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주택의 설계VE단계에서 주체별 요구항목 분석을 통한 대상선정 개선방안

Improved Method for VE Items Selection by Analysing the Required Items of Stakeholder on the Apartment in Design Phase

  • 정호근 ((주)ITM 코퍼레이션 CM사업본부) ;
  • 양진국 ((주)거성ENG건축사사무소 감리CM본부) ;
  • 이상범 (동의대학교 건축공학과)
  • 발행 : 2008.08.31

초록

VE는 대상 시설물의 가치향상을 위하여 설계내용에 대한 경제성 및 현장적용 타당성을 기능별, 대안별로 검토하는 체계화된 절차를 말한다. VE의 업무절차 중 준비단계의 주요 목적은 원활한 VE수행을 위하여 관련된 집단의 협력체계 구축과 공동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분석단계에서 요구되는 충분한 자료를 확보하는데 있다. 그리고 사용자 및 발주자 등 프로젝트 이해당사자들의 요구사항을 측정하는 데는 주로 품질모델(Quality Model)이 사용되며, 이러한 품질모델은 VE활동 시 대안이 발주자의 요구사항에 적합한지를 확인하는 평가척도로 활용된다. 하지만, 현행 준비단계 업무는 단순히 발주자 및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확인하는 수준이며, 이를 통해서 대상선정 및 기능분석단계의 명확한 목표 및 방향을 제시해주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례분석과 전문가 설문조사 및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현행 준비단계 업무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각 주체별 요구항목을 정확히 반영한 새로운 대상선정 모델을 제안하고 사례를 통해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VE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and systematic tool available to achieve the required function at minimum cost and manage in many industrial fields. The purpose of the preparation phase VE job plan is to establish a cooperation system referring to group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VE, and to achieve a common objective to collect sufficient materials required in the analysis phase. The Quality Model is used to measure the requirement of shareholders(users and owners)in the project. It also offers a guideline on decision making when executing the function definition, function arrangement, function evaluation, and the idea evaluation of VE. However, the current the preparation phase business confirms that the required items of owners and users has not suggested definite goals and directions. This study analyzes the problems of current work in the preparation phase from case study, survey and interviews of experts. It then proposes a new process after understanding the required items of owners, users and experts.

키워드

참고문헌

  1. 가치누리연구실(2006).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 pp. 25-27
  2. 건설교통부(2006). 설계VE 업무메뉴얼 & 공공건설사업 VE 적용 사례집, pp. 01
  3. 신찬호(2007). 설계VE에서 아이디어 및 최적대안 선정방법 개선,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8-11
  4. 양진국.김수용(2005). '품질기능전개(QFD)기법을 적용한 건설프로젝트 설계VE 준비단계 업무 개선 및 체계화',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pp. 123-124
  5. 이상범 외(2005). 'VE대상선정을 위한 평가항목의 가중치 결정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6. 전재열(2003). 건축'설계초기단계에서 VE대상선정방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7.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0). 건설사업 VE기술 도입방안, 건설교통부
  8. 황재우(2007). 설계시공일괄입찰공사에서 설계변경 클레임 요인의 분석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55
  9. Alphonse, DellIsola(1999). Value Engineering : Practice Applications for Design, Construction, Maintenance & Operations. Roberts Means Co, pp.55-56
  10. Arratia, B.a(1998). 'A FAST-Driven approach to new production planning', SAVE International Annual Conference Procee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