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마이크로파

Search Result 1,45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tato Starch by Microwave Heating Methods (마이크로파 가열방법에 따른 감자전분의 이화학적 특성변화)

  • Choi, Ock-Ja;Koh, Moo-Seok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5 no.5
    • /
    • pp.461-467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tato starch heated with microwave. Two types of potato starches are prepared; in group A raw potato starch was heated with microwave and in group B potato starch was isolated from potato heated with microwave. Both groups were exposed to the microwave energy in a 560 W, 2,450 MHz oven for 60, 120, 180 and 300 seconds. As the microwave heating time took longer, free lipid decreased and bound lipid increased in both groups. The shape of starch granules, birefrigence and X-ray diffraction pattern were not changed much by microwave heating in both groups. Water binding capacity increased, but amylose content, swelling power and solubility decreased as the microwave heating time took longer. It was also found that the extent of decreases in swelling power and solubility were different between group A and group B.

  • PDF

A Theory of Microwave Heating (마이크로파 가열이론)

  • 조광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22 no.1
    • /
    • pp.68-80
    • /
    • 1997
  • 마이크로파는 전시중에 레이다로서 널리 이용되어 많은 활약을 하여 왔지만 전쟁이 끝남과 동시에 군용레이다의 수요가 격감하여 마이크로파 전문업체는 레이다를 대신하는 용도로서 가열에 이용하는 것을 고안했다. 1945년 미국의 전문업체에서 마이크로파 도파관의 개구부에 옥수수를 놓았더니 이것이 가열되어 부풀어 터지는 것이 관측되었고 계란의 가열을 시도하였으나 급격한 가열로 파열되어 기술자가 상처를 입은 사고가 발생하였다. 그래서 안전성과 효율향상을 목표로 개방된 공간이 아니라 밀폐된 용기중에 마이크로파를 도입하는 방식이 고안되었다. 이렇게 하여 마이크로파 오븐이 탄생하고 이윽고 그것이 발전하여 가정용의 전자렌지가 되고, 턴넬형의 공업용 가열장치가 되어 고무가류, 식품 등의 건조, 냉동육의 해동 등 널리 실용화되었던 것이다.(중략)

  • PDF

Measurement of Dielectric Properties of Bio-resources using Microwave Free-space Transmission Technique (마이크로파 자유공간전송기술을 이용한 생물자원의 유전율 측정)

  • 김기복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7a
    • /
    • pp.424-431
    • /
    • 2002
  • 마이크로파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1㎓-30㎓ 정도로서 주파수가 매우 높기 때문에 도체뿐만 아니라 절연체와 공기 중에서도 전류가 흐르는 성질을 갖는다. 자유공간에서의 마이크로파를 전자파라고도 하며 그 속도는 빛의 속도와 동일하며 자유공간에서 1cm-30cm 파장 범위를 가지므로 센티파라고도 한다. 전자방사(electromagnetic radiation)은 공간을 통하여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전자계(electric and magnetic field)에 의한 에너지의 전파(propagation)이며 파동이론과 (wave theory)와 미립자이론(corpuscular theory)에 의해 해석될 수 있다. 전자파 이론(electromagnetic wave theory)의 기초는 1864년 Maxwell이 전자기 현상에 관하여 지배방정식을 수립함으로써 정립되었으며 1888년 Hertz에 의해 마이크로파의 존재가 실험적으로 증명되었다. 이후 마이크로파 기술은 2 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크게 발전하였으며 초기의 레이더 및 통신 등과 같은 군용 기술에서 마이크로파 건조 및 센싱과 같은 산업응용 기술로 발전하게 되었다. 특히 마이크로파 센서기술 및 가열기술은 농업 및 식품분야에 응용되어 마이크로파 응용제품을 선보이게 되었다. (중략)

