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력의 가족력분석

Analysis of Family History of Visual Acuity

  • Pak, Yun-Suk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rk, Su-Jin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rk, Sang Shin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ek, Domyung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Eun-He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08.07.18
  • 심사 : 2008.09.10
  • 발행 : 2008.09.30

초록

목적: 본 논문은 소아 및 학동기 그리고 청소년과 부모시력의 유전적 연관성을 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4~18세까지의 소아 및 학동기 그리고 청소년기에 속하는 어린이 208명과 피검자의 부모 340명이 참여하였다. 시력측정은 5 m용 한천석식 시력표를 이용하였으며, 각 단안씩 나안 및 교정시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6세미만의 소아에서 아버지의 시력은 아무런 관련성을 찾을 수 없었으나, 남아에서는 어머니의 시력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동기의 경우는 특히 부모와의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시력이 0.7이하인 그룹에서는 부모 모두 0.7이하가 많았으며, 0.7초과인 그룹에서는 부모도 같이 0.7을 초과하는 경향을 보였다. 청소년기의 경우에서도 어머니의 시력이 남아의 시력과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결론: 부모의 가족력이나 특히 어머니의 시력이상은 자녀의 시력이상에 더욱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genetic association of visual acuity(VA) between young children, schoolchildren, juveniles, and their parents. Methods: 208(4 to 18 yrs) subjects who are belongs to young children, schoolchildren and juveniles and 340 their parents were assessed. Corrected and uncorrected visual acuity in each eye were measured using Han's test chart(5m). Results: There was no correlation with father's VA on under 6years but mother's VA tend to effect on male children. In c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ir VA shows strong correlations with their parents VA; VA uner 0.7 group shows both parents VA was under 0.7 and VA over 0.7 group tend to shows their parents VA was over 0.7. Moreover, in juvenile, there was strong correlation between mother's VA and male children's VA. Conclusion: Our study showed that the family history, especially mother's visual acuity, had more effect on the problem of their children's visual acui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