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유전과 진화 단원의 만화를 활용한 형성평가에 대한 연구

Study on Formative Assessment using Cartoon for 'Genetics and Evolution' Unit of Middle School

  • 발행 : 2008.04.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3학년 "유전과 진화"단원 학습을 위해 만화를 활용한 형성평가 문항을 총 17개 개발하고, 이를 실험집단 73명과 통제집단 78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이에 학생들의 평가에 대한 인식 및 태도와 학업성취도 변화에 효과적인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만화를 활용한 형성평가는 학생들의 평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학생들이 평가의 유용성을 인식하고(p<.05) 시험에 대한 불안감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01). 또한 개발된 만화를 활용한 형성평가는 서술형 지문의 형성평가에 비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는 "유전과 진화"단원의 추상적인 개념들을 그림으로 표현하여 학습내용과 문항의 이해를 더 쉽게 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만화를 활용한 형성평가는 학습내용의 이해와 흥미도의 향상에 기여하며 수업에 적극 활용했을 때 학생들의 평가에 대한 불안을 극복하고 평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줄 수 있는 평가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is study, 17 formative assessments using cartoon were developed for studying 'genetics and evolution' chapter in textbook of third grade of junior high school. And those were applied to 73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and 78 students in control group. We investigated if there was positive effect on students' perception, attitude about assessment and scholastic achievement. As a result, we could find the formative assessments using cartoon were effective to change students' negative perception and attitude to positive one. Especially, those were effective to make students to understand usefulness of assessment (p<.05), and to decrease a feeling of uneasiness about assessment (p<.01). Also, we could find the developed formative assessments using cartoon had more positive effect on raising scholastic achievement than formative assessment using descriptive passage (p<.05). It was considered that this was because the abstract concepts of 'genetics and evolution' chapter were described in pictures, so contexts of textbook and assessment questions became easier to understand. So, we could conclude that formative assessment using cartoon contributed to increase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texts of textbook and to increase their interests about study. And if this assessment method is applied to class actively, students' feeling of uneasiness about assessment can be easily overcome and it can also give them positive perception about assess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호감 (1986). 학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잠재 적 교육과정. 과학수학교육연보, 3권 41-44
  2. 강호감, 최선영 (2003). 생물교육에서 창의력 계발 방안 모색. 과학교육논총, 15권, 129-155
  3. 권대훈 (1991). 시험에 대한 자기효능이 학업성적과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학생지도연구, 11(1), 21-32
  4. 김경주 (1992). 유전에 대한 과학전공 대학생들과 과학교사들의 개념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 논문
  5. 김미림 (1996). 전달매체로서의 만화와 그의 교육적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은미, 김성원 (2001). 개념만화를 이용한 토의학습이 중학생들의 과학 학습 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2), 299-315
  7. 김주훈 (1985). 아시아, 태평양 지역 과학 교육 평가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5(5),147-153
  8. 김현진 (2006). 독일어 학습을 위한 만화자료 활용방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소현 (2005). 만화를 활용한 영어 수업이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및 수업방안에 관한 연구 - 중학교 1학년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영어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10. 박영희, 최진승 (1991). 시험불안의 특성과 불안감 소 이론 연구. 학생연구, 19권
  11. 박정민 (2006). 중학생의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 및 과제 수행 실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2. 박종석, 조희형 (1986). 고등학생들의 유전에 대한 오인의 확인 및 유전학 지도 방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6(2), 35-41
  13. 성태제 (2002). 현대교육평가. 학지사
  14. 송숙희, 김재은, 정현지 (1991). 시험불안과 학업성 취와의 관계-국민학생과 중학생을 중심으로 하여. 소아 청소년정신의학, 2(1), 11-23
  15. 윤은희 (2005). 만화를 활용한 학습이 물의 순환 개념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경숙, 이길재, 정완호 (1994). 중학교 학생들의 멘 델 유전에 과한 오개념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2(1), 25-35
  17. 이금숙, 조운복 (2001). 중학교 과학과 교사의 수행 평가에 대한 태도와 실시 현황에 대한 연구. 과학교육연구지, 28권, 97-146
  18. 이양락, 신일용, 전영석, 전영석, 이기영, 박재근, 김나현, 조지민, 송미영, 시기자, 김수진 (2005). 2004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RRE 2005-1-5, 서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 이원복 (1987). 인쇄 매체로서의 만화. 국민정신 6월호, p.34
  20. 이원석 (2006). 유머만화와 풍자만화의 서사구조 비교 연구-네 칸 만화를 중심으로-. 2006 추계종합예술대회 논문집
  21. 이은정, 소금현, 여성희 (2006). 중학교 유전단원의 학습을 위한 학습 만화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3), 355-364
  22. 이희순, 홍석인, 최선영, 김지선, 강호감, 하정원, 원용준, 노석구 (2001). 창의력계발을 위한 자연과 교수학습 자료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89-101
  23. 임묘진 (2005). 만화 자료를 활용한 과학학습이 흥미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교육방법 전공 석사학위논문
  24. 임헌태 (1999). 만화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중학교 3학년 어휘 수업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석사학위논문
  25. 전태식, 허명 (1989). 광합성과 진화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과 오인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17(1),1-14
  26. 정완호, 차희영 (1994). 고등학생들의 유전과 진화에 대한 오개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2), 170-183
  27. 조난심, 양명희, 조영미, 이성흠, 김수동, 고은현, 이상조 (2002). 국민공통기본 교과별 평가도구 개발 연구(I)-중등수학과-. 연구보고 RRE 2002-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8. 한은주 (2001). 중학교 전기와 자기학습에서 만화의 활용이 과학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황정규 (1998). 학교학습과 교육평가(개정판). 교육과학사
  30. Bahar, M., Johnstone A. H., & Hansell, M. H. (1999). Revisiting learning difficulties in biology.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33(2), 84-86 https://doi.org/10.1080/00219266.1999.9655648
  31. Black, P. (1998). Formative assessment: Raising standards inside the classroom. School Science Review, 80, 291, 39-46
  32. Finley, F. N., Stewart, J., & Yarroch, W. L. (1982). Teachers' perceptions of important and difficult science content. Science Education, 66(4), 531-538 https://doi.org/10.1002/sce.3730660404
  33. Mayer, R. E., & Anderson, R. B. (1992). The instructive animation: Helping students build connections between words and pictures in multimedia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4(4), 444-452 https://doi.org/10.1037/0022-0663.84.4.444
  34. Naylor, S. & Keogh, S. (1999). Concept cartoons, teaching and learning in science: An evalu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4), 431-446 https://doi.org/10.1080/095006999290642
  35. Naylor, S. & Keogh, S. (2001). An Empirical study of argumentation in primary science, using concept cartoons as the stimulus. Paper presented at the Third International, Thessaloniki, Greece
  36. Stewart, J. H. (1982) Difficulties experienced by high school students when learning basic mendelian genetics.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44(2), 80-84 https://doi.org/10.2307/4447413