  • PDF

28 GHz 초전도 ECRIS의 마이크로파 전파 특성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설계

  • Wang, Seon-Jeong;Won, Mi-Suk;Lee, Byeong-Seop;An, Chan-Yong;Kim, Seon-Ho;Gwak, Jong-Gu;Jeong, Seung-Ho;Kim, Seo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134-134
    • /
    • 2010
  • KBSI 부산센터에 건설중인 소형의 다중 양전하 중이온 가속기에 사용될 초전도 ECR 이온온은 최대 자기장 3 T, 최소 0.5 T의 자기 Mirror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중심 부근의 1 T 자기장에서 28 GHz 전자공명에 의해 마이크로파의 에너지를 플라즈마로 전달한다. 최대 10 kW의 Gyrotron에서 TE02 모드로 발생하는 마이크로파는 모드변환기, 직류차단기 및 진공창을 통하여 플라즈마로 입사된다. 32.5 mm 지름의 원형 도파관에서 자기장 축방향으로 도입된 TE01 모드의 마이크로파를 Altar-Appleton-Hartree 분산관계식을 이용하여 군속도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플라즈마 밀도가 Cut-off에 근접하지 않는 한 마이크로파의 바깥 방향으로의 회절은 크지 않았으며, 전자공명 위치로 접근함에 따라 군속도의 방향이 바뀌어 오히려 중심 방향으로 향함을 알 수 있다. 즉 마이크로파가 플라즈마 챔버의 벽을 가열시킬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이다. 또한 뜨거운 전자 플라즈마의 Susceptibility를 이용하여 마이크로파의 플라즈마로의 전자 공명에 의한 흡수를 살펴본 결과, 운전 영역에 속하는 전자밀도가 제공되면 공명 지점에 이르기 전에 충분히 흡수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챔버를 관통하여 인출부 벽에 충돌하는 마이크로파 에너지는 무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이 결과들을 토대로 마이크로파 시스템을 설계 완료하였다.

  • PDF

A Study of high power microwave generator (대 출력 마이크로파 발생장치 연구)

  • Kim, Won-Sop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1318-1319
    • /
    • 2008
  • 본 연구는 대출력 마이크로파를 발생하기 위한 장치의 일원인 후진파 발진기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대전력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다른것과 비교하면 소형이고 구조가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매우 유용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주파 영역에서 대전력 발생이 이루어졌으며 실험에 대구경 후진파 발진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파출력이 현저히 향상된것을 알았다.

  • PDF

The Study for the Characteristics of Microwave Coupled $V_2$$O_5$-PbO-$TeO_2$Glass System (마이크로파 발열된 $V_2$$O_5$-PbO-$TeO_2$ 유리의 특성에 관한 연구)

  • 박희찬;이상은;김병우;박성수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8 no.5
    • /
    • pp.438-445
    • /
    • 2001
  • 600 W의 마이크로파 출력 하에서 PbO, V$_2$O$_{5}$, TeO$_2$ 및 V$_2$O$_{5}$-PbO-TeO$_2$성분들의 마이크로파 발열 특성을 조사하였다. V$_2$O$_{5}$ 성분의 높은 마이크로파 흡수능에 기인하여 V$_2$O$_{5}$-PbO-TeO$_2$유리상 시편들은 마이크로파를 흡수하여 주어진 온도까지 직접 가열되었다. XRD, OM, SEM 및 고전압 발생 측정기를 통하여 재래식 열 및 마이크로파 공정에서 열처리된 시편들의 결정화 및 전기 전도도의 특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PbV$_2$O$_{6}$ 및 Pb$_4$V$_2$O$_{9}$ 결정상들이 마이크로파 열처리된 시편에서는 존재하였다. 그러나, 재래식 열처리된 시편들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재래식 열처리된 시편들에 비하여 마이크로파 열처리된 시편들의 전기 전도도 값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 PDF

마이크로파 대기압 플라즈마 공진기 제작 및 플라즈마 진단

  • Eom, In-Seop;Gwon, Yang-Won;Jeong, Tae-Hun;Choe,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193.1-193.1
    • /
    • 2016
  •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새로운 유형의 마이크로파 대기압 플라즈마 공진기는 전송선로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임피던스 값을 $50{\varphi}$으로 설계함으로써 장비 자체에 구조적인 매칭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안정적인 마이크로파 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을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션(HFSS, High Frequency Structural Simulator)을 이용하여 공진기의 반사계수, 공명주파수, 급전점 그리고 전기장을 계산하였다. 전송선로의 이론에서 구한 급전점과 실제 제작한 마이크로파 대기압 플라즈마 공진기의 급전점 값이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제작한 공진기는 급전점 5.6 mm에서 공명주파수는 0.89 GHz, 반사계수는 -37.5 dB임을 측정하였고 신호가 입사되는 정도는 90 % 이상인 것을 확인하였다. 공진기에서 발생된 플라즈마는 6 W의 정도의 저 전력으로 발생되었으며 기체유량과 인가전력에 따른 플라즈마의 기체온도를 측정하고 광 방출 특성을 고찰하였다. 실제 제작한 마이크로파 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장치는 생의학적 응용을 포함한 여러 넓은 분야에서 활용될 전망이다.

