목적 경로를 탐색하는 방안을 강구하여 계층별로 적용 가능한 사용자 맞춤형 정보제공체계의 기본적인 접근이론을 개발한다. 제안된 다수단, 다계층, 다목적 경로탐색알고리즘은 링크표지에 근거하여 구축되어 복합교통망에 효율적으로 구동할 수 있으며, 수도권 도시철도의 실제 대규모 교통망에 적용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계층을 고려한 경로계획모형(Path Planning)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예시하였다.

Mass transit information should contribute many benefits to users. Especially transportation information technology is developing highly with information technology in Korea recently. Hereafter it is expected to provide customized transportation information to users individually with the advent of ubiquitous age in earnest. This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service can be realized by path finding algorithms in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s including travel and transfer attributes. In this research, multi objectives such as travel time, transfer time, and number of transfer and so on are constructed with the primary facts influencing users. Moreover, the method reducing user's path finding alternatives arbitrarily is proposed by selecting the best alternative which provides maximum utility to users among non dominated paths. Therefore,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proposes a multi objective shortest paths finding algorithm which can take into account multiple user classes in a transit network with multiple travel modes. The proposed algorithm is demonstrated based on the two case studies - a small toy network and the large-scaled Seoul Metropolitan subway network.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