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ying of By-product Gypsum by Microwave Heating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한 부산석고(副産石膏)의 건조 특성

  • Kim, Hyung-Seok (Minerals & Materials Processing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Chae, Young-Bae (Minerals & Materials Processing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Jung, Su-Bok (Minerals & Materials Processing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Jang, Young-Nam (Minerals & Materials Processing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김형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활용소재연구부) ;
  • 채영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활용소재연구부) ;
  • 정수복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활용소재연구부) ;
  • 장영남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활용소재연구부)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We tried to evaporate and dry the moisture contained Flue gas desulfurization gypsum and phosphogypsum by using the microwave directly. In the result of the heating to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gypsum and phosphogypsum using 2.45 GHz microwave which was created by magnetron 700 W, 1,000 W and 1,700 W,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increasing the microwave output intensity from 700 W to 1,700 W, the evaporate time of moisture was shortened from 10 to 3 minutes. Gypsum were changed to calcium sulfate hemihydrate. However, ${\beta}$-calcium sulfate hemi-hydrate were not changed to anhydrite.

배연탈황석고 및 인산부산석고에 함유된 부착수분을 마이크로파에 의한 직접 내부 가열 방법으로 증발시켜 건조하고자 하였다. 700 W, 1,000 W, 1,700 W의 출력인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된 2.45 GHz의 마이크로파로 배연탈황석고와 인산부산석고를 가열한 결과, 마이크로파 출력의 세기를 700 W에서 1,700 W로 높임에 따라 부착수의 증발시간이 10분에서 3분으로 단축되었고, 이수석고는 베타형 반수석고로 변질되었다. 그러나 베타형 반수석고는 무수석고로 변질되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성수, 황채호, 김지경, 김동현, 이상근, 박희찬 (2004) 카올린으로부터 고분자 젤법에 의한 알루미나 나노입자의 마이크로파 합성, 한국세라믹학회, 41(9), pp.684-689
  2. 박찬영, 황은희, 민성기 (1998) 마이크로파에 의한 고무용 충전제로서의 Alumina Powder의 제조에 관한연구, 엘라스토머, 33(3), pp.201-209
  3. 배광현 (2005) 폐석고중 중금속 및 유해오염원 안정화처리 기술 연구 최종 보고서, 환경부, p.33
  4. 임지운, 홍성수, 이근대, 박성수 (2004) 화학공학에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응용, 한국화공학회지, 42(5), pp.485-493
  5. 조광한 (1997) 마이크로파 가열이론, 한국농업기계학회지, 22(1), pp.68-80
  6. 한재길, 이치우, 이병택 (2006) 마이크로파-수열 합성법을 이용한 나노 수산화아파타이트 합성과 특성평가, 한국세라믹학회, 43(2), pp.126-130 https://doi.org/10.4191/KCERS.2006.43.2.126
  7. 無機 マテリアル學會編 (1995) セメントセッコウ石灰 ハンドブック, 技報堂出版, p.142
  8. Perreux L. and Loupy A. (2001) A tentative rationalization of microwave effects in organic synthesis according to the reaction medium, and mechanistiv considerations, Tetrahedron. 57, pp.9199-9223 https://doi.org/10.1016/S0040-4020(01)00905-X
  9. Kingman, S.W. and Rowson, N.A. (1998) Microwave treatment of minerals- a review, Minerals engineering 11(11), pp.1081-1087 https://doi.org/10.1016/S0892-6875(98)0009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