  • PDF

The Fixation Effects of Biological specimen Using Microwave Oven Equipped With Infrared-Temperature Sensor (적외선 온도감응기를 장착한 마이크로파 오븐의 생체물질 고정효과)

  • 신길상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7 no.2
    • /
    • pp.144-155
    • /
    • 1994
  • 마이크로파 에너지로서 현미경 관찰을 위한 생체물질을 고정할 때, 고정효과는 화학 고정액을 사용할 때와 비교하여 보다 우수한 또는 적어도 동일한 고정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기존의 마이크로파 오븐을 사용하여 생체물질을 고정하면 고정 정도에 일정성이 없는데, 이는 마이크로파가 균일하게 조사되지 않고 고정에 적절하도록 마이크로팍의 강도를 조절하기 어려우며, 이로 인하여 정확한 고정온도의 측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에서는 마이크로파가 조사되는 동안 시료의 온도를 측정할 수 없는 기존의 마이크연.파 오븐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감응기를 장착한 마이크로파 오븐을 개발하였으며 고정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는 포유류의 기준 조직으로 알려진 생쥐의 신장을 고정하였다 고정효과는 전체적인 구조와 세부 구조의 보존이 모두 우수하였고 최적의 고정온도는 28$\pm$1$^{\circ}C$(완충용액 20 ml, 10초) 이었다. 이와같이 고정된 재료는 고정효과 뿐만 아니라 염색성이 좋아서 조직화학 반응이 우수하고, 냉동절편법과 연계했을 때 전체 절편제작 과정이 2~4시간 내에 완료될 수 있었다 이때 절편의 질(질)은 화학 고정액이나 냉동절편 법에 의하여 제작된 것 보다 우수하였다.

  • PDF

Kinetics on the Microwave Carbonization of Rice Chaff (왕겨의 마이크로파 탄화속도)

  • Kim, Ji Hyun;Ryu, Seung Kon;Kim, Dong Kook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3 no.6
    • /
    • pp.683-690
    • /
    • 2005
  • The microwave carbonization of rice chaff was performed, and their kinetics were compared to those of conventional thermal carbonization. Thermal carbonization was carried out at $300-600^{\circ}C$ for 30 minutes. The weight loss and C/H mole ratio remarkably increased as increase of temperature, while there was no carbonization by microwave dielectric heating in spite of increasing incident power and irradiation time. However, microwave carbonization was successfully performed by addition of 6 wt% of thermal carbonized rice chaff, it's C/H mole ratio is larger than 3.0, as a catalytic initiator to uncarbonized rice chaff, and the kinetics was depended on the incident power and irradiation time, resulting in the coincide with thermal carbonization to the Arrhenius equation. The activation energy of microwave carbonization was quite low as compared to that of thermal carbonization, while the kinetic constant was large. This is due to the internal volumetric heating characteristics of carbonized rice chaff by microwave. The effect of ash, and C/H mole ratio and amount of carbonized rice chaff were investigated on microwave carbonization.

축방향 가상음극발진기를 이용한 고출력 마이크로파의 전자기기 효과 연구

  • Byeon, Yong-Seong;Song, Gi-Baek;Choe, Eun-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434-434
    • /
    • 2010
  • Axial type 가상음극발진기를 이용하여 전극의 기하학적 구조와 고출력 마이크로파의 출력 특성을 분석하고, 최대 파워의 조건에 대한 전자기기 효과를 알아보았다. 고출력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인 Vircator는 강렬한 상대론적 전자빔 발생장치로 최대전압 600 kV, 최대전류 88 kA, 펄스폭 60 ns의 특성을 가진다. Anode와 cathode의 간격은 4 mm로 최적화 하였고, 이 조건에서 마이크로파의 출력 특성을 분석하여 보았을 때 WR-137 수신안테나에서 최대 출력143 MW와 5.4 GHz의 진동수를 측정하였다. 출력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도파관 중앙에 폭이 10 mm인 반사판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 반사판이 공진구조에 기여하여 정상파(standing wave)를 형성하여 마이크로파 출력 효율 향상하여 WR-137에서 최대 549 MW의 출력을 보였다. 향상된 마이크로파의 출력을 이용하여 각도와 거리를 변화해 가며 컴퓨터와 전자소자로 제작된 회로에 대해 전자기기 효과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컴퓨터의 경우 $0^{\circ}$ 1 m에서 hard kill 상태가 되었다. 전자소자 회로의 경우는 $0^{\circ}$ 30 cm에서 hard kill의 상태로 되었다. 또한 면적 대비 출력 파워로 비교 했을 경우 약 $0.484\;{\mu}J$의 마이크로파의 영향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