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evaluation of Housing Wealth Effect in Korea

한국의 주택 부 효과에 대한 재고찰

  • Kim, Jangryoul (Department of International Economics and Law, HUFS) ;
  • Lee, Hangyong (College of Economics and Finance, Hanyang University)
  • 김장렬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통상학과) ;
  • 이항용 (한양대학교 경제금융학부)
  • Received : 2007.09.10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re-evaluate the size of housing wealth effect in Korea. Our focus is on the size of 'genuine' housing wealth effect, i.e., the response of consumption spending by home-owners to the changes in housing wealth. Two issues show up while we estimate the 'genuine' wealth effects using aggregate time series data: the issues around home ownership and proper measure of consumption. We first argue that it is more appropriate to use non-housing consumption, because housing consumption is in large part not of the choice of home owners but the imputed rents they do not actually choose to pay. We then proceed to address the issue of home ownership, by examining how much to revise the estimates of housing wealth effect obtained from aggregate non-housing consumption data. We construct two structural models and estimate the share of home-owners' consumption in those models' context. It is found that, if properly revised in light of the estimated consumption shares of home-owners, the magnitude of resulting housing wealth effects are larger than what simple time series regressions imply.

본고에서 우리는 한국의 주택 부 효과의 크기를 재검토한다. 이를 위해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주택 보유자 소비지출의 반응인 '순수한' 주택 부 효과의 크기를 알아보는 데 중점을 둔다. 순수한 주택 부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거시시계열 자료를 이용할 경우, 주택 보유여부와 적절한 소비지출변수의 선정이라는 두 가지 문제가 제기된다. 우리는 먼저 비 주택 소비(non-housing consumption)가 보다 적절한 소비지출변수임을 보이며, 그 이유로 주택소비(housing consumption)의 상당 부분이 주택 보유자들의 실제로 지불하지 않는 귀속임대료(imputed rents)임을 제시한다. 이어서 우리는 거시시계열 자료로부터 구한 주택 부 효과의 크기를 얼마나 수정해야 주택보유자에의 순수한 주택 부 효과를 추정할 수 있는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두 개의 구조적 모형을 설정하여, 전체 소비지출 중에서 주택 보유자 소비지출의 비중을 추정한다. 주택 보유자의 소비지출 비중을 감안하여 수정된 주택부의 효과는, 거시시계열을 이용하여 구한 통상적인 주택 부 효과의 추정치보다 크게 나타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