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ritical Reappraisal of the Relations between Dongyeo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Cheonggudo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ll$동여$\gg$$\ll$청구도$\gg$의 관계에 대한 비판적 재검토

  • Lee, Ki-Bong (Kyujanggak Institute for Kro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기봉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Jang Sang-Hoon(장상훈) concluded that Dongyeo(東輿) seemed to be made between 1859 and 1866 but it was ahead of Cheonggudo(靑邱圖) in terms of the content and format. Accordingly he insisted that Cheonggudo was compiled based on the original version of Dongyeo which was supposed to be drawn between 1790 and 1834. This paper reappraised critically the previous researches and got several findings. Firstly, the changes of place names-4 places names were selected for the Jang Sang-Hoon's research and 2 were added in this paper-are reflected in the Yeodobiji(輿圖備志) and Dongyeo compiled by Choi Seonghwan(최성환) and Kim Jeongho(金正浩) between 1853 and 1856. Secondly, the sectioning format of Dongye shows some transitional character from the book style such as Cheonggudo to the folding style that was shown in Dongyeodo(東輿圖) and Daedongyeojido(大東輿地圖). Thirdly, the expression of the mountains in Dongyeo shares the same style which is shown in Dongyeodo and Daedongyejido. Fourth, Dongyeo contains the same information about old military bases and the castle locations in small local town centers that appear in Dongyeodo and Daedongyeojido but not in Cheonggudo and similar kinds of maps. In conclusion, Dongyeo and the original version of it are likely to be drawn by Kim Jeongho between 1853 and 1856 after Cheonggudo was made.

장상훈은 $\ll$동여$\gg$의 제작 시기를 1859년과 1866년 사이라고 보면서도 내용과 형식은 $\ll$청구도$\gg$보다 앞선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 결과 1790년경에서 1834년 사이에 제작된 $\ll$동여$\gg$의 원본을 상정하였으며, $\ll$청구도$\gg$는 이를 바탕으로 편집된 지도라고 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앞의 논문을 비판적으로 재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장상훈이 선택한 4개와 본 논문에서 새로 첨가한 2개의 지명 변화가 1853년과 1856년 사이에 편찬된 최성환 김정호의 "여도비지"와 $\ll$동여$\gg$에 동일하게 반영되어 있다. 둘째, $\ll$동여$\gg$의 방안 형식에는 $\ll$청구도$\gg$와 같은 책의 형식을 포기하고 절첩식을 선택한 $\ll$동여도$\gg$ $\ll$대동여지도$\gg$의 중간 단계적 성격이 담겨 있다. 셋째, $\ll$동여$\gg$의 산줄기식 표현은 지지적 내용을 지도 위에 수록하지 않을 수 있는 상황이 되어 산줄기식을 채택할 수 있었던 $\ll$동여도$\gg$ $\ll$대동여지도$\gg$와 비슷한 고민의 결과로 볼 수 있다. 넷째, $\ll$동여$\gg$에 수록된 군현 읍치의 성곽 유무와 고진보의 정보가 $\ll$청구도$\gg$와 동일 계통의 이전 지도에는 없는 반면에 $\ll$동여도$\gg$ $\ll$대동여지도$\gg$에는 있다. 이를 종합해 볼 때 $\ll$동여$\gg$ 또는 그 원본은 $\ll$청구도$\gg$의 제작 이후인 1853년과 1856년 사이에 김정호에 의해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